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88937604447
· 쪽수 : 222쪽
· 출판일 : 2016-05-10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자본주의는 아름답고 도덕적이다
서 론: 자본주의는 도덕적인가?(The Morality of Capitalism)
자본주의란 용어의 역사
자유시장 자본주의 vs. 연고 자본주의
제 1 부 기업가적 자본주의의 미덕 (The Virtues of Entrepreneurial Capitalism)
1. 자유와 존엄을 만든 근대세계(Liberty and Dignity Explain the Modern World)
2. 자본주의적 경쟁과 협력(Competition and Cooperation)
개인주의와 공동체
시민 사회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시장
3. 이윤추구적 의료와 동정적 동기(For-Profit Medicine and the Compassion Motive)
이윤과 동정
제 2 부 자율적 상호 행동과 자기 이익 (Voluntary Interaction and Self-Interest)
1. 도덕의 역설(The Paradox of Morality)
군자국(君子國)에서 발생하는 이익갈등
가격협상 없이 상호이익을 가져오는 사회가 가능한가?
이기심의 균형
2. 시장사회의 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도덕론(The Moral Logic of Equality and Inequality in Market
Society)
3. 아담 스미스와 탐욕이란 신화(Adam Smith and the Myth of Greed)
4. 도덕 혁명: 아인 랜드가 본 자본주의(Ayn Rand and Capitalism: Moral Revolution)
사회 정의에 대한 요구
복지주의: 선택하지 않은 의무
평등주의 : ‘공평한’ 분배
개인주의자의 윤리
교환 원칙
선택된 가치로서의 자비
네 번째 혁명
제 3 부 부의 생산과 분배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ealth)
1. 시장경제와 부의 분배(The Market Economy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2. 정치 · 경제적 자유가 만든 인간성의 기적(Political and Economic Freedoms Together Spawn
Humanity’s Miracles)
3. 기업가와의 대화(Interview with an Entrepreneur)
출연: 존 매키(John Mackey)
진행: 탐 팔머(Tom Palmer)
제 4 부 글로벌 자본주의 (Globalizing Capitalism)
1. 글로벌 자본주의와 정의(Global Capitalism and Justice)
2. 세계화를 통한 인류 삶의 개선(Human Betterment through Globalization)
번영의 토대
시장만이 상품을 공급한다
두려워 할 것은 없다
3. 자유의 문화(The Culture of Liberty)
하나의 대륙, 두 개의 역사
지역의 목소리, 세계적 영향력
재미와 유익함을 줄 만한 추천 도서(좋은 학술 논문들)
리뷰
책속에서
<제 1부 3. 이윤추구적 의료와 동정적 동기> 中
만약 내가 추가적으로 치료를 받거나, 다른 사람에게 병원을 추천하는 상황이 오면 나는 반드시 영리병원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비영리병원의 태도는 다시는 비영리병원을 방문하거나 다른 환자들에게 비영리병원을 선택하라고 추천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비영리병원의 의사와 간호사들은 내가 다시 오도록 만들어야 할 동기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제 2부 2. 시장사회의 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도덕론> 中
중점적으로 보아야 할 것은, 인간의 도덕적 지위와 특정 인간이 획득하는 재화의 양과 질, 혹은 재화 가치와 관련된 상호관계이다. 도덕적으로 동일한 위상을 갖고 있는 두 명의 인간이 왜 아침마다 동일한 양과 질, 혹은 동일한 가치의 커피만을 마셔야 하는지를 질문해야 한다. 다른 측면으로는, 자선을 많이 베푸는 사람과 매우 인색한 그의 이웃이 둘 다 동일한 가치의 농작물을 생산하는 풍요로운 농장을 항상 똑같이 소유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럴 필요가 없는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제 2부 3. 아담 스미스와 탐욕이란 신화> 中
탐 팔머는 다음 글에서 아담 스미스가 “이기심”을 갖고 행동하기만 하면 번영을 이뤄낼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하는 잘못된 통념을 바로 잡는다. ..(중략)흔히 인용되는 말의 하나는, 아담 스미스가 사람들이 이기적으로 행동하기만 하면 모든 것이 다 잘 될 것이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담 스미스는 이기적 동기를 따르는 것만으로 세상이 보다 나아진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기적 행동을 독려하거나 고무한 것도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