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36486235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8-01-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남북관계를 보는 눈
먼저 움직이자: 능동적 접근 / 넓게 보자: 포괄적 접근 / 길게 보자: 역사적 접근 / 거울 앞에서
1장 전후(戰後): 1950년대와 제네바 회담
판문점에서 제네바로 / 평화공존론: 중국의 전후구상 / 미국의 전후구상과 한미 갈등 / 제네바의 남북관계: 통일방안 제안경쟁 / 제네바 회담 이후 동북아 냉전질서
2장 대결의 시대: 1960년대 제한전쟁과 푸에블로호 사건
남한 대 북한: ‘제한전쟁’ 시대 / 북한 대 중국: 전략적 이해의 복원 / 소련 대 북한: 정세완화 외교 / 북한 대 미국: 판문점 협상 / 한국 대 미국: 갈등 조정의 외교 / 대결체제의 교훈
3장 대화가 있는 대결의 시대: 1970년대와 7·4남북공동성명
7·4남북공동성명으로 가는 길 / 대결의 시대에 펼쳐진 남북대화: 7·4남북공동성명 / 데탕트 위기론과 한미 갈등 / 국내정치로서 대북정책 / 다시 대화에서 대결로
4장 합의의 시대: 북방정책과 남북기본합의서
최초의 인도적 지원과 이산가족 상봉 / 전두환 정부의 남북대화 / 전두환에서 노태우로: 북방정책의 형성 /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당사자 주도 원칙 / 남북기본합의서의 의미와 좌절
5장 공백의 5년: 김영삼 정부의 남북관계
만들어진 공포, 1994년 6월 전쟁위기 / 조문 파동: 대북정책의 국내정치화 / 통미봉남: 남·북·미 삼각관계에 대한 오해 / 여론에 따라 춤춘 대북정책/ 잃어버린 5년
6장 접촉의 시대: 두번의 남북 정상회담
햇볕정책: 접촉을 통한 변화 / 2000년, 남·북·미 삼각관계의 선순환 / 노무현 정부와 9·19공동성명 / 2007년 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정착 / 금강산, 개성, 철도: 경제협력의 3대 사업 / 접촉의 시대가 남긴 과제
7장 제재의 시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남북관계
대북정책의 단절과 부정 / 공든 탑이 무너지다: 금강산 관광 중단과 5·24조치 / 불신을 생산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박론 / 실패한 제재 / 제재와 핵개발의 악순환을 넘어
에필로그 평화도 통일도 과정이다
평화는 과정이다: ‘사실상의 평화’ / 통일은 과정이다: ‘사실상의 통일’ / 공간의 상상력과 북방경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판문점은 전쟁에서 평화로 가는 다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