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서예사

한국서예사

김남형, 고광의, 이성배, 정현숙, 전상모, 김광욱, 김병기, 김응학, 장지훈, 이승연, 박정숙 (지은이), 한국서예학회 (엮은이)
  |  
미진사
2017-06-20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서예사

책 정보

· 제목 : 한국서예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88940805411
· 쪽수 : 400쪽

책 소개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서예의 역사를 집대성한 연구서이다. 한국서예학회에서 발간하는 첫 번째 공동 연구서로, 총 11명의 학자들이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서예의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목차

서문
총론

제1장. 고대의 서예 - 김남형

1. 선사시대의 암각화
2. 한자의 수용과 정착
3. 한자 수용 초기의 서예

제2장. 고구려의 서예 - 고광의
1. 서사문화의 형성 배경
2. 고구려의 서예 자료
3. 고구려 서체의 변화와 발전
4. 고구려 서예의 의의

제3장. 백제의 서예 - 이성배
1. 한성시기의 서예
2. 웅진시기의 서예
3. 사비시기의 서예
4. 백제 서예의 의의

제4장. 신라의 서예 - 정현숙
1. 신라의 성립과 한자문화의 수용
2. 동명의 서체와 서풍
3. 석비의 서체와 서풍
4. 목간의 서체와 서풍
5. 신라 서예의 의의

제5장. 가야의 서예 - 정현숙
1. 가야의 성립과 대가야의 발전
2. 대가야 서예의 특징
3. 신라 서예와의 연관성
4. 가야 서예의 의의

제6장. 통일신라의 서예 - 전상모
1. 삼국 서예의 융합과 성당 서예의 수용
2. 통일신라 서예의 문명화와 토착화
3. 경제?사회의 발전과 서예문화의 흔적
4. 문화의 발전과 서예문화의 다양화
5. 통일신라 서예의 다양성

제7장. 발해의 서예 - 전상모
1. 발해 서예의 기저
2. 발해 문자와 서예
3. 발해의 문화와 서예
4. 발해 서예의 보수성

제8장. 고려의 서예 - 김광욱
1. 고려 서예의 배경
2. 서풍의 흐름과 특징
3. 서예이론의 전개
4. 고려 서예의 의의

제9장. 조선초기의 서예 - 김병기
1. 고려말 시대상황과 서예문화의 흐름
2. 만권당의 역할과 조맹부체의 유입
3. 고려말 조맹부체를 수용한 서예가들
4. 조선초 조맹부체의 성행

제10장. 조선중기의 서예 - 김응학
1. 조선중기 서예문화의 흐름
2. 유학자들의 복고적 서예
3. 석봉체의 유행과 파급
4. 초서의 성행과 서풍의 다양화
5. 조선중기 서예의 의의

제11장. 조선후기의 서예 - 장지훈
1. 조선후기 서예문화의 흐름
2. 고법의 계승과 조선풍의 형성
3. 금석학의 진흥과 서체의 다양화
4. 서론의 정립과 서예인식의 변화
5. 조선후기 서예의 의의

제12장. 조선말기의 서예 - 김광욱
1. 조선말기 서예문화의 흐름
2. 추사체의 형성과 유행
3. 자가적 서풍과 서론의 전개
4. 조선말기 서예의 의의

제13장. 대한제국시기의 서예 - 이승연
1. 대한제국 서예문화의 흐름
2. 추사파의 계승과 금석서풍의 유행
3. 청대 서예의 유입과 서단의 변화
4. 대한제국시기 서예의 의의

제14장. 항일시기의 서예 - 이승연
1. 항일시기 서예문화의 동향
2. 서단의 변화와 유행서풍
3. 서예교육의 체계화
4. 서화자료의 구축
5. 항일시기 서예의 의의

제15장. 한글서예 - 박정숙
1. 한글서예의 역사적 흐름
2. 조선전기 한글서예의 태동
3. 조선중기 한글서예의 발전
4. 조선후기 한글서예의 성숙
5. 근현대 한글서예의 다양화
6. 한글서예의 의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친 영재 김형운선생 종외조 강암 송성용선생 사사 중국문화대학 박사-논문《황정견의 詩와 書法에 대한 연구》 중국 시학·미학·서예학 논문 60여 편 집필 서예평론문 180여 편 집필 제1회 원곡 서예학술상 수상 한국서예학회 회장 역임 한국 중국문화학회 회장 역임 세계서예전북Biennale 총감독 역임 미국, 폴란드, 이탈리아, 러시아 등 구미지역 7개국 초청 서예전 및 서예 특강 국제서예가협회 부회장 강암연묵회 회장 대한민국 서예대전 초대작가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국립 전북대학교 중어중문과 교수
펼치기
김응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서예학동양미학과 관련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서예학동양미학 전공 주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서예학회 회장 및 한국동양예술학회.한국서예비평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서예미학과 예술정신』이 있고, 공저로 『한국유학사상대계 예술사상편』, 『영남서예의 재조명』이 있으며, 서예학.동양미학 관련 논문 35편이 있다.
펼치기
김남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조선 후기 근기실학파의 예술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을 맡고 있다. 역주로 『옛날 우리나라 어른들의 서예 비평』, 『조선후기의 서예비평』 등이 있으며 한국 한문학, 한국 전통예술, 고문헌 등에 관한 논문 5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정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을 졸업하고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에서 미술학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Penn)에서 미술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전시 기획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화, 그 문자향 서권기』, 『삼국시대의 서예』, 『신라의 서예』 등이, 역서로는 『광예주쌍집』, 『미불과 중국 서예의 고전』, 『서예 미학과 기법』 등이 있으며, 서화 논문 50여 편이 있다. 한국서예학회·한국목간학회 부회장이며, 2020년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한문학과에서 「한국의 서예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서예학개론』, 『한국서예시연구』, 『한국서예학사』, 편역서로 『서법연구』, 편저로 『행초서미학』이 있으며, 서예개인전 20회를 개최하였다.
펼치기
김광욱의 다른 책 >
고광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서예과를 졸업하고 중국 中央美術學院에서 문학석사(「4~7世紀高句麗壁畵墓墨書銘書法硏究」), 중국 延邊…大學에서 역사학박사(「6~7世紀新羅書法硏究」)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강의교수,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고구려연구재단 설립 초기에 입사하여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忠州高句麗碑』(2021, 동북아역사재단), 『문자와 고대 한국 1』(2019, 주류성), 『한국서예사』(2017, 미진사), 『혜정 소장본 廣開土太王碑 원석탁본』(2015, 동북아역사재단), 『광개토왕비의 재조명』(2013,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2007,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2007,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문명기행』(2005, 고구려연구재단), 『다시 보는 고구려사』(2004, 고구려연구재단) 등의 공저가 있다. 논문은 「고구려 卷雲…紋 명문 와당 연구」(2022, 『木簡과 文字』 29), 「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2022, 『白山學報』 124), 「남한 출토 고구려 토기 명문 연구」(2021, 『木簡과 文字』 27),「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2020, 『韓國古代史硏究』 98),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2016, 『白山學報』 106),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형태와 書體」(2013, 『高句麗渤海硏究』 45),「廣開土太王碑의 書體」(2012, 『白山學報』 94), 「樂浪郡 初元 四年 戶口簿 재검토」(2011, 『木簡과文字』 7), 「浦項 中城里新羅碑 書體와 古新羅 문자생활」(2010, 『新羅文化』 35), 「6~7세기 新羅木簡의 書體와 書藝史的 의의」(2008, 『木簡과 文字』 創刊號),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書寫관련 내용 검토」(2004, 『高句麗渤海硏究』 45), 「5~6세기 新羅 書藝에 나타난 외래 書風의 수용과 전개」(2004, 『書藝學硏究』 4), 「5세기 高句麗 書藝의 특징 硏究」(2001, 『書藝學』 2), 「4~7世紀 高句麗 壁畵古墳 墨書의 書藝史的 意義」(1999, 『高句麗硏究』 7) 등 60여 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고광의의 다른 책 >
이성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충남 공주 출생 - 충남대학교에서 문학박사(동양사) - 박사논문 「북송의 書論과 書作硏究-소·황·미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 수료(동양미학) -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 우수상 및 특선 - 역사와 서예 관련 논저 40여 편 발표 - 충남대、단국대、대전대 등에서 역사와 서예 강의
펼치기
전상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연구교수, 철학박사 1960년 경북 선산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전자계산학과 동 대학원 미술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조선조 실학파의 실심주의적 서화미학 연구」로 철학박사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및 경기대학교 서예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예 관련 단체활동으로는 한국서예학회 회장, 한국동양예술학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서예가협회 회장, 한국전각협회 부회장, 평화예술재단 부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제6차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서예』(공저) 교과서, 역서로는 『심학미학』이 있으며, 「상촌 신흠 서화평론의 ‘玄’ 미학적 지향성에 관한 고찰」, 「추사 김정희 예술에 나타난 『유마경』 수용의 흔적」, 「근원 김용준이 본 서예, 그 직관의 미」, 「20세기 초 전통적 서화관의 근대적 변용」, 「한국 근대서예 연구」 등 50여 편의 한국 서화미학 및 서화비평 관련 논문이 있으며 현재 한국 근현대 서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장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서예학과 교수, 철학박사 1974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계명대학교 서예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서예학・동양미학을 전공하여 문학석사・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한국서예사』, 『영남서예의 재조명』, 『한국유학사상대계 – 예술사상편』 등이 있으며, 박사학위논문 「조선조후기 서예미학사상 연구」를 비롯하여 서예관련 학술논문 65편을 발표했다. 현재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서예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서예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 경기도 문화재전문위원, 중국산동예술대학 특빙교수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이승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에서 「위창 오세창의 실학적 예술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서예학회 부회장 및 익산시문화재단 이사를 맡고 있다. 저서로 『전각의 이해』, 『위창 오세창』이 있고 공저로 『한국서학자료집』, 『한국서예문화의 역사』, 『한국역대서화가사전』 등이 있으며 서예사금석학전각에 관한 논문 40여 편이 있다.
펼치기
이승연의 다른 책 >
박정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추사 김정희 서간의 서예미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강사로 재직 중이며, 갈물한글서회 회장 및 한국서예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공저로 『영남서예의 재조명』, 『꼭 읽어야할 한국미술교육 40선』, 『미술교육의 기초』 등이 있으며, 한글서예 관련 논문 30여 편이 있다.
펼치기
한국서예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서예학회는 서예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한국 서예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1999년 2월 17일에 설립되었다. 본 학회는 한국의 서예학 전문 학술단체 중 최장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최대 규모의 전문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서예사, 서체론, 서예인식, 서예미학, 서예비평, 서예정책, 한글서예, 문인화, 전각 등 서예 콘텐츠를 중심으로 서예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서예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시켰으며, 한국 서예학 연구의 초석을 다져왔다. 매년 두 차례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학술지 『서예학연구』를 발간하고 있으며, 현재 300여 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금까지 한국서예학회는 매년 2회에 걸쳐 학술대회와 학술지 발간을 꾸준히 이어왔다. 그동안 학회에 소속된 연구자들은 한국서예와 관련하여 개인적 연구서를 간헐적으로 발간해오긴 했으나, 학회 차원에서 전공서적을 발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다. (중략)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는 한국의 서예는 중국의 방대한 역사적 유물과 사료에 비해 매우 열악한 조건이지만, 자국민으로서 한국서예의 역사적 가치를 인식하고 서술하는 것은 시대적 사명임은 분명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한국서예사의 발간은 학회뿐만 아니라 한국 서단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서문(한국서예학회 초대회장·성균관대 명예교수 송하경)


한국에서는 모필로 글씨 쓰는 것을 서예書藝라고 한다. 이 용어는 1945년 서예가 손재형孫在馨(1903-1981)이 주창한 뒤 일반화되었고, 1949년 정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서예 부문이 설치되면서 공식화되었다. 이전에는 주로 서書·서법書法·서도書道로 쓰였다. 한국에서 서예書藝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고려시대이다. 당시에는 전문서예가를 양성하는 기관으로 서학박사書學博士가 있었고, 각 관서마다 서영사書令史, 서예書藝, 시서예試書藝, 서수書手 등이 서사書寫를 담당하였다. 즉, 서예는 관직명칭이었다. 근대에 와서 서예는 중국 및 일본과 차별화된 서書의 예술개념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서예의 ‘예藝’는 선비가 익혀야 할 교양인 육예六藝(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의 하나가 ‘서書’라는 것에서 붙여진 용어이다. 과거 한국의 서예는 한자가 주요 대상이었지만 1443년 한글 창제 이후 특유의 필사법이 발달되면서 한글도 서예사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총론(장지훈)


일반적으로 한국서예사는 삼국시대부터 논의된다. 물론 고조선시대부터 중국과 교섭을 통해 문자가 전래되었을 것이지만, 현존 유물이 주로 고구려·백제·신라 등 고대 국가가 형성된 삼국시대 이후의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삼국시대 이전의 암각화들이 도상문자圖像文字 혹은 부호문자符號文字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다, 선각線刻으로 된 각종 형상들은 선을 활용한 평면 구성에 대한 조형의식을 드러내고 있어 선형에 대한 선조들의 원초적 미감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고조선 말기에 해당하는 낙랑 유적들은 우리 강토 내에서 사용되었고 드물게는 한반도 내에서 제작된 명문 유적도 있으며, 이 시기 금석문들은 성립 초기 우리나라의 서풍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되어 한국서예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라 할 것이다. 때문에 한국서예사를 논함에 그 근원은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다. ---총론(장지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