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35914418
· 쪽수 : 301쪽
· 출판일 : 2008-05-20
목차
발간에 즈음하여 4
발간사 : 꿈과 추구 ― 독자들을 위해 엮은 중국 역사 백과사전 6
총서總序 : 현대인과 역사 8
전문가 서문 : 서주의 역사적 의미 14
찬란한 중국 역사 한눈에 보기 ― 이 시리즈를 읽기 전에 16
머리말 :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771년
흥망의 여정 ― 서주西周 20
001 거인의 발자취 26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아들을 낳은 강원
002 천재적인 농부 28
뛰어난 농사 기술을 가진 기
003 공류의 경제 누적 30
공류의 덕으로 주족은 다시 흥성하게 되었다
004 태왕의 사랑 32
태왕 공단부는 부인 강씨만을 진심으로 사랑했다
005 오나라로 내려간 태백 35
동생에게 왕위를 양도하기 위해 궁을 떠나다
006 계력의 죽음 38
상나라 왕 문정에게 박해받은 계력
007 돼지우리에서 출생한 문왕 41
아들을 현명한 임금으로 키워 낸 문왕의 어머니
008 시체에까지 미친 은덕 44
문왕은 주인 없는 시체를 관에 넣어 매장했다
009 영대의 노랫소리 46
문왕을 사랑하는 백성들
010 방랑객 여상 48
강태공의 유랑 이야기
011 서백 창의 하옥 50
상나라 주왕에게 감금된 서백 창
012 《주역》에 대한 연구 52
옥에서 주역 64괘를 연구하며 번뇌를 달랜 서백 창
013 백읍고를 죽인 주왕 54
상나라 주왕은 볼모로 잡고 있던 백읍고를 죽였다
014 신갑과 죽웅 56
덕성 높은 서백 창을 찾아오는 현인들
015 강태공의 낚시질 58
낚시질을 하고 있던 강태공과 재회하다
016 땅과 옥판을 바치다 60
뛰어난 계략으로 적들을 약하게 만든 서백 창
017 우예인의 소송 62
상나라를 멸망의 때를 기다리다
018 태사의 꿈 64
꿈으로 여론을 조성한 문왕의 왕비 태사
019 벌숭대첩 66
상나라 멸망을 위해 주변국부터 정벌하다
020 강태공의 병략 68
탁월한 경륜과 도략을 발하는 강태공
021 임종 시 태자에게 남긴 문왕의 유언 70
태자 발에게 사람의 이치와 역사의 경험을 알려 주다
022 맹진의 군사훈련 72
많은 제후들과 군사훈련을 하면서 동맹을 맺은 무왕
023 〈태서〉의 고동鼓動 74
긴 연설로 군사들의 사기를 북돋우다
024 절지에서의 환생 76
온갖 역경들을 딪고 전진하는 주나라의 군사들
025 목야의 결전 79
노예들의 반란으로 모래성처럼 무너진 상나라 군대
026 삼공을 세 번 사양한 상용 82
상용을 주나라 삼공으로 청하다
027 상나라 포로들에게 감사를 표한 무왕 84
상나라 포로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가르침을 받다
028 백이와 숙제 86
주나라의 양식을 먹지 않고 굶어 죽은 백이와 숙제
029 무경과 삼감 88
상나라 유민들을 다스릴 치밀한 계획을 세우다
030 조선으로 간 기자 90
조선으로 간 기자를 군주로 책봉하다
031 치국의 〈홍범〉 92
무왕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대법을 진언한 기자
032 주공의 계책 96
형제들 중에서 지모와 덕성이 가장 걸출한 주공
033 강태공의 단서 98
여러 가지 계략으로 무왕을 보필하는 강태공
034 신기 구정 100
하, 상, 주의 국왕들이 모두 탐내던 아홉 개의 큰 정
035 큰 개를 진상한 서융 101
무왕에게 완물상지玩物喪志를 경고한 소공
036 활을 바친 숙신 102
무왕은 숙신이 바친 활을 맏딸의 혼인 예단으로 보냈다
037 천보미정 104
정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 고심하는 무왕
038 금갑 안에 보관한 책서 106
무왕 대신 자신의 죽음을 기원한 주공
039 하늘이 노하다 108
주공의 섭정에 성왕이 의혹을 품다
040 반란을 평정한 동정 111
무경과 주변 세력들의 반란을 평정하다
041 시 〈치효〉 114
동정의 길에서 성왕에게 시를 써 보낸 주공
042 사병들의 마음 115
병사들의 마음을 읊은 시
043 친척에 대한 책봉 116
동방 정벌로 점령한 땅을 친척들에게 분봉하다
044 태공의 귀향 119
제나라를 분봉받은 상나라 유민들을 통치했다
045 송나라를 책봉받은 미자 121
미자는 송나라를 분봉받아 상나라 유민들을 통치했다
046 동도의 건설 122
동정에 승리한 후 낙읍에 동도를 세우다
047 상나라 귀족들의 강제 이주 124
상나라 귀족들을 강제로 이주시켜 반란을 예방하다
048 백금의 노나라 126
노나라 주변의 이인, 융인들의 반란을 평정한 백금
049 주공과 소공의 마찰 128
주공의 섭정에 의심을 품은 소공
050 강숙에 대한 가르침 132
위나라를 분봉받은 강숙을 타이르는 주공의 글
051 채중의 각성 134
채중을 채나라 제후로 봉하다
052 예의 규범과 음악 창작 136
국민들의 화목을 위해 예악을 제정한 주공
053 소공을 노래한 시 〈감당〉 140
소공에 대한 백성들의 그리움과 존경을 읊은 시
054 제나라의 패도와 노나라의 왕도 142
패도와 왕도의 결과를 생각하다
055 숙질 간의 깊은 정 143
대대로 칭송받는 주공과 성왕
056 주공의 장례 146
임종 시 동도에 묻어 달라고 요청한 주공
057 초나라를 분봉받은 웅역 148
형산 일대에서 세력을 키우는 초나라
058 성왕의 정치 150
서주의 황금시대를 이룩한 성왕과 강왕
059 소왕의 남정 153
초나라를 공격했지만 실패한 소왕
060 흰 늑대 몇 마리를 얻은 목왕 155
견융 정벌에서 아무것도 얻지 못한 목왕
061 형법을 수정한 여후 157
강력한 법으로 나라를 다스리다
062 유람을 일삼은 목왕 161
여행을 즐긴 목왕은 여행길에서 많은 신화를 만들었다
063 팔두마차를 모는 조부 162
팔두에 목왕을 태우고 서역을 돌아다닌 조부
064 서역의 풍경 164
서북 만 리에 펼쳐진 장엄한 풍경들
065 서왕모를 만남 166
전설로 전해 내려오는 신비스러운 이야기들
066 딸을 바친 성백 168
성백의 딸을 사랑한 목왕
067 추위에 백성을 애도 170
얼어 죽은 백성들 생각에 잠 못 들다
068 호랑이를 잡은 고분융 172
목왕 앞에 나타난 호랑이를 산 채로 잡은 고분융
069 미녀 셋을 얻은 밀강공 174
미녀 셋을 바치지 않아 멸망당한 밀강공
070 효왕과 서융 176
효왕은 서부에 두 제후국을 봉해 서융의 침범을 막았다
071 노예 매매 178
물건처럼 선물하고 사고팔았던 노예 제도
072 웅거의 출병 180
이왕이 위중한 틈을 타 출병한 웅거
073 제 애공의 난 182
제 애공의 죽음으로 긴 혼란에 빠진 제나라
074 목우의 소송 183
상관의 악행을 고발했으나 오히려 매를 맞은 목우
075 국인들의 폭동 184
여왕이 실행한 전리에 분개하여 일어난 국인
076 태자를 구한 소목공 186
자기 아들의 목숨을 바쳐 태자를 구한 소목공
077 상나라를 거울로 188
시로써 여왕에게 간곡하게 진언하다
078 여왕을 꾸짖은 예량부 190
여왕의 악행을 질책한 예국의 군주 예량부
079 적전례의 폐지 192
적전례를 폐지하고 세금을 거두어 들이다
080 선왕의 중흥 194
인재들을 발탁해 나라를 안정시킨 선왕
081 진중의 죽음 197
서융을 공격하여 원수를 갚다
082 강후의 간언 198
주색에 빠진 선왕을 강후가 깨우쳤다
083 장자를 폐하는 바람에 생긴 변란 200
세자를 폐한 선왕 때문에 대란이 일어난 노나라
084 선왕을 쏴 죽인 두백 202
두백으로 위장한 사람에게 죽음을 당한 선왕
085 이름 ‘구’가 초래한 재앙 204
이름대로 재앙이 일어나다
086 지진으로 인한 논의 206
지진으로 주나라의 멸망을 예언하다
087 포사의 내력 208
요괴의 씨라고 불리는 포사
088 봉화로 제후들을 놀린 유왕 210
포사의 웃음을 보기 위해 거짓 봉화를 올린 유왕
089 의구의 원한 212
궁에서 쫓겨나 슬픔과 한을 품고 살아간 태자 의구
090 유왕의 죽음 213
견융과 연합한 신후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다
091 풍자시의 유행 214
서주 말년에 유행한 국왕과 관리들을 풍자한 풍자시
092 불평이 있으면 말하게 되는 법 216
서주 말년, 불만을 시로 나타낸 사람들
093 나라를 구한 정 환공 218
나라를 지키기 위해 동으로 이주하다
094 금문이 새겨진 청동기 220
서주 시대 수많은 역사들이 기록되어 있는 청동기
초점: 기원전 1046년부터 기원전 771년까지의 중국 222
기원전 1046년부터 기원전 771년까지의 사회 생활 및 역사 문화 백과 224
찾아보기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