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 선교 역사

세계 선교 역사

J. 허버트 케인 (지은이), 변창욱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 선교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 선교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1770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0-09-30

책 소개

1993년 출간하여 오랫동안 한국교회와 신학교에서 선교학 필수 교재로 사용되던 <세계 선교 역사>를 이번에 변창욱 박사가 새롭게 편역하여 개정증보판으로 출간하게 되었다.

목차

추천사
이광순 박사 미국 Hudson Taylor University 총장
조용중 박사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사무총장
변진석 박사 한국선교훈련원(GMTC) 원장
저자 서문
편역자 서문

제1부 A.D. 30년부터 1850년까지 선교 역사
제1장 로마제국 하의 기독교(A.D. 30-500)
제2장 유럽의 기독교화(A.D. 500-1200)
제3장 기독교와 이슬람의 만남(A.D. 600-1200)
제4장 로마 가톨릭교회의 선교(A.D. 1300-1700)
제6장 영국과 미국에서의 개신교 선교의 시작(A.D. 1750-1850)

제2부 19세기 이후 개신교 선교 역사
제7장 19세기 개신교 선교의 확장기
제8장 20세기 개신교 선교의 발전기
제9장 이슬람 세계의 선교
제10장 1910년 에딘버러 세계 선교사 대회의 역사적 의의
제11장 아시아 선교
제12장 근대 개신교 선교 운동
제13장 세계 선교 운동의 회고와 평가
제14장 교회의 선교 사명과 미래 전망

선교 역사 연대표

저자소개

J. 허버트 케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무디성서대학과 배링턴대학(B.A.)을 졸업하고, 브라운대학교(M.A.)를 거쳐 배링턴대학교(L.H.D.)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선교학회(ASM) 회장 및 복음주의 선교학 교수회(AEPM) 회장, 퀘벡 Onward Gospel Church 담임목사로 섬겼으며, 15년 동안 중국 선교사(1935-1950, CIM 소속)로 사역했다. 그 후 트리니티복음주의신학교 선교학 교수(1967-1980)로 재직했고 은퇴 후에는 1983년까지 “세계 선교 역사”를 강의했다. “Keep the AEPM Going”, “My Pilgrimage in Mission” 등 여러 논문을 비롯해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Life and Work on the Mission Field, 두란노, 1991), 『기독교 선교 이해』(Understanding Christian Missions, CLC, 1997), 『세계 선교의 오늘과 내일』(The Christian World Mission: Today and Tomorrow, CLC, 1994) 등 다수의 책을 집필했다.
펼치기
변창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영어교육과(BA)를 조기졸업하고, 영어교사로 근무하다가 성경번역 선교사가 되려고 대학원(MA)에서 언어학(English linguistics)을 공부했다. 장신대 교역학 석사(MDiv)와 신학석사(ThM)를 마쳤으며, 서울대현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 후, 미국 프린스턴신학대학원에 유학하여 선교역사 전공으로 석사학위(ThM)와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대학 시절 Navigator 선교회에서 훈련을 받았고, 1980년 8월 여의도 세계복음화대성회에서 선교사로 서원했으며, 신대원 재학 중 1974년 하용조, 김지철 목사님이 장신대에 세운 선교동아리 선교사파송연구회에서 활동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서원을 지키기 위해 마닐라장신대(현 아태장신대)에서 선교사로 3년 6개월 동안 필리핀 신학생들을 가르쳤다. 횃불장학재단 및 명성교회 해외장학생이었고, 명성교회 마포삼열 기념 석좌교수였으며, 장신대 교수업적평가 우수교원으로 두 차례 선정되었다. 2021년 제4회 알렌(Horace N. Allen) 기념상을 수상했으며, 지난 3년간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중세 이슬람 치하 스페인의 기독교-이슬람 평화공존(convivencia) 연구를 수행했다. 장신대 선교신학 교수, 세계선교대학원장, 대외협력처장, 총회(PCK) 선교사훈련원장(2021-2023) 및 총회 선교부 선교연구위원회 연구위원, 장신대 순교자 김상현 목사 가족기념 석좌교수 및 세계선교연구원장으로 섬겼으며, 2024년 봄 학기부터 미국 애틀랜타에 소재한 Underwood University에서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교회 선교운동사』(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20), 『선교지 예배당 건축이야기』(서울: 도서출판 케노시스, 2022) 및 국내외 학술지에 기고한 많은 논문과 번역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독교는 진공상태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위대한 3대 문명이라 일컬어지는 그리스 문명, 로마 문명, 히브리 문명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생겨났다. 이들 각각의 문명은 초기 3세기의 기독교 형성과 확장기에 매우 중대한 공헌을 했음을 기억해야 한다.


중세의 암흑시대 동안 아일랜드는 몰려오는 어둠 속에서도 횃불의 역할을 잘 감당했다. 6세기에서 8세기에 이르는 동안 아일랜드는 서유럽에서 가장 진보한 나라였다. 아일랜드는 무자비한 야만족의 약탈과 침략을 받지 않았고, 유럽 전역이 암흑기를 지내며 어두움에 사로잡혀 있을 때 아일랜드교회는 학문의 등불을 밝히고 있었다. 영국과 유럽에서 학자들이 몰려들 때 아일랜드는 그들을 끝없이 환대하며 받아들였고 그들과 함께 당대 최고의 교육 수준을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아일랜드의 훌륭한 수도원 학교들이 없었더라면 서유럽의 학문은 거의 사라지고 말았을 것이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세상의 어떤 조직체보다 더 오래되고 거대하며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조직이다. 70억의 세계 인구 가운데 13억의 가톨릭 교인들이 전 세계 모든 지역에 흩어져 있다. 장구한 역사를 거치면서 가톨릭교회는 확장과 쇠퇴의 과정을 반복해 왔다.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의 치세 하에 최전성기를 누리고 있던 가톨릭교회는 유럽의 정치, 문화, 경제, 종교 생활 전반을 완전히 지배하고 있었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대의 손실은 개신교의 종교개혁으로 인해 유럽의 대부분 지역이 가톨릭교회에서 떨어져 나감으로써 발생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