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88936503390
· 쪽수 : 443쪽
· 출판일 : 2016-08-26
책 소개
목차
추천글 5
프롤로그 8
용어 설명 14
001 영화 <도가니>
세상을 두드린 아픈 진실 21
<도가니>에 빠지다 23
첫 만남, 수어를 가르치다 27
연두, 유리 그리고 민수, 아역 배우들 30
알아두기 1. 농인들은 모두 소리가 안 들리나? 37
농인들의 로망이 되기까지, 배우 공유 38
수어를 못해도 좋아! 내 편이 되어 준다면… 배우 정유미 41
그리고 참으로 선한 악역들 46
생각 1. 분노에 대하여 50
<도가니>의 진짜 주인공, 농인들! 51
숨은 주인공, 농아인교회 55
가을, 시사회가 열렸다 59
“그 통역사 어느 협회에서 일해?” 배우 장소연 63
<도가니>, 농인의 결이 담기다 66
철든 소년의 시선, 황동혁 감독 72
그들을 떠나보내며 77
생각 2. 농인의 삶이 묻어 있는 유쾌한 영화를 기대하며 80
002 당신 가까이, 그리고 낯선…
보이지 않는 이웃 83
알아두기 2. 조용한 풀빵장수 86
청각장애인, 세상이 준 이름 87
농인, 우리의 이름 90
언어적 소수자 95
생각 3. 에바다Ephatha?소통의 이야기 101
인공와우, 그 빛과 그림자 103
참 고마운 에디슨 112
알아두기 3. 얼굴이름 115
우린 늘 목마르다 117
생각 4. 그들이 쿨한 이유 122
슬픈 괴담 124
동상이몽 128
농인 자녀 이야기 132
알아두기 4. 독수리 이야기 137
청인 자녀 이야기 138
농인의 아이들 145
생각 5. 농사회에 무언가 보탬이 되고 싶어요 149
다문화시대와 농인 151
003 ‘한국수어’로의 초대
농인의 혼불, 한국수어 157
가장 오해받는 언어 160
생각하기 1. 한국수어와 일본수어 172
언어로서의 한국수어 174
생각하기 2. 수화인가, 수어인가! 181
다른 언어, 한국수어와 한국어 184
한국수어의 핵심, 비수지기호 197
알아두기 5. 수지기호란? 202
한국수어의 매력 203
기로에 선 한국수어 1. 엉켜 버린 금빛 실타래 207
기로에 선 한국수어 2. 좁은 그 길을 느리게 걸을 때 218
수어표준화, 한국수어를 미로에 빠뜨리다 224
수어연구 제대로 하기 231
생각하기 3. 뱁새를 위하여 243
사람이 있다 244
004 청인의 세상에서 농인으로 살기
‘나랏말싸미’ 수어와 달라 249
바뀐 것은 핸드폰뿐 253
헬렌 켈러 피로증후군 258
문제는 언어권이다 262
생각하기 4. 농학교 교사는 수화통역사여야 하는가? 269
책 읽는 농인들 271
등대가 되고 싶었던 등불들 275
생각하기 5. 두 바퀴여야 행복해 279
농사회와 종교단체 280
수화노래, 그 딜레마 288
생각하기 6. 농인과 노래방 297
문화의 바다에서 298
수화언어법 제정을 바라보며 304
수화통역, 진실게임에 빠지다 308
알아두기 6. 음성통역을 못하는 사람이 수화통역을 잘할 순 없다 312
좋은 통역을 위한 내적조건 314
수화통역사를 위한 조언 330
생각하기 7. 에고가 아닌 영혼으로 338
005 미디어와 농인
미디어와 수화통역 1. 뉴스통역의 좌표 343
미디어와 수화통역 2. 뉴스통역의 가치 351
미디어와 수화통역 3. 뉴스통역의 뿌리 358
자막이 나오는데 왜 수화통역을 하나요? 361
생각하기 8. 시청선택권과 수화통역 368
거인의 걸음은 신중해야 한다 370
들어야 행복한가? 376
훌륭한 배우, 이상한 설정 382
농인 예술가가 없는 나라 388
〈블랙〉, 헬렌 켈러 오마주 392
〈작은 신의 아이들〉, 두 세계의 조우 402
〈시크릿 러브〉, 농인이 본 지구별 415
철학이 있는 미디어 세상을 꿈꾸며 424
에필로그 430
미주 436
저자소개
책속에서
■ 결국 나는 <도가니>에 참여하기로 했다. …제대로 된 한국수어, 진짜 농인의 삶과 느낌을 담아 낸 연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외면한다는 것이 직무유기로 느껴졌다. 게다가 내가 거절하면 어느 누군가는 이 일을 맡아 할 터인데, 그 결과물이 좋지 않았을 땐 아쉬움과 후회가 평생 나를 따라다닐 것 같았다. _1. 영화 <도가니> 에서
■ 진실은 이렇다. 우리 중 누군가는 운 좋게도(?) 다수자에 속했다. 그리고 누군가는 현 차원에서는 알 수 없는 섭리 혹은 선택에 의해 소수자에 속한 것이다. 우리 인간은 돌고래들이 듣는 초음파를 듣지 못한다고 해서 상실감을 느끼지 않는다. 상실감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현상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다수자들의 시선과 해석에서 오는 것이다. 청각장애인, 그것은 당사자가 아닌 타자, 그들 밖에 있는 세상이 그들을 보는 시선이다. _2. 당신 가까이, 그리고 낯선… 에서
■ 아직도 난 그날이 생생하다. 3일간의 일정 중 첫날 일정을 마치고 아이들을 배웅하는데 키 작고 주근깨 많은 한 소년이 나에게 말을 걸었다. […] […]{?} 그 수어는 정말 너무나 단순한 두 동작(단어)이었는데 잔뜩 긴장해 있던 나는 의미를 잡지 못하고 순간 머리가 하얘졌다. 아이는 다시 한 번 나에게 말했다. [ ]…[둘]{?} 나는 내 머릿속에서 그 동작을 반복해 보았다. [하나]…[또]{?}, …[내일]…[…다시]{?}…, [내.일]…[…또]{?} 그렇게 머릿속을 맴돌던 동작은 이제 의미가 되어 내 마음을 부드럽게 만졌다. “내일도 또 하나요?” “내일도 여기로 오면 되나요?”…[내일 또?]. 나는 그 아이에게 환하게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고, 그렇게 [내일 또{?}]는 내 인생의 첫 수어가 되어 주었다. _3. ‘한국수어’로의 초대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