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女人列傳

女人列傳

(여성, 세상을 알다)

임종국 (지은이)
아세아문화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女人列傳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女人列傳 (여성, 세상을 알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42816750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06-11-30

책 소개

친일문제에 대한 천착으로 이름이 높은 임종국 선생 전집의 일곱 번째 책으로 ‘열전’의 형식을 빌려 다양한 여성들의 삶을 흥미진진하게 재구성한 책으로, 역사를 이끌어간 여성들의 모습을 담았다.동서양을 막론해 여성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노력했던 여성들을 골라 그들이 어떤 모습으로 시대를 살아냈는가를 픽션 형식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해 주고 있다.

목차

제1장 신여성 열전
소래 마을의 남장 소녀 - 김마리아의 생애와 일화
좌절과 허무의 엘레지 - 윤심덕
눈물겨운 순교의 꽃봉오리 - 믿음을 꽃으로 피운 여성들
한말에 등장한 2인의 여걸 - 진령군과 고대수
한말 정계를 뒤흔든 요화 - 배정자
무대의 여왕 - 배귀자
바람 속에 스러져간 슬픈 전설 - 여류비행사 박경원
새시대와 구시대의 단층에서 - 여류문학가 김명순
시대를 너무 앞서간 선각자 - 나혜석과 김일엽

제2장 기생 열전
한국사의 기생
청산리 벽계수야 - 조선시대의 명기들
한국 근대사 속의 일본 기녀
을사년 전후의 기녀들

제3장 풍류로 엮는 여속(女俗)의 변천
암흑을 비친 여권의 빛
출가외인의 의식
임금께 탄원한 이혼
아들을 가르치는 어머니의 지혜
남편을 출세시킨 슬기로운 여인들
깊은 궁궐 안의 슬픈 꽃바람

제4장 역사의 뒤안길에서 보는 여성사
한국여성 고역사(苦役史)
신여성시대의 굵직한 연애사
동아일보 50년에 나타난 사건 여성사
정절과 슬기의 설화
여태후와 측천무후
실험실 속의 여인 - 퀴리부인
무관의 제왕 - 넬리 브라이

저자소개

임종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9년 10월 26일 경남 창녕군 창녕읍에서 임문호 씨의 4남 3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945년 해방되던 해, 그는 중학교 3학년의 나이로 일본군의 퇴각을 경험했고, 그후 고려대 정치학과에 진학했으나, 끝내 문학으로 돌아와 1959년 <문학예술>지에 시 ‘비(碑)’를 발표함으로써 정식으로 문단에 등단한다. 1965년 한일회담은 임종국 선생의 생애에 전환점을 마련한 중요한 계기로, 당시 그의 나이 37세였다. 그즈음 그의 연구 테마는 문학사회사였다. 이것이 한일회담의 반민족적 행위와 접목되면서 본격적인 친일연구의 계기가 되었고, 그 결실이 『친일문학론』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1980년 그는 건강 문제와 집필에 전념하기 위해서 천안 교외에 외딴집을 지어 요산재라 이름하고 이곳에서 일제 침략사와 친일파들의 배족사를 구명해 나갔다. 83년 『일제 침략과 친일파』 84년 『밤의 일제 침략사』 85년 『일제하의 사상탄압』 86년 『친일문학 작품선집』 87년 『친일논설집』을 차례로 발간했고, 이후 친일문제 연구에 체계를 세우고 총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친일파 총서’(10권)를 펴내기로 계획했다. 1988년 『일본군의 조선 침략사』를 내놓은 이후, 임종을 불과 8개월 앞둔 1989년 3월에 1994년 완간 계획으로 친일파 총서 10권 중 총론 〈사상 침략과 친일파〉, 〈정치 침략과 친일파〉, 〈해방 이후 친일파〉 등 4권의 집필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그후 계속되는 지병과의 싸움에서 끝내 일어나지 못하고 1989년 11월 12일 시인이며, 문학평론가이고, 재야사학자인 임종국 선생은 그의 큰 뜻을 후학들에게 남기고 타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혜석은 귀국해서 최린에게 한 장의 편지를 보냈다. 이 한 장의 편지가 철없는 사람들의 손에 들어가 소문이 났는데 마침내 소문이 남편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중략) 여류 선구자이며 한국 최초의 여류화가로서 이름을 떨치던 나혜석은 남편과 자녀 그리고 명성마저 빼앗기고 말았다.
이후 그녀는 절을 찾아 외롭게 방랑하다가 1947년 어느 날 서울시립남부병원의 무연고자 병동에서 쓸쓸히 죽었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