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36503673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기획 취지문/ 머리말
1장 선교운동: 지각변동을 일으키다
2장 복음주의: 20세기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
3장 오순절운동: 수모와 박해를 넘어
4장 영성: 개인 신앙과 사회적 실천
5장 신학: 격변의 시대
6장 문화: 세상 속의 교회
7장 로마 가톨릭교회: 위축과 확장의 시대
8장 동방 그리스도교: 고립을 넘어 사귐으로
9장 분파들: 선을 넘은 종교적 실험들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세기 선교는 미국의 주도하에 제3세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서양종교로 이해되던 그리스도교는 전 세계로 빠르고 역동적으로 확장되어 마침내 세계종교로서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이런 변화는 오순절운동을 중심으로 한 성령운동과 복음주의 선교사들의 헌신적 사역, 운송 및 통신시설의 발달과 확장, 그리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과 지원 때문에 가능했다. 한편, 유럽 교회를 중심으로 한 에큐메니컬 진영에서는 19세기 선교활동에 대한 진지한 반성을 토대로, ‘하나님 선교’라는 새로운 선교 개념을 천명했다. 양적ㆍ지리적 확장에 과도하게 치중하던 기존 선교운동의 부정적 결과를 극복하고, 선교의 질적ㆍ신학적 성숙을 위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1장 선교운동>
복음주의는 살아 있는 실체다. 복음주의를 정의하거나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은 복음주의가 오래전 시효가 종결된 역사적 유물이 아니라, 현재에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생명체이기 때문이다. 18세기부터 21세기 초반까지 복음주의는 변화를 거듭해 왔다. 새로운 도전 앞에서 복음주의는 해법과 탈출구를 모색했고, 이 과정에서 이합집산을 반복하며 자신의 겉과 속을 일신해 왔다. 따라서 복음주의를 과거 특정 시점의 정의와 관점에 고착하여 이해하려는 시도는 시대착오적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에서 “복음주의는 ○○이다”라고 정의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2장 복음주의>
현재 오순절운동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역동적으로 성장·변모하는 그리스도교운동이다. 선교통계학자 데이비드 바렛과 토드 존슨에 따르면, 1970년 오순절 신자들은 6,700만 명이었으나 2010년 6억 1,400만 명으로 증가했고, 2025년에는 8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통계는 고전적 오순절 신자들뿐 아니라, 은사주의자와 독립교회에 속한 사람들도 포함된 것이다. 이것은 오순절운동이 성령세례의 일차적 증거를 방언으로 한정하는 고전적 오순절운동에서, 성령의 초자연적 역사에 대한 관심은 공유하지만 이에 대한 신학적 해석과 강조점에서는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운동들로 분화·진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스도교의 중심축이 유럽에서 제3세계로 이동하면서 오순절운동의 중심무대도 같은 경로를 따라 이동했으며, 지역의 문화적·경제적·정치적·종교적 상황에 따라 각 지역 오순절운동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문제들과 씨름 중이다. <3장 오순절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