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3520830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0-06-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주식회사의 구조와 회계의 역할
주식회사의 역할 / 주식회사의 구조 / 주주가 얻을 수 있는 이익 / 채권자 / 주주와 채권자의 차이 / 자본이득 / 채권자의 위험 / 주가 / 자본비용 / 돈을 번다는 것 / 회계의 역할 / 회사가 돈을 버는 과정 / 회전 / 회계감사 / 이해 조정 기능 / 회계와 기업 경영 / 회계가 중시되지 않은 이유 / 경영자는 왜 주가를 걱정하는가?
제2장 복식부기
거래의 종류 / 거래의 이중성 / 조달 거래 / 투자 거래 / 회수 거래 / 복식부기의 구조 / 차변과 대변 / 대차의 일치 / 계정과목 / 자산 / 부채 / 자본 / 수익 / 비용 /자산과 비용의 관계 / 손익 / 재무제표 / 잔액시산표 / 자본잠식 / 회사가 돈을 버는 과정과 회계
제3장 거래를 언제 기록해야 하는가?
발생주의 / 신용거래 / 실현주의 / 수익과 비용의 대응 / 수입ㆍ지출과 수익ㆍ비용 / 감가상각 / 자산과 비용 / 금융자산과 사업용 자산 / 충당금 / 가정과 계속성 / 결산
제4장 거래를 얼마로 기록해야 하는가?
취득원가주의 / 시가 / 자산 금액의 의미 / 상품과 제품의 평가 / 검증 가능성 / 실현주의와의 관계 / 유가증권 및 매출채권 등의 평가 / 상품과 유가증권의 차이 / 금융자산과 사업용 자산 / 감손 처리
제5장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란? / 재무상태표에 대한 오해 / 재무상태 / 순자산과 총자산 / 유동자산 / 회전율과 회전기간 / 자산의 유동화와 고정화 / 증권화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영업권 / 투자자산 / 부채와 자본 / 부채 / 사채발행차금 / 유동비율 / 자본 / 고정비율 / 자기자본비율 / 안정성과 신용등급 / 재무상태표 불황
제6장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의 목적 / 경영 실적의 지표 / 회사의 활동 실태 / 배당 가능 이익의 계산 / 손익계산서의 구조 / 매출총이익 / 영업손익 / 법인세 비용차감전 순손익 / ROA / 법인세비용 / ROE / EPS와 PER / 손익분기점과 CVP 분석
INDEX
책속에서
Q. 특별히 경리부서에서 일한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회계가 뭔지 몰라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요?
A. 일반인들에게 회계는 재미없고 나와 관계없는 다른 세계의 일처럼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회계 지식은 회사와 관련되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관심 있는 회사의 주식을 사려고 하는 투자자나 직장을 구하려고 하는 구직자의 입장에서 ‘이 회사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에 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또한 회사를 관리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경영자는 ‘지금 우리 회사는 어떤 상태에 있고 나의 결정은 회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반드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회계는 이와 같이 회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효한 수단이다.
/ 시작하자
Q. 회전이 빠르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A. 회전이 빠르다는 것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돈이 가치를 만들어서 다시 회사로 되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주주로부터 1,000원을 받아서 그 1,000원을 사용하여 제품을 만든 후, 1,100원에 파는 두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A사는 반년 후에 1,100원이 되돌아왔는데 비해 B사는 1년 후에 1,100원이 되돌아왔다고 한다. A사와 B사 중 어느쪽이 주주의 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가?
Q. 왠지 A사일 것 같은 기분이 드는데요.
A. 그렇다. … A사와 B사는 모두 1,000원을 1,100원으로 증가시킨다는 점은 같지만, A사가 B사보다 회전이 빠르기 때문에 1년 후의 돈은 A사가 많아지는 것이다. / 제1장 주식회사의 구조와 회계의 역할
Q. 재무제표가 뭔가요?
A. 회계의 역할은 투자자나 채권자에게 회사가 미래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얼마만큼의 돈을 벌 수 있는가를 예측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재무제표는 그러한 정보를 주주나 채권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회사의 활동은 복잡하고 그 양이 많기 때문에 거래를 분개의 형식으로 기록하여 계정과목별로 자료를 정리한 후 표로 만들어 주주나 채권자 등에게 제공한다. 우리나라의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의 5가지가 있다. / 제2장 복식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