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피터 드러커
· ISBN : 9788935207770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09-03-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기술혁명의 시대
01 진보하는 일과 기술 | 02 인류 역사를 뒤흔든 기술혁명
03 근대사회를 탄생시킨 기술의 체계화 | 04 제2의 산업혁명이 된 정보혁명
2장 미래를 주도하는 기술 경영
05 21세기 경영의 화두, 지식노동의 생산성 | 06 창조적 기회와 가능성으로 벤처기업을 경영하라
07 제조 부문에 도래한 새로운 이론 | 08 기회의 원천인 기술을 관리하라
3장 체계적 혁신을 위한 방법론
09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기업가 정신 | 10 혁신을 위한 조직 설계하기
11 기업가적 정신과 혁신 경영 | 12 혁신의 기회를 만드는 요인
4장 기술이 몰고온 세계관의 변화
13 기술이 불러온 직관적 통찰 | 14 지식의 진정한 의미 | 15 자본주의 이후 사회의 도래
에필로그
책속에서
오늘날 우리는 변화를 좋은 의미로도 나쁜 의미로도 보지 않는다. 그냥 변화 자체를 표준적인 상태로 여긴다. 질서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질서 그 자체라고 본다.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변화 자체라고 여긴다. 만일 변화가 질서라고 한다면, 이는 사람이 예측하고 방향을 설정하며 관리할 수 있는 것이라고 여긴다. - 24~25쪽 중에서
대개 기술에 관해 연구하는 사람들은 기술에 영향을 끼친 요인과 영향을 받는 요인, 즉 경제, 법률, 행정, 가치관, 개념, 지식 등에 이르는 수많은 요인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지적한다. 실제로 이 모든 요인을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하물며 모든 관계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이 모든 것을 파악하는 것은 더욱더 불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이 모든 요인이 어떤 형태건 기술의 일부라는 사실이다. <…> 어느 한 가지 특정 요인이 기술을 지배하는 요인이 될 수 없다. 다만 그 특정 요인이 기술과의 관계에서 제약적인 요인인지, 또는 기회를 제공하는 요인인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 42쪽 중에서
나는 이 책이 자신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꿈으로 끝내지 않고 행동으로 연결시키는 데 필요한 경영 방식, 즉 자기 관리 방식에 관한 지침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9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