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3681246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4-09-26
책 소개
목차
Prologue
1부 시골 의사의 개원 일기
개원할 결심
개원, 낭만과 현실 사이
개원 자리를 결정하다
개원 준비, 자본의 지출
개원의, 자본가가 되다
공동 원장, 자본가로서의 첫 경험
개원의, 자본 활동에 제약받는 자본가
신출내기 자본가의 구인 작전
임금을 지불한다는 것
쉬는 것도 어렵다
병원 장비로 바뀐 대출금
주사위는 던져졌다
2부 대한민국에서 개원의로 산다는 것
나는 의사인가, 경영자인가
개원의, 자본가와 노동자 그 사이
생산 수단을 소유한 개원의 또는 자본가
의료의 교환 가치
의료 가치는 어떻게 형성되었나
의료 수가와 이윤, 구조적 딜레마Ⅰ
의료 수가와 이윤, 구조적 딜레마Ⅱ
외과의를 포기했던 이유
의료라는 상품의 물신성
노동의 가치, 의료의 공공성
이윤 창출, 그 부조리함
원장님은 착취자
의료의 이윤, 이윤율Ⅰ
의료의 이윤, 이윤율Ⅱ
임금의 특성
꿈 많은 개원의, 현실의 자본가
자본은 영혼을 불안케 하고
3부 대한민국 의료 위기
자본의 본성과 통제 사이
자본가 그리고 개원의의 이윤
복잡하고 왜곡된 한국 의료의 구조와 현실
2,000이라는 숫자가 무너뜨린 것
변화는 필요하다, 섬세하게
동네 의원 원장의 넋두리
Epilogue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본주의 사회의 자본은, 이렇게 뭣 모르고 뛰어든 철없는 이상주의자에게도 어김없이 자본가의 가면을 덧씌워 그 역할을 충실하게 해 나가도록 강제하고 있었다. 병원을 준비하는 과정은 절대 의사의 정체성이 관여하지 않는다. 의사의 정체성은 내가 어떤 진료를 하고, 이를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에 적용될 뿐이다. 행정 시스템 역시 어떠한 도움도 주지 않는다. 개원에 필요한 요건과 절차를 요구할 뿐이다. 의료는 국가 필수 시스템이지만, 병원을 준비하는 과정의 의사는 그와는 상관없이 철저하게 자본가가 되어야 한다. 의사의 정체성을 가진 자본가가 되게 되어, 병원을 경영하며 어떻게 하면 자본을 잘 굴릴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_ <개원의, 자본가가 되다>
한국 사회에서 의료는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 것일까? 사람들은 보통 의료라 하면 희생과 높은 가치, 그리고 봉사와 사회 보장 서비스 등을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그런 생각과 동시에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분야, 의사의 방대한 수익, 그리고 산업에서 몇 안 되는 블루오션의 한 분야로 생각한다. 교통사고로 생사를 장담할 수 없는 환자를 오랜 수술 끝에 살려내면 감동하고 감사하는 사람들이, 때마다 발표되는 의사들의 평균 수입 규모에는 ‘돈만 밝히는 의사 나부랭이’라고 쉽게 딱지를 붙인다. 그럴 때면 나는 의사로서의 정체성이 조금 혼란스러워진다. 한국 사회에서 나의 역할은 사회 보장 서비스에 속하는가, 아니면 보편적인 자본주의 시장 논리 안에 존재하는가.
_ <나는 의사인가, 경영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