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88942391325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4-11-12
책 소개
목차
화보 …4
머리말 …8
차례 …11
제Ⅰ부 들어가는 말 …15
제Ⅱ부 성리학 수용을 통한 지식(인륜·수기론)의 확산과 계승 …21
제1장 안향의 성리학의 수용과 유교의 확산 …22
1. 머리말 …22
2. 대원 관계의 정립과 국학의 진흥 …24
3. 유교 이념의 강화와 문치사회론 …39
4. 맺음말 …50
제2장 이제현의 군신 정치론과 문치사회 지향 …52
1. 머리말 …52
2. 사대관계의 유지와 정치운영론 …54
3. 유교적 개혁과 문치사회 지향 …64
4. 맺음말 …73
제3장 이곡의 경 중시의 성리학과 유학자 관료 등용론 …76
1. 머리말 …76
2. 경 중시의 성리학과 군주수신론 …77
3. 유학자 관료의 등용론과 인성 중시 교화론 …87
4. 맺음말 …102
제Ⅲ부 구법 존중과 왕조 유지론 …105
제1장 이색의 심성·수양 중시의 성리학과 구법 존중 …106
1. 머리말 …106
2. 경세의식과 심성·수양 중시의 성리학 …108
3. 구법 존중과 유교문명론 …123
4. 맺음말 …132
보론1 : 염흥방의 성리학 이념 확산과 사상의 변화 …135
1. 머리말 …135
2. 공민왕 대 개혁 참여와 좌주문생제의 옹호 …138
3. 우왕 대 권문적 기반의 확대와 정치적 좌절 …149
4. 맺음말 …164
제2장 정몽주의 네트워크와 왕조 유지론 …167
1. 머리말 …167
2. 인적 네트워크와 외교 활동 …168
3. 유교 사회 지향과 왕조 유지론 …187
4. 맺음말 …200
제3장 이숭인의 정치활동과 성리학적 예제 인식 …203
1. 머리말 …203
2. 개혁 세력의 결집과 정치활동 …204
3. 성리학적 예제 인식과 예론 …217
4. 맺음말 …234
제Ⅳ부 신법 개혁과 제도 중시의 체제개혁론 …237
제1장 윤소종의 경세의식의 고양과 정치개혁론 …238
1. 머리말 …238
2. 경세의식의 고양과 현실 인식 …239
3. 개혁 세력의 분화와 정치개혁론 …249
4. 맺음말 …267
제2장 조준의 정치활동과 신왕조의 기반 마련 …269
1. 머리말 …269
2. 고려 말 정치활동과 개혁 상소 …271
3. 조선 초 유교적 체제 정비와 신왕조의 기반 마련 …279
4. 맺음말 …291
제3장 정도전의 국가 구상과 정치운영론 …293
1. 머리말 …293
2. 성리학적 정치이념과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294
3. 군주관과 재상정치론 …304
4. 맺음말 …315
보론 2:고려 말 유학자의 성장과 재상정치론 …318
1. 머리말 …318
2. 고려 말 유학자의 성장과 정치변동 …319
3. 군주성학론과 이상적 재상상의 모색 …330
4. 맺음말 …352
제Ⅴ부 신·구법의 절충과 유교적 체제 정비론 …355
제1장 이첨의 인 정치론과 조선의 체제 정비 …356
1. 머리말 …356
2. 인적 네트워크와 공양왕 옹립 찬성 …358
3. 천명론과 조선의 체제 정비 …376
4. 맺음말 …382
제2장 권근의 권도 중시의 출처론과 정도전의 구상 실현 참여 …385
1. 머리말 …385
2. 불교 비판과 권도와 시의 중시의 출처관 …387
3. 정도전과 정치적 결합과 《삼봉집》 완성에 관여 …415
4. 맺음말 …424
제3장 하륜의 실용적 유학관과 부국론 …427
1. 머리말 …427
2. 유학적 실용주의와 타협적 외교론 …429
3. 중앙집권체제 강화와 부국론 …438
4. 맺음말 …452
제Ⅵ부 성리학적 정치사상의 확대와 유교문명론 …455
제1장 정도전과 김익정의 군주관 …456
1. 머리말 …456
2. 김익정의 생애와 정도전의 군주정치론 …458
3. 성리학적 군주의 근면 정치와 군주성학론 …465
4. 맺음말 …484
제2장 정도전의 문치사회 지향과 계승 …487
1. 머리말 …487
2. 문치사회 지향과 경학 강조 …488
3. 정도전 사상의 특징과 사상 계승 …503
4. 맺음말 …521
제3장 길재의 충절론과 문치 이념의 확산 …523
1. 머리말 …523
2. 충절론과 유학의 진흥 …525
3. 문치 이념의 확산과 길재의 위상 …533
4. 맺음말 …548
제Ⅶ부 맺음말: 유교 문치, 문명사회를 지향하며 …551
논문 출전 …558
표 목차 …560
찾아보기 …561
저자소개
책속에서
뚤르게는 역설적이기는 하지만 의관의 자제들이 신문물을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 충렬왕 5년 원 세조의 조서에 따라 의관의 자제들을 선발하여 입시入侍케 하였는데, 박전지朴全之(1250-1325) 또한 이때 참여하였다. 그는 원나라에 체류하는 동안 중국의 명사들과 사귀면서 고금의 역사를 상론하였고 중국의 산천과 풍토를 손바닥을 들여다보듯이 환하게 알았으므로 왕이 이것을 중히 여겼다. 안향 역시 뚤르게가 되어 원에서 궁정생활을 하며 원의 문화를 접하고 원의 문사들과 교류하여 중국의 선진 문명을 수용하였다. 백이정(1247-1323)은 1198년부터 충선왕을 수종하여 숙위로서 북경에서 10년 동안 머물렀고 다수의 정주성리학 관련 서책을 구하여 돌아왔다. 최성지(1265-1330)는 이제현과 함께 충선왕을 호종하였는데 정주학을 좋아하여 선배들이 모두 그와 교유하였다. 최문도(1292-1345)는 왕고를 따라 숙위하였는데 집 밖에서는 화살과 검을 손에 쥐고 집에서는 주렴계·이정자二程子·주자의 성리학서를 읽었다. 이처럼 초기 원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의관의 자제들이 문화 교류, 특히 성리학 수용에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숭인이 시관이 된 근본적인 동기가 논란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모친상을 치르는 가운데 시관으로서 과거시험 집행을 ‘불효’라고 규정하는 간관의 비판이나, 살아계신 아버지의 소망에 따른 것이었다고 변호하는 권근의 주장 모두 이 문제에 관한 한 효 관념을 논거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복이라는 형식적 조건을 충족했는가 하는 것이 논의의 초점이 아니라, 한편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효를 다 했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어머니에 대해 효를 다 하는 것과 아버지에 대한 효를 다 하는 것 사이에 무엇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심이었던 것이다.
그 점에서 보면 정도전 계열이든, 이숭인과 그를 변호하는 권근이든 충을 효 관념의 연장으로 이해하고 사적인 부자의 인륜을 더 우선시하는 사고를 읽을 수 있다. 아울러 효는, 자신이 소속된 종宗에만 적용되는 사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이면서도 국가의 관점에서 보면 충의 관념과 함께 국가 구성원의 기본적 관계 의식으로서 사회규범의 토대가 되는 공적 성격을 갖게 되는데, 《주자가례》의 수용과 실행이 확산 심화되면서 예의 윤리에 부합하는 처신이 공적 정치과정으로서 의미를 획득해 가는 양상을 이 논쟁은 잘 보여 주고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