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화 속의 삶과 글쓰기

세계화 속의 삶과 글쓰기

(<2011년 제3회 서울국제문학포럼> 논문집)

김우창, J.M.G. 르 클레지오, 가오싱젠 (지은이)
민음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화 속의 삶과 글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화 속의 삶과 글쓰기 (<2011년 제3회 서울국제문학포럼> 논문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88937484285
· 쪽수 : 215쪽
· 출판일 : 2011-12-30

책 소개

노벨문학상 수상자 가오싱젠, 프랑스 문단의 살아 있는 신화 르 클레지오, 영국의 대표 시인 앤드루 모션, 21세기를 대표하는 유럽의 지성 앙투완 콩파뇽, 한국의 대표적 지성 김우창 등 국내외를 망라한 전 세계 문학 거장 35인이, 세계화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새로운 각도에서 더욱 심도 있게 논의하고, 변해 가는 삶의 조건 속에 부각되는 새 시대의 감수성과 새로운 문학 양식들을 살펴보고자 한자리에 모였다.

목차

발간사

기조 강연
르 클레지오 | 세계화 속의 삶과 글쓰기
가오싱젠 | 이데올로기와 문학
김우창 | 삶의 이야기, 삶의 이론?이데올로기, 진정성, 시장

1장 다문화 시대의 자아와 타자 The Self and the Other in the Age of Multiculturalism
앤드루 모션 | 낯선 이로 살아가기
류짜이푸 | 다원화 사회에서의 집체와 자아 권한의 경계
박범신 | 다문화 사회,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
테리 잰치 | 패러 공원
김성곤 | 서구 미디어에 나타난 한국인의 이미지
김인숙 | 세계의 문

2장 문학과 세계화 Writing in the Globalizing World
아미야 데브 | 세계화 속의 글쓰기?인도를 참고로 하여
유종호 | 멋진 신세계에서?겸허한 제안
이인성 | 저주받은 문학의 역설?세계화 시대의 ‘잠자는 미녀’
최윤 | 세계화와 문학적인 것의 회복
잭 로고 | 시 한 편을 지으려면 행성이 필요하다
이승우 | 세계의 독자를 염두에 두고?

3장 이데올로기와 문학 Literature in the Age of Post-Ideology
벤 오크리 | 신화, 이데올로기, 일별
이문열 | 이데올로기로서의 문학?내 문학과 이데올로기
정과리 | 이제 한국 문학은 이데올로기를 먹어야 한다
정지아 | 이데올로기와 문학
잉고 슐체 |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문학
구효서 | 늪을 건너는 법

4장 다매체, 세계 시장, 글쓰기 Writing for the World Market and the Multimedia Environment
시마다 마사히코 | 테크놀로지와 퇴화
복거일 | 세계화 시대의 언어와 글쓰기
조경란 | 궁극의 질문들
정이현 | 모든 것이 변하고 또 변하지 않는 시대를 향해 던지는 몇 개의 물음표들
아나 마리아 슈아 | 다문화주의, 다매체, 세계 시장 시대의 글쓰기
김연수 | 전자책이 가져가지 않는 것

5장 지구 환경과 인간 Literature and Eco-Criticism
앙투완 콩파뇽 | 소설이 존재하는 한……
한사오궁 | 수요와 욕구
정현종 | 나는 나 바깥에서 왔다 | 지구 환경과 인간
최재천·정재서 | 생태 문학과 생태 비평에는 아직 생태학이 없다
요코 다와다 | 차를 마신다는 것: 자연, 자유, 자살
성석제 | 나는 믿는다
김경욱 | 산책의 종말

부록
제3회 서울국제문학포럼 취지문

저자소개

김우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 대학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에서 미국문명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학술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세계의문학》 편집위원, 《비평》 편집인이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궁핍한 시대의 시인』, 『지상의 척도』, 『심미적 이성의 탐구』, 『풍경과 마음』, 『깊은 마음의 생태학』 등이 있고 역서 『가을에 부쳐』, 『미메시스』(공역) 등과 대담집 『세 개의 동그라미』 등이 있다. 팔봉비평문학상, 대산문학상, 금호학술상, 고려대학술상,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인촌상, 경암학술상 등을 수상했고 2003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펼치기
J.M.G. 르 클레지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 프랑스 문단의 살아 있는 신화’ ‘살아 있는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가’로 일컬어지는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1940년 프랑스 남부 니스에서 태어났다. 영국 브리스틀대학교와 프랑스 니스대학교에서 수학했고, 1963년 스물셋의 나이에 첫 작품 『조서』로 권위 있는 문학상인 르노도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후 『열병』 『홍수』 등 화제작을 잇달아 발표하며 천혜의 작가적 재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1967년부터 멕시코와 파나마 등지에 체류하면서 서구적 사유의 틀을 버리고 자연과 어우러진 새로운 존재를 추구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사상적 변모는 시적 산문의 정수인 『성스러운 세 도시』나 『황금 물고기』를 비롯해, 모로코인 아내와 함께 쓴 사막 기행문 『하늘빛 사람들』 등에 순도 높게 담겨 있다. 1980년 사막 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웅숭깊고 아름답게 그린 소설 『사막』을 발표했고, 그해 아카데미프랑세즈가 수여하는 폴 모랑 문학 대상을 받으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200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그는 여전히 산과 바다, 태양과 대지 사이에서 자발적 유배자의 삶을 살며 글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가오싱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 중국 장시 성江西省 간저우?州 출생으로, 독일 문화교류재단의 초청을 받아 독일을 방문했다가 이듬해에 톈안먼 사건(1989년)이 일어나자 해외 체류를 결심, 그 후 지금까지 프랑스에 거주하고 있다. 소설가, 화가, 극작가, 감독·연출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전방위 예술가다. 2000년에는 그의 소설이 “날카로운 통찰과 기지에 찬 언어로 보편적 가치를 담아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중국인 작가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그림 또한 “깊은 사유와 시의가 융합되어 있는 수묵은 독특한 풍격風格을 이루고 있으며, 심원하고도 초연한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92년에는 프랑스 예술·문학 기사 훈장을 받았고, 2000년에는 노벨문학상과 이탈리아 페로니아Feronia 문학상, 프랑스 명예기사 훈장을 받았다. 2002년에는 미국의 국제평생공로아카데미에서 금상을, 2006년에는 미국 공공도서관 사자상을 받았다. 홍콩 중문대학, 국립 대만대학, 대만 중앙대학, 대만 중산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영혼의 산』, 『나 혼자만의 성경』이 있으며, 희곡으로 『버스 정류장』, 『팔월에 내리는 눈』, 『밤에 떠도는 신』, 『산해경전』, 『야인』, 『절대신호』, 『피안』 등이 있다. 문학이론서로 『현대소설 기교의 탐색』, 『현대희곡의 추구』, 미학서로 『또 다른 미학』 등이 있다. 다수의 작품이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폴란드 등의 국가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영혼의 산』과 『나 혼자만의 성경』이 프랑스에서 번역, 출간되자 “20세기 말 중국 문학의 새로운 이정표”로 일컬어지며 프랑스 문단을 뒤흔들었다. 국내에서도 『절대신호』(2002년)를 시작으로 『버스 정류장』(2006년), 『저승』(2012년), 『생사계』(2012년) 등 다수의 희곡이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