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조주권론

창조주권론

(삶의 지혜)

조동일 (지은이)
지식산업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1,2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조주권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조주권론 (삶의 지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4239137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5-03-01

책 소개

창조주권이란 “창조하는 본성을 타고난 주체가 스스로 창조하는 권한이자 능력”을 말한다. 저자는, 천인합일의 동아시아 기학氣學(최한기)에 바탕한 창조주권이 신과 인간 사이의 차등을 전제로 한 서구의 천부인권과 대조됨을 보인다.

목차

들머리 4
제1장 일어섬 11

1-1 창조주권을 말한다 13
1-2 창조주권의 근거 18
1-3 더 깊은 층위 21
1-4 어디서나 26
1-5 일상생활의 창조주권 29
1-6 의식주 33
1-7 시대변화 37
1-8 인공지능과의 경쟁 41
1-9 바이러스 역병 45
1-10 천부인권과 창조주권 50
1-11 정치주권과 창조주권 54
1-12 소통·협동·봉사 60
1-13 대등사회가 자랑스럽다 64
1-14 시민의식과 대등의식 69
1-15 반면교사의 가르침 74
1-16 멀리 있는 반면교사 77
1-17 학문의 역전 82
1-18 세계를 둘러보며 86
1-19 또 하나의 재앙 90
1-20 창조주권 더 크게 94

제2장 나아감 97

2-1 앎은 스스로 얻는다 99
2-2 누구나 영재이다 103
2-3 각양각색 108
2-4 언어능력 113
2-5 학문과 예술의 원천 116
2-6 모두 아울러 120
2-7 모국어와 외국어 123
2-8 영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망상 128
2-9 영어가 공용어인 나라 132
2-10 학문을 하는 언어 136
2-11 유럽중심주의 넘어서기 141
2-12 무엇이 문제인가? 144
2-13 허구의 실상 149
2-14 세계문학사 이해 바로잡아야 153
2-15 고향으로 156
2-16 현지조사의 경과 160
2-17 율격론 164
2-18 서사구조 167
2-19 문학과 사상 171
2-20 새로운 학문 175

3 나타냄 181

3-1 예술의 창조주권 183
3-2 민요의 고향 187
3-3 음악의 변질과 소생 190
3-4 음치와 명창 193
3-5 미술의 혼미 197
3-6 잃어버린 유산 200
3-7 인상파 이후의 일탈 203
3-8 망가진 모습 206
3-9 어디까지 가는가? 210
3-10 내 그림 214
3-11 누가 이인인가? 218
3-12 편지 글의 감동 221
3-13 규방가사의 교훈 224
3-14 길을 찾아야 228
3-15 고금의 시조 232
3-16 춘향을 잡으러 가니 235
3-17 신판 수궁가 〈똥바다〉 240
3-18 춤 대목의 계승 244
3-19 히피와 탈춤 247
3-20 소설, 영화, 다음 것 251

제4장 고침 257

4-1 왜 ‘고침’인가? 259
4-2 알아듣는 능력 262
4-3 선출직의 임무 264
4-4 관료주의와의 싸움 267
4-5 전문직 270
4-6 지방자치단체 273
4-7 교육 바로잡기 276
4-8 교과서를 없애자 278
4-9 대학입시 281
4-10 대학교육 284
4-11 박사의 수준 286
4-12 연구교수 289
4-13 학술총괄원 292
4-14 공개강의 294
4-15 도서관 297
4-16 문화복지 300
4-17 미술관과 공연장 303
4-18 대등종교학 305
4-19 자연을 받들어야 309
4-20 인류의 행복을 위하여 311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315
나가며 322

저자소개

조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북 영양 출신 1958년부터 서울대학 불문․국문과 학사, 국문과 석․박사 1968년부터 계명대학․영남대학․한국학대학원․서울대학 교수 2004년부터 서울대학 명예교수, 2007년부터 대한민국학술원회원 《한국문학통사》, 《문학사는 어디로》, 《대등의 길》 등 저서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Nam Gyu Kim: 오늘 일터에서, 손님 한 분을, 우리가 지닌 규정이 맞다고 설득하다가 맘을 상하게 해서 돌아가게 한 경험이 있는데, 문득 그분이 오늘, 내 삶의 태도를 비춰주는 보살이셨을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옮음을 이야기할 때, 내가 당신보다 우위에 있다는 관점에서 옳다고 이야기했던 것은 아닌지, 비록 잘못된 정보라도 그 정보를 가지고 여기까지 와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그분의 마음까진 가닿지 못했음을 알아차립니다.
조동일: 참으로 훌륭한 말씀입니다. 깊이 생각하게 합니다. 삶이 깨달음의 원천입니다. 삶과 동떨어진 글에서 깨달음을 얻으려는 것은 緣木求魚(연목구어)입니다.


어머니의 그 가사는 혼자 베끼지 않고, 천 명을 목표로 하고 많은 사람에게 부탁해 필적을 추가한 것이다. 그래야 복을 많이 받는다는 믿음이 있었다고 하셨다. 복은 나누어야 커진다고 한 것인가? 식민지 통치를 받던 어두운 시기에 조국의 역사를 망각하지 않도록 하는 교본인 그 가사를 누구나 소중하게 여기자고 한 것인가?
어머니가 〈한양가〉를 가끔 꺼내 보고 감회에 젖고, 낭랑한 음성으로 낭송하기도 한 것이 기억의 깊은 층위에 자리 잡고 있다. 어머니는 좋아하는 가사가 많았다. 그 가운데 특기할 만한 것이 〈시골 색시 설운 사정〉이다. 〈시골 색시 설운 타령〉이라고도 하는 이 작품이 어떤 작품인지 어머니에게서 들어 알고 있었다. 국문학자가 되어 한국문학사를 쓰면서 이 작품을 열심히 읽고, 내력을 힘 자라는 대로 캐고, 적극적으로 평가를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