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CEO/비즈니스맨을 위한 능력계발 > 성공학/경력관리
· ISBN : 978893494184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0-10-2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section 당신의 인생에 꼭 필요한 비즈니스 스킬
1 _ 성공하는 사람의 비즈니스 스킬
결정적 계기를 살려라
누구나 배울 수 있다. 단, 일찍 시작하라
훈련, 훈련, 또 훈련밖에 없다
비즈니스의 분명한 목적이 의지를 이끈다
비즈니스 지수의 4가지
2section 비즈니스 태도 지수
2 _ 기업가 정신 함양
스펙은 결코 빌 게이츠를 만들지 못한다
나만의 역할 모델이 필요하다
옳은 것을 바르게 행하라
무에서 유를 창조하라
월요일 아침 과제 1
3 _ 장사꾼 마인드? 비즈니스 마인드!
BAQ의 첫 단계, 장사끼-돈 냄새 맡는 귀재 ‘기회주의적 추종자’
BAQ의 두 번째 단계, 장사꾼-마이다스의 손 ‘기회주의적 발굴자’
BAQ의 세 번째 단계, 장사통-창의적 개발꾼 ‘기회주의적 창조자’
BAQ의 네 번째 단계, 경영감-감 경영의 대가 ‘사업 경영자’
BAQ의 다섯 번째 단계, 책임 경영-존경받는 비즈니스 리더 ‘사업 구축가’
BAQ의 5가지 핵심 요소를 내면화하라
4 _ 커뮤니케이션 스킬
말하지 말고 이야기하라
동물은 듣고, 인간은 경청한다
쓰기와 말하기 중 무엇이 더 효과적일까?
비언어적 신호에 주목하라
KISS 하라
월요일 아침 과제 2
5 _ 세일즈 스킬
세일즈는 3D가 아니다
거절의 두려움을 걷어내라
생생한 멘토링을 구하라
세일즈 스킬의 다섯 가지 비법을 활용하라
6 _ 비즈니스 분석 스킬
예절이 곧 비즈니스 상식 스킬의 기본
문제해결 스킬로 만능 해결사가 되라
문제해결 스킬을 단련하는 최고의 방법
월요일 아침 과제 3
3section 비즈니스 리더십 지수
7 _ 리더십 스킬
전략 스킬 - 맥아더형 리더십
운영 스킬 - 마셜형 리더십
기획 스킬 - 아이젠하워형 리더십
관계 스킬 - 브래들리형 리더십
기업가 스킬 - 패튼형 리더십
기술 스킬 - 로멜형 리더십
8 _ 리더십 성격
나의 리더십 성격 유형은?
리더십 성격의 대표유형 네 가지
리더십 성격 백분 활용하기
월요일 아침 과제 4
4section 비즈니스 네트워크 지수
9 _ 상사 관리 스킬
왜 상사를 관리해야 하는가?
상사를 관리하는 5가지 원칙
상사와의 관계를 급상승 시켜주는 T-`계정 관계
월요일 아침 과제 5
10 _ 수평적 스킬
비즈니스는 수평으로 흐른다
비공식적 채널을 최대한 가동시켜라
패스냐 슛이냐, 독점이냐 화합이냐
동료를 친구로 만드는 수평적 스킬
월요일 아침 과제 6
11 _ 네트워킹 스킬
인맥도 구분하여 관리하라
인맥 쌓기 노하우
비즈니스 인맥 확장을 위한‘쿠네오’리스트
대면 효과를 대체할 네트워킹 통화
월요일 아침 과제 7
12 _ 나의 브랜드 관리 스킬
세상엔 공짜란 없다
만족을 넘어 충성을 구하라
나의‘팬’을 어떻게 알아볼 것인가
나의 NPS는 얼마나 될까?
내 브랜드를 스스로 갉아먹지 말라
포트폴리오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라
월요일 아침 과제 8
5section 긍정이 충만한 삶
13 _ 삶을 성공으로 이끄는 긍정적 마인드
부정적 마인드부터 몰아내라
성공을 계획하고 구체적으로 그려라
긍정은 긍정을 낳는다
긍정은 삶의 역전승을 선물한다
월요일 아침 과제 9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얼마나 많은 컨설팅을 하며 사람들을 만났는지 궁금해서 지난 20년간 만났거나 함께 일한 적이 있는 기업 임원들의 수를 세어 보니 대략 3만 명 이상이었다. 지금까지 1,000개 이상 기업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만남을 하면서 임원들에게서 내가 느낀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바로 탁월한 사람은 다른 이들과 차별화되는 스킬을 가졌다는 것이다. 나는 이 스킬을‘평생 필요한 비즈니스 스킬’이라고 부른다. 이 스킬은 어떤 상황이나 환경에도 적용되는 기술, 또는 조직에서 성공하기 위한 영구적인 기초 비즈니스 스킬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즈니스 스킬을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자질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하지만 비즈니스 스킬은 후천적인 학습을 통해 연마되는 기술이다.
내가 본 성공한 임원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모두 커리어를 통해 비즈니스 스킬을 학습했다는 것이다. 미리부터 성공의 운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모두가 사회초년병 때부터 성공과 실패를 번갈아 겪으면서 환경에 적응했던 덕분에 지금의 위치에 올라설 수 있었다. 인간은 생각보다 탁월한 적응능력이 있고, 절박하고 배고플수록 적응지수는 높아지게 된다. 이 지수는 난해한 과학적 연구처럼 책만 본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누구나 다 현장에서 경험하며 학습하는 동안 적응지수를 획득해간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한 임원들은 적응을 통한‘반복학습’을 강조한다.
중간보고를 하는 날, 나는 약 100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발표해야 했다. 시력이 나쁜 그를 배려해 나는 평소에 쓰는 14포인트 대신 16포인트를 사용해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글씨를 잘 읽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컨설팅 용어를 이해하는 것도 힘들어 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는 가장 핵심적인 장표에서 멈추는 기이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2시간에 걸친 보고 끝에 그는 100페이지에서 3페이지를 핵심 장표로 뽑아냈다.
보고를 듣는 그의 자세에서 나는 그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기껏해야 70% 이해할 것이라 짐작했다. 우리는 그의 머리 위에 있었고, 그는 가끔 고개를 끄덕일 뿐이었다. 그마저도 발표 내용을 이해해서라기보다는 졸음을 견디다 못해 고개를 저절로 떨어뜨린 것으로 보였다.
팀이 회의실에서 나간 후 그는 언짢은 표정으로 3개 장표를 가리키며 시사점을 다시 설명해 달라고 했다. 그의 능력에 나는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100장의 발표 자료에 파묻혀 있던 가장 핵심적인 사안을 그는 정확히 포착해 냈던 것이다. 그것도 반쯤은 졸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