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651348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9-03-1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서론: 바이블 백신 접종 준비
1. 바이블 백신이 필요하다
2. 말씀 조작의 달인, 사탄
2.1 에덴 동산에서의 말씀 조작
2.2 광야에서의 말씀 조작
2.3 가버나움 회당에서의 말씀 조작
2.4 교묘한 말씀 조작에 나타난 특징들
2.5 대충 알면 쉽게 넘어간다
2.6 메시아 창업 노하우
3.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I. 계시론 백신–계시, 제대로 알아야 엉뚱한 계시에 흔들리지 않는다
1. 종교란 무엇인가
1.1 종교의 본질
1.2 종교의 기원
2. 계시
2.1 계시란?
2.2 일반계시(자연계시)
2.3 특별계시
2.4 거짓 계시와 시대별 구원자
1) 불충분한 성경 계시, 또 다른 계시가 필요하다?
2) 거짓 계시가 주장하는 시대별 구원자
3) 환상계시와 실상계시
4) 세대주의적 시대별 구원 경륜
3. 성경
3.1 성경의 속성
1) 성경의 속성에 나타나는 특징
2) 성경의 속성에 대한 오해–역사, 교훈, 예언, 비유?
3.2 성경 해석의 기본 틀–언약
1) 옛 언약과 새 언약
2) 또 다른 언약?
3) 배도, 멸망, 구원
3.3 다양성과 통일성
★특정 편향성은 위험하다
3.4 성경의 영감과 무오성
1) 성경의 영감성
2) 영감의 범위
3.5 정경, 외경, 위경
1) 정경의 기준
2) 신약 정경의 기준
3) 외경이란?
4) 가톨릭의 외경은 무엇인가
★예수께서 지옥에 있는 영들에게도 다시 구원받을 기회를 주셨는가
5) 위경
6) 《다빈치 코드》 배후의 비밀문서들
7) 영지주의
A. 영지주의
B. 영지주의 세계관의 기독교적 적용
C. 기독교적 시각으로 본 영지주의
8) 성경의 충족성
3.6 비유
1) 비유란 무엇인가
2) 건강한 비유 해석이란?
3.7 건강한 성경 해석을 위한 제언
1) 구속사적 기본 틀을 갖추라
2) 단어의 의미를 문장의 흐름 가운데 파악하라
3) 구절은 단락의 흐름 가운데 파악하라
4) 단어, 구절, 문장의 이해가 어려울 경우 다른 역본들과 대조하라
II. 신론 백신–삼위일체 하나님을 붙들어야 다른 하나님에 미혹되지 않는다
1. 하나님의 존재
1.1 하나님이 존재하심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1) 우주론적 논증
2) 목적론적 논증
3) 존재론적 논증
4) 도덕론적 논증
1.2 하나님의 인식에 따른 서로 다른 구원의 길
1) 존재 방식에 따른 구원 양식
A.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이론
A.1 무신론
A.2 불가지론
B. 하나님의 존재를 잘못 이해하는 이론
B.1 다신론(유한신론)
B.2 범신론
B.3 범재신론
B.4 이신론(理神論)
C. 하나님의 존재를 부족하게 이해하는 이론
C.1 일신론
C.2 삼신론 혹은 이신론(二神論)
D. 하나님의 존재를 바르게 이해하는 이론
D.1 삼위일체 신론
2) 성품에 따른 구원 양식
A. 비인격
B. 공의와 심판
C. 공의와 자비
2.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어떤 하나님인가
2.1 성경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증거한다
1)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A. 하나님의 삼위 되심–성부, 성자, 성령의 구별
B. 각 삼위의 하나님 되심
C. 삼위 하나님의 한 분 되심
D. 세 요소의 균형
E. 삼위 하나님 간의 관계성
2) 구약이 말하는 삼위일체
3) 신약이 말하는 삼위일체
4)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 사역
2.2 양태론적 삼위일체론–이단으로 빠지는 지름길
2.3 삼신론적 삼위일체론–예수는 피조물이다
1) 예수 그리스도는 피조물인가
2) 성령은 활동력이나 천사에 불과한가
3) 보혜사는 누구인가
A. 또 다른 보혜사란?
B. 예수의 영은 누구에게 임하는가
C. 대언자 보혜사
D. 보혜사는 어떤 일을 하는가
4) 어머니 하나님은 누구인가
3.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
3.1 하나님의 본질
3.2 하나님의 속성
1) 비공유적 속성
A. 자존성(독립성)
B. 불변성
C. 무한성
C.1 완전성
C.2 영원성
C.3 무변성과 편재성
D. 단일성
2) 공유적 속성
A. 지적 속성
A.1 지식
A.2 지혜
A.3 진실하심과 신실하심
B. 도덕적 속성
B.1 선하심
B.2 사랑
B.3 은혜
B.4 긍휼(자비)
B.5 인내
B.6 화평
B.7 거룩하심
B.8 의, 공의
B.9 질투
B.10 진노
C. 주권적 속성
C.1 의지
C.2 전능하심
D. 총체적 속성
D.1 아름다우심
D.2 복되심
D.3 영광스러우심
4. 하나님의 이름
4.1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
1) 하나님(엘, 엘로힘, 엘로하)
2) 여호와
3) 주(아도나이)
4) 예수
4.2 신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
1) 하나님(테오스)
2) 주(퀴리오스)
3) 아버지(파테르)
4.3 새 이름 교리
5. 하나님의 사역
5.1 계획하심
1) 하나님의 작정
2) 하나님의 예정
5.2 창조하심
1) 하나님 창조의 특징
A. 삼위 하나님의 창조
B. 무로부터의 창조
C. 말씀으로 창조
D. 선하신 창조
E.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창조
2) 영적 세계의 창조
A. 천사
B. 악한 천사
C. 천사는 성령인가
3) 창조에 대한 억측
A. 하나님의 사정, 하나님의 의도?
B. 아담 이전에도 사람이 있었다?(이중아담론)
C. 창조는 비유다?
5.3 섭리하심
1) 보존
2) 협력
3) 통치
III. 인간론 백신–성경이 말하는 사람을 오해하면 구원관이 흔들린다
1. 인간 이해의 기초-창조, 타락, 구속
2. 창조받은 인간
2.1 인간의 본질-하나님의 형상
1) 하나님 형상의 사명적 기능
2) 하나님 형상의 존재 구조적 측면
3) 하나님 형상의 관계적 측면
4) 하나님 형상에 대한 오해
A. 하나님의 형상이 사람을 닮았다?
B. 하나님의 형상은 남자와 여자다?
C. 하나님의 형상은 천사의 형상이다?
D.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을 하나님 되게 한다?
2.2 인간의 구성
1) 이분설
2) 영혼의 여러 기능
A. 마음
B. 정신
C. 양심
D. 의지
3) 삼분설
4) 이단이 삼분설을 좋아하는 이유
5) 인간, 영혼과 육체의 통일체
6) 중간 상태
7) 영혼의 기원–유전, 선재, 창조
A. 유전설
B. 선재설
C. 창조설
8) 영혼은 멸절하는가
2.3 인간의 사명–창조언약
3. 죄 가운데 있는 인간
3.1 죄란 무엇인가
1) 죄란 무엇인가
2) 죄를 가리키는 성경의 용어
3.2 죄의 기원
1) 죄의 기원과 본질–자유의지의 남용
3.3 죄의 구분
1) 원죄
2) 자범죄
3) 죄와 범죄
4) 대죄와 소죄
3.4 죄의 기원과 전가에 대한 잘못된 주장들
1) 용서받을 수 없는 죄란?
2) 원죄는 없다, 자범죄만 있을 뿐이다
3) 원죄는 성적 타락에서 시작되었다?
4) 가계에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저주가 흐른다?
5) 원죄와 자범죄가 없으면 죽지 않는다?
6) 죄, 관계적 이해가 중요하다
3.5 죄의 결과
3.6 죄의 억제
4. 구속받은 인간
4.1 구속언약 안에 있는 인간
4.2 언약 안에 있는 인간
4.3 언약의 연속성과 단절성
4.4 언약의 왜곡을 경계하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여기 지난 10년간 건강한 성도와 교회를 세우기 위해 이단적 교리와 씨름했던 것들을 집약하여 《바이블 백신》을 내놓는다. 이 책은 우리가 믿는 바른 교리는 무엇이고, 이단들은 이것들을 어떻게 왜곡시키는지 알려 주고, 이것에 대한 올바른 반증은 무엇인지를 함께 공부함으로써 신앙의 골격을 튼튼히 세우도록 고안되었다. 여기서 다루는 이단의 교리들은 각 주요 교단들이 이단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던 여러 이단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성도들은 무엇이 건강한 교리인지 바로 분별하며 건강한 신앙을 세워 갈 수 있을 것이다.
- <들어가는 말> 가운데
이단들이 너무나도 교묘하고 공격적이다. 어느덧 나도 모르게 이단에 속한 이들의 간교한 미혹의 포위망으로 들어가게 된다. 한 단체의 경우 포섭하려는 기성 교회의 성도 한 명을 위해 적어도 20?30명이 팀을 짜고 시나리오를 기획한다. 이 정도면 내가 멀리하려 해도 어느덧 이단에 속한 이들로 빙 둘러싸이게 된다. 이들에게는 기성 교회의 성도들은 진리를 몰라서 그렇지 일단 진리를 제대로 깨닫게 해주면 자기네 단체로 넘어올 수밖에 없다는 자신감이 있다. 그래서 이들은 우리가 멀리하려 해도 집요하게 쫓아온다. 한동안 물러간 것 같다가 어느 순간 정신을 차리고 보면 가까이서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모습도 발견한다.
- <서론: 바이블 백신 접종 준비> 가운데
계시란 헬라어로 ‘아포칼립시스’다. 이는 전치사 ‘아포’(~으로부터 떨어지다)와 ‘갈립시스’(덮개)가 결합된 단어다. 이는 ‘덮개를 열어 보이다’는 뜻을 갖는다. 왜 덮개를 여는가? 덮개에 가려져 있는 것을 보기 위해서다. 계시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reveal’ 역시 가려진 베일을 걷어 내고 드러내 보여 준다는 의미다. 여기에 계시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계시는 결코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도록 감추어 놓은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깨닫고 알 수 있도록 드러내 보여 준 것이다. 그래서 계시는 감추어진 것이 아니라 열려 있는 것이다. 다 공개된 것이다. 만약 계시가 감추어진 것이라면 교주와 소수의 사람 외에는 계시를 알 사람이 없다. 교주가 와서 풀어 주어야만 알 수 있다. 반면 계시가 열리고 공개된 것이라면 누구나 보고 읽기만 하면 알 수 있고 깨달을 수 있다. - <Ⅰ. 계시론 백신>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