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6900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0-05-25
책 소개
목차
1장 서문
1부 이론
2장 ERGM이란?
3장 사회 네트워크 구조의 형성
4장 통계 모형으로서의 ERGM에 대한 개설
5장 ERGM 분석 사례
2부 방법론
6장 ERGM의 기초
7장 의존성 그래프와 충분 통계량
8장 사회적 선택, 양자 공변량, 그리고 공간지리적 효과
9장 자기로지스틱 행위자 속성 모형
10장 ERGM의 확장: 다중 네트워크와 이원모드 네트워크 모형
11장 종단 모형
12장 시뮬레이션, 추정, 그리고 적합도
13장 사례: 시뮬레이션, 추정, 그리고 적합도
3부 활용
14장 개인적 태도, 인지된 태도, 그리고 사회 구조: 사회 선택 모형
15장 공백을 메우는 방법: 조직 간 네트워크에서의 대안적 폐쇄 메커니즘 탐색
16장 업무관계 간의 상호의존성: 조언과 만족에 대한 다변량 ERGM
17장 지력, 체력, 또는 낙관성? 창발적 군사 리더십의 구조와 상관
18장 실직에 대한 자기로지스틱 행위자 속성 모형 분석: 누구를 알고 어디에 사느냐의 이중 중요성
19장 면대면 및 문자 메시지-매개 친구 네트워크의 종단적 변화
20장 이사의 사회적 및 재정적 자본이 기업 간 이사 겸임 네트워크(corporate interlock) 형성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
21장 네트워크 비교하기: 행위 네트워크와 회상 네트워크 간의 구조적 일치
4부 미래
22장 사회 네트워크 모형화의 다음 단계
저자소개
책속에서
ERGM은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통계 모형으로서, 어떻게 네트워크상의 연결관계가 구조화되는가에 대한 추론을 가능케 한다. 달리 말하면, ERGM은 어떻게 그리고 왜 사회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형성되는가를 보여주는 연결관계 기반 모형이다. ERGM의 이러한 특징은 사회 네트워크 관련 실증 연구들이 목표로 하는 바와 부합하는데, ERGM을 통해 관찰된 네트워크 구조(즉, 연구자가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사회 체계 저변의 네트워크 생성 및 유지 과정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_2장 ERGM이란?
“ERGM 이론”이 특정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네트워크 메타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일종의 이론적 시각이며, 그 틀 안에서 더 많은 구체화된 네트워크 이론들이 모색될 수 있다. ERGM 이론의 본질은 작은 지역 하위 구조의 축적을 통해 사회 구조가 형성되고, 보다 근본적으로 개별 연결관계의 형성을 통해 이런 하위 구조 패턴이 만들어진다는 데에 있다. _3장 사회 네트워크 구조의 형성
전통적인 사회과학 통계적 접근은 관찰의 독립성(independence of observations)을 전제한다. 이 독립성의 관점에서는, 누군가가 말을 걸어올 때 다시 내가 그 사람에게 말을 걸지 여부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다. 독립성의 관점에서는 내가 미셸 오바마와 친구라 할지라도 내가 버락 오바마와 친구가 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이미 아내들 간에 친구관계여도 원래 서로 모르는 관계였던 남편들 간에 친분을 맺게 될 가능성이 증가하지 않음을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우리의 사회생활을 돌이켜볼 때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관계 간의 일정 정도의 의존성을 감안한 채 사회 체계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독립성을 전제로 한 t검정, 분산 분석, 회귀분석과 같은 전통적인 통계적 접근을 취할 수가 없다. 반면, ERGM은 이러한 사회관계에서의 의존성을 모형화 과정에서 고려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결관계의 구조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더 타당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_3장 사회 네트워크 구조의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