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34925774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07-06-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한일을 대표하는 정신, 붓과 칼
선비란 무엇인가 / 선비가 선비를 말하다 / 서양인의 눈에 비친 선비
속유와 진유 / 사무라이와 무사도 / 무사도에는 유학이 살아 있다
사무라이 정신 / 근대화 이후의 무사도
제2장 선비와 사무라이의 탄생
선비와 사무라이의 기원 / 최초의 무사 / 천황가와 사무라이
왕도 선비다 / 사무라이와 선비의 성 / 귀족과 사무라이
헤이시와 겐지의 차이 / 선비는 붓으로 싸운다 / 사무라이는 칼로 겨룬다
유교와 손자병법 / 사무라이의 고유신앙 / 선비와 사무라이의 교육
선비와 사무라이는 무엇을 위해 살았나
제3장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아시카가 요시미쓰와 아시카가 요시마사
이황과 성혼, 일본 학풍의 원류가 되다 / 손자병법의 명장 다케다 신겐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일본 유학의 아버지, 조선 선비 강항
강항의 제자 후지와라 세이카 /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도쿠가와와 미토학 / 김옥균과 민영익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당시 성리학은 자연스럽게 일본 학문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에도 막부의 관학, 정통사상이 되었다. 그 영향으로 성리학을 대입시켜 무사의 가치관을 설명하려는 학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병학자이자 유학자였던 야마가 소코이다. 그는 무사도의 전신인 사도를 확립시킨 사람이다. 그의 사도에 의해 유교적 윤리인 인, 충, 효 등이 무사에게 요구되는 규범이 되었다.-p34 중에서
현재 일본인의 근본에는 성리학의 이념이 녹아 있는데, 성리학이 일본인에게 가르친 것 중, 가장 큰 부분은 명분 쌓기라는 측면이다.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특히 메이지시대 이후 세계 여론의 흐름을 타면서 일본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할 명분을 내세우는 나라가 되었다. 청일전쟁, 러일전쟁 등을 비롯하여 태평양전쟁까지 일본은 자신의 군사행동이 정당하다는 것을 늘 세계여론에 호소해왔다.-p21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