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3492429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07-03-12
책 소개
목차
1장 지식인 마을로의 초대
중국 전통 과학사상으로의 초대
2장 지식인과의 만남
1. 중국 전통 과학사상에 들어가기 앞서
질적인 경험과 양적인 경험
중세 서양과 동양 전통의 '질적인 세계관'의 차이점
동양에서 서양처럼 과학혁명이 없었던 이유
2. 중국 전통 과학의 핵심범주와 원리
보이지 않지만 작용하는 힘, 기
변화를 이끄는 두 힘, 음과 양
분류와 조직의 원리, 오행
3. 『회남자』: 하늘, 땅 그리고 시간에 대한 이해
우주발생론과 유기체적 세계관의 완성
하늘의 문자 풀어내기
신토불이의 인문지리학
시간의 명령을 따르는 방법과 수비학의 전통
4. 『황제내경』: 인간에 대한 이해
동양의학의 탄생과 특징
수리학적 상상력과 기의 흐름
오행의 흐름과 정신의 위치
마음과 몸의 상관관계
5. 동양 과학사상의 체계화와 동요
유기체적 자연관을 위한 형이상학
유기체적 자연관의 동요와 해체
3장 지식토크, 테마토크
한의사와 양의사, 한판 승부
4장 이슈@지식
동양 사상에 눈을 돌린 서양과학, 대체물을 찾았는가?
유기체적 자연관에서 자연과학적 진리탐구가 가능할까?
과학의 혁명성과 철학의 소임
5장 징검다리
같이 토론하기
영어로 보는 원문
지식인 지도
지식인 연보
키워드 찾기
깊이 읽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동양 전통 과학사상의 성과물을 보았다면, 포퍼는 그것을 '유사과학'이라고 불렀을 것이다. 서양에서 아직도 유행하고 있는 점성술처럼, 동양 전통 과학사상은 경험적 데이터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동양 과학사상이 제안하는 이론은 실험을 통해 반증될 가능성을 애초에 차단하고 있다. 이 점에서 우리는 왜 동양 과학사상이 '유사과학'을 넘어서 '형이상학'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를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p39 중에서
과학에 역사가 있는 만큼 철학에도 역사가 있다. 역사 속에는 거짓된 세계와 진짜 세계라는 종교적이고 허위적인 이분법이 발을 들여놓을 수 없다. 역사의 공간에선 낡은 세계와 새로운 세계간의 역동적이고 창조적인 생성 과정만이 가능할 뿐이다. 과학과 철학이야말로 역사성, 다시 말해 역동성을 대표하는 것이다.-p20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