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7451
· 쪽수 : 588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이 상 규 박사 | 고신대학교 명예교수,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추천사 2 이 상 웅 박사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3 정 상 운 박사 | 한국기독교한림원 원장, 성결대학교 명예총장
저자 서문
서 론
1. 점증하고 있는 종말론의 중요성
2. 북미와 한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전천년주의
3. 방법론
4. 연구 목적
제1장 한국 종교에 나타난 종말론적 특성들
1. 한국 종교의 역사적 배경
2. 한국 종교 사상의 종말론적 함의들
3. 한국 종교 사상의 주요한 종말론적 특징들
제2장 재한 미국 선교사들의 종말론
1. 19세기 미국 선교운동의 종말론적 동기
2. 재한 미국 선교사들의 종말론적 성향
3. 선교 현장에서의 종말론적 조우와 변화
제3장 일제 강점기(1910-1945)의 종말론적 유형들
1. 종말론의 외향화 경향: 종말론, 민족주의, 독립운동
2. 내세화되는 종말론적 경향: 부흥사들의 종말론적 메시지
3. 내향화하는 종말론적 경향: 종말론과 신비주의
4. 종말론적 변형들: 사이비 신흥 종파들과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
5.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로 고착화돼 가는 종말론적 경향
제4장 신사 참배에 대한 종말론적 투쟁과 전천년주의
1. 종말론과 신사 참배 문제
2. 신도에 저항한 기독교인의 천년왕국 신앙
3. 주요 장로교회 신학자의 종말론
제5장 해방 이후 종말신앙의 변천
1. 해방 이후 시대적 상황과 한국 교회
2. 6.25전쟁과 한국 교회 종말신앙의 변천
3. 근대화와 민중신학의 천년왕국사상
4. 한국의 오순절 운동과 종말신앙
5. 시한부 종말론의 발흥과 한국 교회
제6장 종말론과 한국 기독교인의 생활
1. 전천년설과 한국의 기독교 세계관
2. 전천년설의 특징과 한국 기독교인의 삶
결론 21세기 한국 교회의 종말론적 과제
1. 하나님 나라 관점의 필요성
2. 이원론적 세계관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 5
3. 건전한 교리의 필요성
4. “하나님 나라 중심적 종말론”, “구원론에 근거한 종말론” 확립
5. “‘이미’와 아직 ‘아니’(already-not yet)의 긴장과 조화”
6. 천년왕국(millennium) 중심의 종말론적 신앙 재고
7. 통일 한국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기독교회의 역할과 종말신앙
참고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초기부터 한국 기독교의 신앙은 내용적인 면에서 감정적 경향이 강했고, 그 시각은 점차 종말론적 성향을 띄게 됐다. 오랜 박해 기간을 통해 한국 기독교는 꾸준히 성장했으며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그 영향력이 확대됐다.19 개인 또는 세상의 종말에 관한 일과 최후의 심판, 천국, 지옥과 같은 개념을 가르치는 종말론은 한국 기독교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됐다.
한국 종말론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몇 가지 태도가 있다. 그것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① 지상에서 행복하고 고난이 없는 인생을 누리려고 신과 영들의 힘에 의존함
② 숙명론적 보수주의, 즉 영의 힘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운명에 대한 인간의 무력감
③ 현실주의적 물질주의와 현세적 행복에 대한 강조로 인한 체계적인 심판론과 메시아
대망 사상이 결여
④ 다른 형태의 샤머니즘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오락적 쾌락주의
.
대다수 선교사는 이 전천년주의적 그리스도의 재림 이 성경에서 가장 중요한 종말론적 진리라고 주장했고 또 그렇게 설교했 다. 한국 성도는 전천년주의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1945년 한국이 일제 식민통치에서 해방되기 전까지, 한국 교회의 확고부동한 종말론으로 자리 잡았다.
이렇게 전천년주의의 우세한 영향 속에서도, 미국 선교사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열망하면서 복음 전도와 영혼 구원에만 관심을 가진 것 은 아니었다. 그들은 복음 전도의 우선성을 추구하면서도 사회적 관심을 다양한 선교 정책과 사역에 반영하고자 부단히 노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