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46059498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6-12-20
책 소개
목차
서론|민주화와 민주화운동의 이론적 고찰 / 신명순
1장|4·19 혁명과 5·16 쿠데타 / 박광주
2장|제3공화국 시기의 민주화운동: 좌절 요인과 특성 / 김영래
3장|유신 체제 전반기의 민주화운동의 전개: 억압과 저항의 동학 / 이정희
4장|유신 체제 후반기의 민주화운동과 유신 붕괴의 동학: 긴급조치 9호부터 10·26까지 / 이내영
5장|민주화운동의 좌절: 1980년 서울의 봄에서 광주항쟁까지 / 윤성이
6장|제5공화국 시기의 민주화운동 / 한정택
7장|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공고화: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정부 / 김영명
8장|한국 민주주의 도전과 대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민주화 조치를 중심으로 / 손병권
결론|한국의 민주화운동과 민주화: 성공과 좌절 / 김용철
책속에서
민주주의나 민주화를 너무 이상적으로 개념 정의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민주주의는 이미 달성된 상태이기보다는 달성해야 할 것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현실에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Parry and Moran, 1994: 4). …… 따라서 민주주의나 민주화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개념 자체를 어떻게 정의하느냐가 아니라 해당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민주화가 적절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어느 수준의 민주화가 바람직하거나 또는 실행될 수 있는가이다. _서론
혁명은 언제나 반혁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4월 혁명은 그것의 주체 세력인 학생들과는 정반대의 정치적 성향을 지닌 군인들에 의해 주도된 쿠데타의 도전에 노출되었다. 5·16이 쓰러트린 것은 민주당 정권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4월 혁명을 쓰러트린 셈이 되었다. …… 민주적 정부를 부당한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무력으로 쓰러트린 것은 그 같은 정부를 세우기 위해 피를 흘린 4월 혁명을 무력화하는 일이었다. 군사정권의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학생들의 저항은 1960년에 그들이 자유당 정권의 권위주의에 저항했던 것과 동일한 이유로 재개되었다. _1장
제3공화국하의 민주화운동을 주도한 야당과 대학생을 비롯한 사회 세력은 효과적인 운동을 전개하지 못했는데, 이는 국가와 야당을 비롯한 사회 세력의 양자가 가진 힘의 근본적인 차이 때문이다(김영명, 2006: 168). 그러나 이런 민주화운동은 비록 반복된 좌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동력을 마련·구축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그 후 유신 체제, 신군부 체제에 대항하는 민주화운동, 특히 1987년 이후 민주화 추세를 견인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_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