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3591443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8-05-20
목차
발간에 즈음하여 4
발간사 : 꿈과 추구 ― 독자들을 위해 엮은 중국 역사 백과사전 6
총서總序 : 현대인과 역사 8
전문가 서문 : 전국 시대 역사에 대한 전국사 전문가의 연구 정화 14
찬란한 중국 역사 한눈에 보기 ― 이 시리즈를 읽기 전에 16
머리말 :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1년
변혁이 일어나고 발전을 추진한 시대 ― 전국戰國 20
001 묵자가 공수반을 지혜롭게 일깨우다 28
송나라 진공을 앞두고 벌인 두 현자의 설전
002 의사 예양 31
은덕을 갚기 위해 죽음으로 보답한 예양
003 서문표가 업성을 다스리다 34
권세가들의 탐학과 서문표의 해결책
004 문후가 상을 선택하다 36
위나라 문후가 인재를 선택한 다섯 가지 표준
005 전자방의 한마디 사람을 놀래다 39
겸손하면 이득 보고 교만하면 손해 본다는 이치
006 백규의 경영 책략 41
버리면 취하고 취하면 준다는 상업 철학
007 일대 명장 오기 44
출세를 위해 어머니와 이별하고 아내를 죽임
008 오기의 죽음 47
오기의 정치 개혁과 귀족들의 반발
009 섭정이 한 상을 죽이다 50
섭정이 의를 위해 죽고 섭영이 동생의 이름을 남김
010 직하학궁의 성황 52
2300여 년 전 중국 인재 배양의 요람
011 박식한 혜시 54
왕위를 물려받을 뻔한 혜시의 박식함
012 신불해가 뒷문거래하다 56
한나라가 변법 개혁에 실패한 이유
013 추기가 상 벼슬을 하다 58
거문고를 타며 제나라 위왕을 일깨운 추기
014 위왕이 간언을 수용하다 61
모든 사람들의 건의를 정사에 이용한 제나라 위왕
015 법치로 다스리다 62
제나라 위왕이 가마로 신하를 다스린 이야기
016 지혜로운 순우곤 64
순우곤이 제나라 위왕을 일깨운 세 가지 이야기
017 나라를 다스리는 술책 66
공손앙이 진나라 효공에게 개혁안을 대 줌
018 나무 기둥을 세워 신용을 지키다 69
신용을 지켜 변법 개혁을 성공시킨 공손앙
019 거짓을 꾸며 공자 앙을 생포 72
거짓을 꾸며 친구를 생포하고 공을 이룬 공손왕
020 능지처참의 극형 74
엄한 법령을 내린 공손앙의 처참한 종말
021 진진이 군사를 물리치다 76
우화 이야기로 대군을 물리친 진진
022 경리가 위험에서 벗어나다 78
태연한 자태로 웅변하여 위험을 모면한 경리
023 전기가 경마하다 79
불리한 경마를 승리로 이끈 손빈
024 위를 포위해 조를 구하다 81
계릉 전역에서 계책으로 방연을 사로잡은 손빈
025 마릉 대첩 83
부엌을 줄이는 계책으로 이룬 대승
026 추기가 전기를 음해하다 87
시기와 질투로 나라 대사를 망친 추기
027 제모변이 은혜를 갚다 88
제모변이 목숨을 걸고 은혜를 갚은 이야기
028 바다의 큰 고기 90
단 세 글자로 백성의 고통을 덜어 준 사람
029 맹자의 모친이 세 번 이사하다 92
아성 맹자와 그 어머니의 교육관
030 진나라와 제나라의 쟁탈전 94
진나라 소왕이 주 왕실을 멸하고 정 8개를 얻음
031 나무 위에서 물고기를 찾다 96
받아들여지지 않는 맹자의 ‘인정과 왕도’
032 장자의 나비 꿈 98
사람은 천지 만물과 하나임을 주장한 장자
033 선혜왕이 기만을 당하다 102
세 나라가 서로 제 욕심을 차림
034 600리가 6리로 변하다 104
장의의 속임수에 걸려든 초나라 왕
035 장의의 처세술 107
장의가 처한 위기와 이를 타개한 그의 처세술
036 굴원의 비장한 여정 110
충신이건만 배척을 받아 강에 몸을 던진 굴원
037 장교 농민 대봉기 114
초나라 백성들의 귀족 통치 세력에 대한 저항
038 공손룡의 궤변 116
‘흰 말은 말이 아니다.’라는 유명한 궤변과 현실
039 적현 신주 118
추연에 의한 음양 오행설의 탄생
040 식양지맹 122
진나라 무왕과 좌정승 감무의 장엄한 맹세
041 무왕이 ‘구주신정’을 들다 124
자신의 힘을 과신해 죽음에 이른 진나라 무왕
042 신릉군이 사죄하다 126
충의지사의 자결과 오만한 신릉군의 사죄
043 호인을 따라 배우다 128
전투력 증강을 위한 조나라 무령왕의 과감한 개혁
044 우매한 군주 간악한 신하 130
간악한 신하로 인한 중산국의 멸망
045 양후가 정권을 잡다 134
공헌이 큰 만큼 권세도 부린 진나라 양후
046 무령왕이 곤욕을 치르다 136
왕위 계승으로 인해 비참한 종말을 맞은 맹주
047 풍환이 빚을 받다 137
풍환이 맹상군의 빚 대신 ‘의’를 사 온 이야기
048 약은 토끼의 세 갈래 굴 140
역경 속에서 맹상군을 도와 다시 일어서게 한 풍환
049 소문 듣고 재상을 얻다 142
맹상군을 얻으려 했으나 죄인 취급한 진나라 소양왕
050 구도계명狗盜鷄鳴 146
수하 문객들의 장기로 위기를 탈출한 맹상군
051 연 왕 쾌가 나라를 망치다 149
간신의 아첨에 들떠 나라를 망친 연나라 왕 쾌
052 황금대를 지어 인재를 모으다 152
인재를 얻기 위해 황금대를 지은 연나라 소왕
053 오만한 송나라 왕 언 154
오만함으로 인해 나라를 망하게 한 송나라 왕 언
054 소진이 첩자가 되다 156
은혜를 갚기 위해 첩자가 된 소진
055 악의가 제나라를 정벌 159
도처에서 원수를 맺은 제나라를 연나라 소왕이 복수함
056 애국 소년 왕손가 162
망하게 된 제나라를 15살 소년이 구함
057 전단의 복국復國 164
연나라를 물리친 전단의 화우진
058 노중련이 묘책을 내다 167
적장을 자결케 하고 적군의 포위를 푼 묘책
059 순자의 유세 170
여러 나라에서 정치 사상을 편 유가의 대사
060 장자가 검을 논하다 172
검을 빗대어 혜문왕을 깨우쳐 준 장자
061 신의를 지키지 않는 기만술 176
잔간계로 진나라와 조나라의 연합을 방해한 맹묘
062 지혜로 초나라 영윤을 설득 178
초나라의 겸병을 막아 낸 주나라 무공
063 완벽귀조完璧歸趙 180
‘화씨벽’도 보존하고 나라의 존엄도 지킨 인상여
064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다 184
생사 결판의 기세로 조나라의 존엄성을 지킨 인상여
065 장군과 인상여의 화해 186
<장상화>로 전해지는 인상여와 염파의 이야기
066 병사를 빌려 성벽을 쌓다 188
계책을 내 무보수로 성벽을 쌓은 마범
067 세금을 받아들이는 조사 191
법에 따라 엄격히 세금을 징수한 조사
068 진나라 군을 물리침 194
담략과 지혜를 겸비한 조사가 진나라를 격퇴
069 조 태후를 권고하다 196
조나라 태후의 편애를 지혜로 설득한 촉용
070 죽음을 가장해 도망쳐 나오다 199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구한 범저
071 진나라에 귀순 204
범저가 범의 아가리를 벗어나 진나라에 피신
072 먼 곳과는 화친하고 가까운 곳은 치다 206
가명을 쓴 범저가 진나라의 장대한 책략을 세움
073 기회를 타 복수하다 208
기회를 얻어 가슴에 맺힌 원한을 푼 범저
074 궁지에 몰리다 212
궁지에 몰린 위제가 도망 끝에 자결함
075 이간책을 쓰다 214
노장군 염파를 이기기 위한 범저의 이간책
076 장평에서의 참패 218
탁상공론을 일삼던 조괄의 대패
077 자기 자신을 천거한 모수 220
스스로를 천거한 후 초나라 왕과 혈맹을 맺은 모수
078 병부를 훔쳐 조나라를 구하다 223
나라의 위기를 위해 병부를 훔쳐 군사를 통솔한 신릉군
079 백기의 죽음 226
정치에 아둔한 명장의 억울한 최후
080 승상 자리에 오른 채택 230
설교로 범저를 은퇴시키고 승상 자리를 차지한 채택
081 정국거 232
첩자로 파견되어 위대한 ‘정국거’를 완성함
082 여동생을 바친 이원 234
여동생의 자색을 출세의 자본으로 삼은 이원
083 귀한 상품을 저장하다 237
장사꾼 여불위가 진나라 승상이 됨
084 일자천금 240
여불위의 명저 《여씨춘추》에 관한 이야기
085 진나라 왕 정의 철권 통치 241
반란을 평정하고 대권을 틀어쥔 진나라 왕 정
086 나이 어린 상경 244
뛰어난 지혜로 12살에 상경으로 발탁된 감라
087 위료의 합병 모략 247
교묘한 책략으로 전국 통일의 토대를 마련한 위료
088 축객령을 반대한 이사 249
축객령 반대 상소로 이름을 날린 이사
089 한비가 모해되다 251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동창에게 모해를 당해 죽음
090 원한을 품고 죽은 이목 254
간계에 걸린 명장의 죽음으로 조나라가 멸망
091 전광의 의협심 256
자결로 천고의 비밀을 고수한 전광
092 머리를 내놓은 번어기 259
복수를 위해 자결한 번어기
093 형가가 진 왕 정을 찌르다 262
진 나라 왕 정 암살 시도가 실패로 돌아감
094 4국의 최후 결전 265
4국의 연합을 뇌물로 해체한 진나라
095 노장 왕전의 청탁 266
왕전이 작은 청탁으로 큰 재화를 막음
096 초나라를 점령하다 268
묘수를 써 초나라를 일거에 멸한 왕전
097 조나라의 가녀歌女 271
사회 격변기를 반영하는 전향적 인물들
098 《백가》 272
천고에 전해지는 전국 시대의 대표적 이야기들
099 《손빈병법》의 발견 273
20세기 70년대에 비로소 발견된 천고의 병서
초점 : 기원전 403년부터 기원전 221년까지의 중국 274
기원전 403년부터 기원전 221년까지의 사회 생활 및 역사 문화 백과 278
찾아보기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