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4610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2-09-0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강영안 박사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전 미국 칼빈신학교 철학신학과 교수 1
추천사 2 이경직 박사 백석대학교 기획산학부총장, 조직신학‧기독교윤리학 교수 2
추천사 3 이상명 박사 미주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신약학 교수 3
추천사 4 박성근 박사 남가주새누리교회 담임목사, MBTS 객원교수 4
추천사 5 조성돈 박사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동대표 5
추천사 6 류응렬 박사 워싱턴중앙장로교회 담임목사, 고든콘웰신학대학원 객원교수 6
추천사 7 최성은 박사 지구촌교회 담임목사, 국제 KOSTA 이사 및 강사 7
저자 서문 19
제1장 윤리학과 관련된 문제 22
1. 윤리의 전제는 무엇인가요? 22
2. 윤리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29
3. 윤리의 동기는 무엇인가요? 36
4. 도덕을 구성하는 삼요소는 무엇인가요? 42
5. 윤리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46
제2장 윤리의 기준과 관련된 문제 49
1. 노만 가이슬러(Norman L. Geisler) 윤리학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49
2. 존 프레임(John M. Frame) 윤리학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69
3.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er) 윤리학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77
4. 피터 싱어(Peter A.D. Singer) 윤리학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83
제3장 세속 철학과 관련된 문제 97
1. 에피쿠로스 학파의 윤리는 성경적인가요? 97
2. 스토아 학파의 윤리는 성경적인가요? 105
3. 플라톤의 윤리는 성경적인가요? 112
4.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는 성경적인가요? 120
5. 칸트의 윤리는 성경적인가요? 130
제4장 세계 종교와 관련된 문제 143
1. 범신론의 종교는 윤리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나요? 143
2. 다신론의 종교는 윤리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나요? 150
3. 단일신론의 종교는 윤리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나요? 157
4. 기독교 윤리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167
제5장 신과 관련된 문제 175
1. 도덕의 근원은 어디서 연유하나요? 175
2. 하나님이 없어도 윤리가 작동하지 않나요? 182
3. 왜 삼위일체 하나님만이 도덕의 근원이 되나요? 195
4. 하나님이 악을 명령해도 순종해야 합니까? 200
5. 최고선(Summum Bonum)은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206
제6장 인간과 관련된 문제 215
1. (지) 인간의 이성은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215
2. (정) 인간의 감정은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223
3. (의) 인간의 의지는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234
4. (양심) 인간의 양심은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241
제7장 사회와 관련된 문제 251
1. 윤리는 상대주의적인 것이 아닌가요? 251
2. 관용과 상호존중의 미덕이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 아닌가요? 256
3. 공리주의라면 도덕적 사회를 위해 충분하지 않나요? 264
4. 결혼에 대한 하나님의 법은 무엇인가요?? 270
4. 그리스도와 문화의 바른 관계는 무엇일까요? 282
6. 사회 정의에 대한 성경적 입장은 무엇인가요? 295
제8장 성경과 관련된 문제 309
1. 성경이 윤리의 절대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나요? 309
2. 성경은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지 않나요? 319
3. 아디아포라(adiaphora)는 존재하나요? 325
4. 설교의 윤리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340
제9장 구약과 관련된 문제 353
1. 창조질서는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353
2. 문화명령은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377
3. 십계명이 특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387
4. 율법과 권위의 바른 관계는 무엇인가요? 393
5. 율법의 사용법에 대한 세 가지 은유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397
6. 그리스도인은 신율주의(theonomy)를 지향해야 하나요? 401
제10장 신약과 관련된 문제 414
1. 율법과 복음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요? 414
2. 복음은 윤리적 동기를 낙심시키지 않나요? 430
3. 예수님의 도덕 법칙은 사랑으로 귀결되지 않나요? 474
4. 예수님의 산상수훈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지 않나요? 482
5. 그리스도를 본받는다는 것이 윤리적으로 어떤 의미인가요? 497
6. 신학적 덕이 윤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503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지만 성경은 마카리오스(makarios)의 행복을 추구합니다. 즉, 하나님께서 은총으로 주시는 행복(God-given happiness)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마카리오스의 행복은 산상수훈(마 5:3-12)에 나와 있는 팔복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복되도다”(blessed)에 해당하는 단어가 바로 마카리오스입니다. 마카리오스의 행복은 성경 전체의 맥락 속에서 발견되는 행복이며 지고지순의 행복입니다.
본회퍼의 윤리학은 그리스도 중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일원론적 세계관,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역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종말론적 지향점이 그것입니다. 본회퍼는 암울한 현실 속에서 윤리의 정의를 그리스도의 현실 참여로 보았으며, 그러한 윤리를 현실 가운데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가 필요하며, 궁극적인 것을 지향하는 종말론적 삶의 모습을 가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기독교 윤리는 고아, 과부, 나그네, 여성과 같이 경제적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공동체), 사랑과 희생을 통한 통합을 지향하고(십자가), 새로운 창조의 현재성이 주는 감사, 기쁨, 보람을 추구합니다(새 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