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3520831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0-06-30
책 소개
목차
제1장 회계 제도의 대변혁
회계 제도 개혁의 영향 / 우리나라 회계 제도의 문제점 / 회계 제도 개혁의 필요성 / 국제회계기준
제2장 현금흐름표
현금흐름이란?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관계 / 현금과 손익의 차이 / 조작성 / 객관성 / 흑자도산 / 다른 재무제표와의 관계 / 현금흐름표 / 현금의 정의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간접법에 의한 영업현금흐름의 구조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잉여현금흐름 / 현금흐름경영 / DCF법
제3장 연결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제표의 필요성 / 지배, 영향 / 자회사를 이용한 분식 / 연결재무제표가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연결경영 / 연결재무제표의 구조 / 미실현이익의 상계 / 투자 계정과 자본 계정의 상계 / 상계된 자회사의 자본에 대해 / 영업권과 부의영업권 / 소수주주 / 지분법 / 연결과 개별의 비교분석 / 연결납세제도
제4장 이연법인세회계
이연법인세회계의 목적 / 법인세의 구조 / 회계와 세법의 차이 / 손금불산입 처리 / 일시적 차이 / 이연법인세 제도 /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 / 이연법인세회계의 회계처리 / 연결재무제표상의 이연법인세
제5장 시가평가와 감액손실 처리
시가평가란? / 시가평가의 필요성 / 시가평가 하는 자산 / 파생상품 / 파생상품 등의 평가 / 시가평가의 도입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시가평가의 도입이 임직원에게 미치는 영향 / 유가증권의 종류 / 유가증권 / 지분법 적용 투자주식(장기투자증권) / 특수관계자 주식 / 대손충당금 / 감액손실 / 감액손실의 회계처리 / 감액손실 처리와 시가평가 / 판매용 부동산의 평가
부록
국제회계기준 FAQ
국제회계기준 관련 자료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INDEX
저자소개
책속에서
Q. 최근 뉴스를 듣다보면 아직도 모르는 회계 용어가 많이 나오고 있어요.
A. 사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회계 제도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회계 제도의 개혁은 단순히 회계 분야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회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회계 제도의 개혁 중에서도 특히 현금흐름표, 연결재무제표, 이연법인세회계, 시가회계와 감액손실 처리 등 좀더 깊이 있는 회계의 구조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한 기본편에서와 마찬가지로 제도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회계와 경제 사회의 관계, 회계와 회사 경영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 시작하자
Q. 회계의 목적은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 수 있는지 예측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잖아요. 그런데 그렇게 중요한 정보를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통해서는 알 수 없다니요?
A. 정확하게 말하면 두 가지 재무제표만으로는 직접적으로 알 수 없다. 그것을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하여 표로 만든 것이 바로 현금흐름표이다. 다시 말해서 현금흐름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통해서는 직접적으로 알 수 없는 ‘회사의 돈이 무엇에 의해 얼마만큼 증감했는가?’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하여 만든 표이다. / 제2장 현금흐름표
Q. 회사는 이익이 많을수록 좋은 게 아닌가요?
A. 회사는 익금이 늘어나고 손금이 줄어드는 쪽이 이득인 것 같지만, 과세소득이 증가하면 납부해야 할 세금도 증가한다. 회사는 가능하면 세금을 내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가 된다.
Q. 음, 잘 모르겠어요.
A. 예를 들어 대손충당금을 생각해 보자. 회계의 관점에서는 비용으로 계상해야 하는 것이지만 세법의 입장에서는 과세소득이 줄어들지 않게 하려고 비용 중 일부만을 손금으로 인정해 준다. 대손충당금은 채권 중 회수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부분을 미리 비용으로 계상해두기 위한 것이었다. 대손은 일상적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불가피한 것이므로, 대손충당금을 계상하여 수익과 비용이 대응하고 회계가 회사의 실태를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했다. 그렇지만 대손충당금은 비용이다. 만일 이것을 손금 처리하면 그만큼 과세소득이 감소하여 세금이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세법의 입장에 어긋나기 때문에, 세법으로서는 대손충당금을 전약 손금으로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 제4장 이연법인세회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