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37839108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4-02-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4
발간사 11
1. 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21
2. 1. 서론 21
3. 2. 미래 사회의 특징 23
4. 3. 핵심 역량의 개념 24
5. 4. 핵심 역량에 관한 연구 사례 26
5.1. 가. OECD의 핵심 역량 연구 26
5.2. 나. 뉴질랜드·호주의 핵심 역량 연구 27
5.3. 다. 영국의 핵심 역량 연구 29
5.4. 라. 캐나다 퀘벡 주의 핵심 역량 연구 30
5.5. 마. 우리나라의 핵심 역량 연구 30
6. 5. 우리나라의 학교?직업?평생 학습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33
7. 6. 결론 40
7.1.
8. Ⅱ. 전원형 도시의 교육 43
9. 1. 서론 43
10. 2.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고시 44
11. 3. 경기도교육청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요 46
11.1. 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저 46
11.2. 나.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실제 48
12. 4. 전원형 도시의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88
12.1. 가.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 및 방향 88
12.2. 나. 중학교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 및 방향 114
13. 5. 경기도 혁신학교 시즌 Ⅱ의 적용 127
13.1. 가. 창의 지성 교육의 실행 127
13.2. 나. 배움 중심 수업의 실행 136
13.3. 다. 전원형 도시의 창의 지성 교육 운영의 실제 143
13.4.
14. Ⅲ. 전원형 도시의 미래 교육 210
15. 1. 서론 210
16. 2. 전원형 도시의 미래 교육 212
16.1. 가. 미래 교육의 개념 212
16.2. 나. 미래 교육의 가치 214
16.3. 다. 미래 교육의 이론 217
16.4. 라. 미래 교육의 유형 219
16.5. 마. 미래 교육의 발전 방향 222
16.6. 바. 미래 교육을 위한 리더십 228
17. 3. 양평 미래 역량 배가 교육 231
17.1. 가. 「창의 지성」 양평 교육 231
17.2. 나. 「힐링(HEALING)」 양평 교육 236
17.3. 다. 「스마트(SMART)」 양평 교육 254
17.4. 라. 「문화 예술」 양평 교육 261
18. 4. 상수원 보호구역 국제화 교육 특구 운영 273
18.1. 가. 필요성 273
18.2. 나. 양평 국제화 교육 특구 운영 방안 275
18.3. 다. 향후 전망 289
18.4.
19. Ⅳ. 양평 미래 교육의 전망 290
20. <참고문헌> 297
21. <부? 록> 농산어촌교육진흥특별법(안) 304
저자소개
책속에서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이 획득해야 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역량들이 현행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향후 미래의 교육과정에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적 인간상’과 ‘교육목표’가 설정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이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이나 교육목표는 학습자가 성취해야 할 다양한 역량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어야 한다. 본서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창의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는 양평 지역 초·중학교 교육과정이 핵심 역량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_ 저자 발간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