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신용하 (지은이)
지식산업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34,200원 -10% 0원
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3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88942390458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18-08-01

책 소개

고조선문명 총서 1권.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의 책으로, 지난 20여 년 동안의 고조선사 연구를 총집대성하여 한강.대동강.요하 유역을 중심으로 고조선문명이 실존하였음을 주장한다.

목차

머리말 _5

제1장 잃어버린 또 하나의 문명을 찾아서:
-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인류문명사에서의 위치 - _19
1. 지구 최후의 빙기와 古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_19 2. 인류 ‘최초문명’ 탄생의 첫째 조건 _25
3. 인류 ‘최초 독립문명’과 잃어버린 ‘고조선문명’ _28
4. 고조선문명의 개념과 인류문명사에서의 지위 _33

제2장 고조선문명 탄생의 기원(Ⅰ) ∥43
1. 한강문화의 동아시아 신석기 농업혁명 시작과 ‘古한반도 초기 신석기인 유형’ _43
2. 고조선문명의 기원이 된 ‘한’족의 신석기 한강문화의 특징 _62

제3장 고조선문명 탄생의 기원(Ⅱ) ∥105
1. 고조선문명 탄생의 기원이 된 ‘맥’부족의 신석기 요하문화 _105
2. 고조선문명 탄생의 기원이 된 ‘예’부족의 신석기 요하문화 _131
3. 고조선문명의 탄생과 3대 신석기문화의 통합 및 고조선 건국의 관계 _149

제4장 고조선문명의 정치적 기초와 고조선 고대국가의 건국 ∥151
1. 동아시아 최초의 고대국가 ‘고조선’의 건국 _151
2. 고조선의 정치체제와 행정제도 _182

제5장 고조선의 고대연방제국으로의 발전 ∥197
1. 고조선의 후국제도에 의한 ‘고대연방제국’으로의 발전 _197
2. 고조선 후국제도의 2유형 _203
3. 고조선의 제1형 후국 _206
4. 고조선의 제2형 후국 _245

제6장 고조선문명권(古朝鮮文明圈)의 형성과 공간적 구성 ∥263
1. 고조선문명권의 형성 _263
2. 산동반도와 황하 및 회수 유역 등 중국 동해안의 고조선문명권 _265
3. 일본열도의 구주지역 등 고조선 이주민의 고조선문명 전파 _286

제7장 고조선문명의 사회신분 ∥301
1. 고조선의 4대 사회신분 _301
2. 고조선의 왕족 _302
3. 고조선의 귀족 _313
4. 고조선의 평민 _321
5. 고조선의 노비(奴婢) _325
6. 고조선사회 4신분의 구성 그림 _332

제8장 고조선문명의 농경과 목축의 복합 ∥335
1. 농경과 목축의 복합 체계 _335
2. 고조선문명의 농경의 특징 _336
3. 밀・보리 등 맥류의 제2 재배・보급 센터 _346
4. 잡곡의 재배 생산 _351
5. 고조선문명의 농경문화의 유형 _352
6. 농경의 부업으로서의 가축 사육 355
7. 고조선문명의 유목민족 포용 _356

제9장 고조선문명의 청동기문화 ∥363
1. 고조선문명의 청동기문화의 시작 _363
2. 고조선문명의 다뉴조문경과 다뉴세문경 _371
3. 고조선문명의 비파형동검 _386
4. 비파형동검에서 세형동검으로의 계승 _392
5. 고조선식 비파형 청동창끝의 특징과 분포 _395
6. 고조선식 청동 꺾창(銅戈) _398
7. 고조선식 부채꼴 청동도끼의 특징과 분포 _399
8. 고조선 제의(祭儀) 청동기의 특징과 예술성 _405
9. 고조선 서변후국 고죽국의 청동기 _411
10. 고조선문명의 청동기 일상용구 _415

제10장 고조선문명의 금문화와 금동문화 ∥417
1. 고조선의 BC 25세기 금문화의 시작 _417
2. 고조선 후국 부여의 금문화 _423
3. 고조선문명의 금문화의 계승 _424

제11장 고조선문명의 철기문화 ∥431
1. BC 12세기부터의 철기문화의 시작 _431
2. 철제 공구(工具) _434
3. 철제 농구 _436
4. 철제 무기 _439
5. 철제 거마구(車馬具) _445

제12장 고조선문명의 기마문화 ∥447
1. ‘부여’와 ‘실위’의 동북아시아종 ‘말’의 가축화 _447
2. 고조선 기마문화의 유적과 문헌기록 _448
3. 고조선문명의 기마문화의 유물 유적 _451
4. 고조선문명에서 기마문화의 역할과 두 유형 _459

제13장 고조선문명의 태양숭배와 신앙 ∥463
1. 태양숭배 _463
2. 삼신교(三神敎)와 단군(檀君) 신앙 _465
3. 단군신앙의 성역 소도(蘇塗) 별읍 설치 _470
4. 삼신과 단군신앙의 상징, 삼족오(三足烏) 태양신 _475

제14장 고조선문명의 축제문화와 예술 ∥477
1. 축제문화의 발전과 경기종목 _477
2. 고조선문명권에서 씨름의 보편화 _480
3. 고조선문명권의 가무(歌舞, 노래와 춤) _484

제15장 고조선문명과 고조선 공통조어의 탄생 ∥489
1. 古한반도 초기신석기인의 ‘원시 공통어’ _489
2. ‘한’・‘예’・‘맥’족의 부족언어 _491
3. 고조선 언어의 형성 _492
4. 고조선 공통조어(祖語)의 형성과 고조선문명권 _497
5. 고조선어와 일본어 형성의 관계 _499
6. 민족대이동에 동반한 고조선 조어의 이동 전파와 우랄・알타이어족의 관계 _502

제16장 고조선문명의 해독되지 않는 문자 ∥509
1. 해독되지 않는 ‘그림기호’(記號) 문자 _509
2. 신지문자(神誌文字)와 창힐문자(蒼頡文字) _511
3. 훈민정음(訓民正音)과 신지문자 _521

제17장 고조선문명의 고중국문명 탄생에 미친 영향 ∥523
1. 고조선 이주민의 고중국 동해안 정착 _523
2. ‘태호(太皞)’족과 ‘소호(少皞)’족의 초기 고조선문명 전파 _526
3. 선진적 농업과 미곡・밀・보리 경작의 전수 _531
4. 선진적 목축의 전수 _532
5. 산뽕 누에고치의 고급 명주 전수 _533
6. 치수(治水)사업 원조 _533
7. 큰 활〔大弓〕과 화살 제작술의 전수 _534
8. 청동기(靑銅器) 문화의 전수와 파급 _535
9. 기마(騎馬)문화와 기사술(騎射術)의 전수 _548
10. 고조선 이주민 국가 상(商)과 상문명(商文明)의 고조선 기원 _541

제18장 고조선 고대연방제국의 해체와 민족대이동의 진원 ∥557
1. BC 8세기~BC 7세기 고조선과 고중국의 국경 충돌 _557
2. 고조선 최성기의 영정하(永定河)・간하(干河) 경계선 _559
3. 서기전 3세기초 연(燕)의 진개(秦開)의 고조선 서변 침략 _564
4. 고조선과 고중국의 서기전(BC) 3세기 국경선으로서의 ‘만리장성’ _568
5. 위만(衛滿)의 정변과 ‘위만조선’의 축소 및 고조선연방제국의 사실상 해체 _572
6. 한(漢)무제(武帝)의 침략과 위만조선의 멸망 _575
7. 민족대이동의 진원 _580

제19장 민족대이동의 서방행렬과 고조선문명의 확산 ∥583
1. 민족대이동의 서방행렬 _583
2. ‘산융’(흉노, Hun)족의 서방이동과 훈 제국 _586
3. 유연(柔然) 대단(大檀)족의 서방이동과 아발(Avar) 제국 _592
4. 불령지 등의 서방이동과 불가리아 제1왕국 _603
5. 마자르족의 서방 이동과 헝가리 왕국 _615
6. 투르크족의 서방 이동과 중앙아시아 투르크계 국가들 및 오토만제국 _624

제20장 민족대이동의 동남방행렬과 고조선문명의 확산 ∥633
1. 고조선문명의 일본열도 전파 _633
2. 변진미오야마나(弁辰彌烏耶馬那)족의 일본열도 민족이동과 ‘야마토’(邪 馬臺)의 성립 _635
3. 히미코(卑彌呼) 여왕의 ‘야마토’ _648
4. 기마군대(騎馬軍隊)의 동정(東征)과 야마토의 동방 이동 _656
5. 기나이 ‘야마토’(大和)국의 정체성 정립 _668

에필로그 ∥675
참고문헌 ∥679
찾아보기 ∥705

저자소개

신용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문리과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사회학) 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국사회학회 회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독도학회·독도연구보전협회 회장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 울산대학교 석좌교수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