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유럽의 농업과 식량공급의 역사)

빌헬름 아벨 (지은이), 김유경 (옮긴이)
한길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유럽의 농업과 식량공급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5662470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11-08-05

책 소개

헬름 아벨은 개별학문이 세분화되는 시대에 경제학과 사회과학·역사학 등 여러 분야에 정통하고 이를 자신의 저작에 광범하게 포섭한 위대한 학자였다. 그의 처녀작이자 주저인 『농업위기와 농업경기』는 광대한 학문세계를 집약하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서구 경제사 연구와 서술의 탄생과 발달 과정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유럽의 농업과 식량공급의 역사

빌헬름 아벨과 그의 농업사 연구·김유경·7

제3판 서문·37
제2판 서문·39

도입
1. 13세기 이래 유럽의 곡가변동에 나타나는 장기적 파동·41
현상·41│문제·43
2. 경제체제와 소득분배·50
중세 성기 분업적 유통경제의 전개·50│봉건지대와 지대·55
3. 산업화 이전의 경제에서 수확변동이 화폐와 물자유통에 미친 영향·60
라브루스 학파의 위기이론·61│문제제기의 범위를 확대하는 시도·62

제1부 유럽의 농업 및 식량공급 변동상태
13세기부터 15세기 말까지
I. 중세 성기의 호황·73
1. 가격변동·73
가격동요와 장기적 추세·73│화폐유통·79
2. 인구증가와 토지개발·81
중세 성기의 인구증가·81│농업제도의 변동과 농업의 진보·85
개간과 정착·90
3. 지대, 농민의 소득과 임금·97
지대의 상승·97│농민의 처지·104│임금에 대한 증거·107
Ⅱ. 장기변동의 전환·111
1. 진행과정과 시동요인·111
농업시장의 급변·111│봉건제의 위기·113
2. 1315/17년의 기근·116
곤경의 확산과 그 강도·116│유럽은 인구과잉이었던가·121
3. 세기 중엽의 흑사병·125
흑사병 유행기 유럽의 인구감소·125│흑사병의 경제적 귀결·129
Ⅲ. 중세 후기의 농업불황·137
1. 가격과 임금변동·137
중세 후기의 가격변동·137│수공업장인의 황금시대·145
중세 후기의 기근과 판로위기·158
2. 토지이용, 지대 및 농민의 임금·175
유럽 곡물재배의 후퇴·175
가축사육, 특용작물재배와 소득 탄력적 농산물의 소비·178
북부 이탈리아의 농업·184│중부 및 북부 유럽의 농업소득 감퇴·187
3. 중세 후기의 황폐·200
개념, 범위, 황폐지의 분포·200│황폐화 과정·214
4. 중세 후기 농업불황의 원인·224
화폐 및 실물경제 이론·224│중세 후기의 인구감소·227

제2부 유럽의 농업 및 식량공급 변동상태
16세기부터 18세기 말까지
I. 16세기의 농업과 생활수준·235
1. 농업의 호황·235
유럽의 인구증가·235│토지의 개발·241
농업생산의 집약화와 지역적 분화·249
2. 16세기의 ‘가격혁명’·270
곡가의 변동·270│공산품의 가격과 임금·275
일부 소득탄력적 농산물의 가격·280
3. 지대의 상승·283
계약지대·283│토지가격, 농민소득, 토지투기·292
4. 실질임금의 하락·303
실질임금과 ‘곡물임금’·303│임금하락의 파급범위·310
5. 경제 전반의 연관관계·315
해석사·315│16세기의 인구, 소비와 투자·319
Ⅱ. 위기, 전쟁, 장기추세의 급변·331
1. 17세기 전반기의 농업시장·331
17세기 초의 판로위기·331│30년전쟁과 북서부 유럽의 농업호황·336
2. 독일의 30년전쟁·343
기근, 역병, 판로경색·343│전쟁의 지속적 영향·346
Ⅲ. 경기하강과 불황·351
1. 유럽의 가격과 임금: 17세기 중엽부터 18세기 중엽까지·351
가격동태·351│임금·354
2. 프랑스 농업의 쇠퇴·356
장기적 추세·356│수확주기·363
3. 잉글랜드의 위기·368
문헌증거·368│1660년대의 판로위기·371
1680년대의 농업위기·373│1690년대 초의 신용위기·375
18세기 초 수십 년간의 위기·377│1720년부터 1750년까지의 위기·377
가격 및 판로위기의 원인·380
4. 북서부, 북부, 동부 유럽의 정체·384
네덜란드와 벨기에·384│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 제국·386
동부 독일과 폴란드·388
5. 30년전쟁부터 18세기 중엽까지의 독일 농업·390
전쟁 이후의 장기불황(1650~90)·390│회복의 시작·395│역전과 난관·398
6. 농업불황의 성격과 원인·402
화폐 및 실물경제 이론·402│협상가격차(鋏狀價格差)와 농업생산·404
인구동태·406

제3부 유럽의 농업 및 식량공급 변동상태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중엽까지
I. 18세기 후반의 농업호황·419
1. 가격과 임금·419
농산물 판매가와 생산비의 협상차(鋏狀差)·419
가격상승의 원인·426│소득영역에서의 반작용·430
2. 농업의 성장·432
새로운 호황의 조건·432│경작면적의 증대·435
농업 집약도의 증가·439│판로·444
3. 지대와 농민의 임금·447
지대, 차지료 및 토지가격·447│농민의 소득·453
토지거래와 토지저당·457
Ⅱ. 세기 전환기 이후의 농업위기·463
1. 위기의 세 국면·463
제1차 국면(1801~1805)·463│제2차 국면(1806~17)·467
제3차 국면(1818~30)·473
2. 위기의 영향·483
위기에 대처하는 북서 독일 농민경제의 사례: 희생과 극복·483
유럽의 사태 개관·486│동부 독일의 대농장 경영·494
3. 위기의 종말·496
가격하락의 원인·496│새로운 상승동력·499
잉글랜드에서의 회복장애·500
Ⅲ. 대중빈곤·503
1. 유럽의 임금과 생활수준: 1790년부터 1850년까지·503
독일의 곤경·503│프랑스의 임금과 생계비·512
영국의 임금과 임금의 국제비교 시도·516
2. 대중빈곤의 역사적 위치·522
중세 이래에 등장한 실질임금 하락의 여러 단계·522
식품 소비와 생산의 변동·525│한 시대의 종말·534

제4부 산업시대와 유럽의 농업 및 식량공급
종결부의 서론·541
I. 식량공급의 난관 극복·543
1. 19세기 중엽 이래의 가격, 임금 및 생활수준·543
실질임금의 상승·543│식료품 소비의 변동·548
2. 농업생산·552
경영의 기초·552│생산방향의 집약화와 변동·560
소출의 증대·562│세계경제 차원에서의 분업·564
Ⅱ. 공업시대의 농업위기·567
1. 유럽 내부의 상쇄국면(1830~70)·567
잉글랜드의 곡물수입관세 폐지·567│대륙농업의 ‘황금기’·569
토지투기, 과도채무 및 신용위기·573
2. 범세계적인 교란국면·576
19세기 마지막 4분기의 농업위기·576│전간기(戰間期)의 농업위기·583
위기의 원인·585

요약과 결론
1. 중세 성기 이래 유럽의 농업 및 식량공급의 장기변동추세·591
2. 19세기 중엽의 발전중단·594
3. 농업위기·597

부록
I. 화폐 및 도량형 환산·601
1. 서론·601
2. 가격환산표에 대한 주해(註解)·611
Ⅱ. 표·635
<표 1> 유럽의 밀과 호밀가격, 13~20세기·635
<표 2> 독일의 호밀가격, 14~20세기·637
<표 3> 유럽과 아메리카의 밀과 호밀가격, 1791~1830·639
Ⅲ. 유럽의 가격 및 임금사 자료집 목록·641

찾아보기·659
옮긴이 후기·671

저자소개

빌헬름 아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포머른 주의 뷔토에서 태어났다. 킬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1929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칼바이트의 조수로 연구활동을 하다 스칼바이트와 함께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대학교로 옮겨 1935년에 교수가 되었다. 그의 교수자격 청구 논문집인 『13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중부 유럽의 농업위기와 농업경기』는 그가 평생을 걸쳐 연구한 농업사 연구의 기본구상을 담고 있다. 1941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 초빙되었고 1946년에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농업정책 강의를 시작했다. 농업정책 담당 정교수와 농업제도및경제정책연구소의 소장을 겸임하며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쳤고 1965년에는 괴팅겐 대학교의 사회경제사 연구소장직을 맡아 1973년에 은퇴할 때까지 꾸준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경제학과 사회과학, 역사학에 두루 정통하여 자신의 저작에 표현해낸 학자였다. 다방면에 걸친 그의 지식은 베버, 좀바르트와 같은 대학자 세대 최후의 일인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광범위했다. 독일어권에서 계량경제사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그는 경제사 중에서도 식량공급의 역사에서 수공업사를 포함하는 분야를 주로 연구했고 농업정책, 농촌 사회 정책, 수공업정책에 이르는 사회문제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 성과를 낸 바 있다. 아벨은 프랑스의 라브루스, 영국의 포스탄, 소련의 코스민스키와 더불어 현대적 경제사 연구의 개척자로 일컬어진다. 특히 경제사 분야가 낙후되었던 독일에서 경제사학회 창립을 주도하는 등으로 경제사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또한 프랑스의 브로델, 구베르 그리고 『랑그도크의 농민들』을 저술한 르 루아 라뒤리 등과 교유하며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저작을 내놓았다. 농업에 대한 연구를 하며 아벨이 남긴 업적은 분업적 유통경제의 존재를 밝히고 농업과 분업적 유통경제의 연관관계가 농업 발달뿐만이 아니라 전체 경제의 구축과 확장을 위한 전제로써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밝힌 것이다.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량과 합리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해낸 그의 연구성과는 중세의 어둠을 거두어내고 경제 속에서 경제에 의해 행동하고 고통을 겪은 인간의 모습을 구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농업위기와 농업경기: 중세 성기 이래 중부 유럽의 농업과 식량공급의 역사』를 비롯하여 『중세 말기의 황폐』 『중세 말기 경제의 구조와 위기』 『농업 정책』 『중세 초에서 19세기까지 독일 농업사』 『산업혁명 전야 독일의 빈곤』 『전(前)산업 시대 유럽에서 대량 빈곤과 기아의 위기』 『영양 수준. 역사적 스케치』 『중세 후기 경제의 구조와 위기』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6. 3.-1980. 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 1982. 9.-1986.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 졸업, 석사학위 취득 1986. 3.-1988. 6.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1988. 10.-1996. 6. 독일 괴팅엔 대학, 중세 및 근대 유럽사, 고대사, 교육학 수학, 중세유럽사를 주제로 박사학위 취득 1997. 3.-2020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재직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