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금희조, 강혜원, 진보래, 신정아, 최윤정, 정유진, 최수진, 이재원, 윤현정, 이정현, 이종임, 강보라, 홍남희, 채정화, 박주연 (지은이)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11-05
  |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7,000원 -0% 0원 1,110원 35,8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19322
· 쪽수 : 416쪽

책 소개

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연구총서 16권.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덜고, 사람을 위한 AI, 우리와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는 AI의 의미를 찾아가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12명의 여성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AI와 더불어 인간답게 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목차

머리말 : 사람 중심의 AI 시대를 위한 안내서 / 금희조 · 강혜원

1부 테크놀로지가 바꿔 가는 커뮤니케이션 문화

01 인공지능은 우리의 친구가 될 수 있을까? / 진보래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컴퓨터  
왜 컴퓨터를 사람처럼 생각할까?  
인공 에이전트의 활용  
인공 에이전트의 남용  
인공지능의 마음
참고문헌

02 대화형 AI와 인간의 상호작용 / 신정아  
AI 디제이와 한밤의 라디오  
AI의 목소리, TTS  
AI의 귀, 스마트 스피커
은밀한 엿듣기와 개인정보 유출  
AI가 된 아버지, 대드봇(Dadbot)
오늘, 당신의 이름은 뭐죠?
참고문헌

03 AI와 함께 시청하기: 행위자 연결망 이론 관점에서 본 관계적 시청 / 최윤정 · 정유진  
영상 미디어 시청과 온라인 대화의 결합  
사회적 시청과 관계적 시청의 개념  
행위자 연결망 이론과 사회적 시청  
알고리즘과 함께 하는 사회적 시청
참고문헌

2부 AI가 만들어 가는 미디어 콘텐츠 생산 현장의 변화

04 저널리즘 · 알고리즘 큐레이션의 교차점에서 AI와 가치 개념 / 최수진  
주목 경제(attention economy) 시대  
큐레이션 유형  
저널리즘 · 알고리즘 큐레이션 간의 상호작용과 부작용 그리고 대안  
다시 기본으로: AI와 가치 개념  
사회과학자의 역할  
참고문헌  

05 포털 사이트의 AI 편집 시스템과 연예 저널리즘의 생산 관행 변화 / 이재원  
포털 사이트의 AI 편집 시스템 도입  
알고리즘 저널리즘의 뉴스 가치  
연예 저널리즘의 생산 관행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겨냥 장치의 등장  
AI와 사람과의 헤게모니 전쟁  
연예 저널리즘과 포털 사이트의 상생  
참고문헌  

06 인공지능 작가와 스토리 창작 / 윤현정  
인공지능 스토리 창작 현황  
인공지능 스토리 창작을 향한 도전들  
인공지능 스토리 창작의 기본 원리  
디지털 스토리텔링 창작 프로그램들  
스토리 저작지원 프로그램  
스토리 자동생성 프로그램  
인공지능 작가는 탄생 가능한가?  
참고문헌  

3부 포용적인 AI 문화를 향해서

07 인공지능 젠더 편향성과 포스트휴먼 주체 / 이정현  
인공지능의 기술적 양식  
인공지능과 젠더 관념 (재)생산  
젠더 관념의 선험적 조건으로서의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더불어 살기  
참고문헌  

08 AI와 여성 개발자: 기술 산업이 갖는 젠더 불평등 / 이종임  
개발자의 가치관과 직결되는 AI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라는 AI ‘신화’ 깨기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AI와 젠더 차별  
AI 관련 산업에서의 젠더 이슈  
성평등이 반영된 인력 양성과 개발 환경 필요  
참고문헌  

09 디지털 공간-네트워크의 젠더 실천 / 강보라  
디지털 공간-네트워크를 질문하기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여성들’과 젠더 데이터의 공백
디지털 공간-네트워크의 젠더화  
젠더화된 노동 경험에 대해 말하기  
중층성의 연대를 향하여
참고문헌  

4부 AI 시대, 우리의 대처

10 AI와 콘텐츠 규제: 자동화된 차단 기술의 문제들 / 홍남희  
플랫폼과 사회적 요구들  
플랫폼의 핵심 의무로서 콘텐츠 품질 관리  
저작권 보호와 자동 차단 기술의 역사  
플랫폼의 매체적 특성과 AI의 도입  
AI 모더레이션의 문제들
팬데믹 상황과 AI 모더레이션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는 무엇인가  
참고문헌  

11 AI 알고리즘의 편향과 차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채정화  
AI 알고리즘 편향과 차별은 왜 일어나는가?  
설명 가능한 AI 알고리즘, 공정한 AI 알고리즘을 위한 노력  
편향과 차별로부터 이용자 보호를 위한 AI 윤리 원칙  
이용자 신뢰 회복을 위한 기업의 AI 윤리  
AI 알고리즘과 더불어 살기 위한 우리의 자세  
참고문헌  

12 AI와 미디어 리터러시 이슈 그리고 AI 윤리 / 박주연  
AI와 미디어 산업  
AI와 미디어 리터러시 이슈  
AI 윤리
AI 리터러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채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ICT법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고,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부산방송총국에서 구성작가로 활동했으며, MBC,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정부 유관 연구기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미디어 산업 및 정책, 법제 분야로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과 AI 알고리즘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검색 알고리즘은 표현(speech)으로서 헌법적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적 고찰」, 「유료방송플랫폼사업자와 홈쇼핑채널사업자 간 송출수수료 적정성에 관한 법경제학적 분석」 등 검색알고리즘과 유료방송플랫폼 관련 법제도 관련 연구들이 있다. 저서로는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다플랫폼 다채널시대 통일방송』(공저)이 있다.
펼치기
최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컬럼비아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시라큐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SBS 프로덕션에서 6년간 제작 PD로 활동하며 다수의 교양 및 어린이 프로그램을 제작했고, 박사학위 취득 후에는 미국 센트럴미시간대학교 저널리즘학과 교수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AI와 더 불어 살기』(공저, 2020)가 있다.
펼치기
이종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사회연구소 이사이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중앙대학교 신문학과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와 KBS 시청자위원장을 지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유발하는 미디어 환경과 청년 세대, 젠더, 케이 팝 산업과 노동 이슈 등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서드라이프』(공저), 『아이돌 연습생의 땀과 눈물: 아이돌 성공신화와 연습생의 딜레마』, 『문화산업의 노동구조와 아이돌』, 『디지털 페미니즘』(공저) 등이, 논문으로는 「청년세대의 분노와 혐오 표현의 탄생: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혐오-언어’ 표현 실태분석을 중심으로」(공저),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금희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위스콘신-매디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레거시 미디어뿐 아니라 SNS 등 뉴미디어가 이용자 개인과 사회 전반에 어떤 임팩트를 가지는지 사회과학적 관점으로 탐구하고 있다. 삼성영상사업단 프로듀서와 텍사스?샌안토니오 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원장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및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한국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이사, 특임이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디어 효과, 뉴미디어의 사회적 임팩트, 정치 커뮤니케이션이다. Communication Research,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Poli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한국방송학보≫, ≪한국언론학보≫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금희조의 다른 책 >
박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학부와 대학원에서 미디어 산업론, 디지털미디어정책,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론을 강의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을 지냈고,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시장 경쟁상황평가위원회, 공익채널평가위원회 등 다양한 정책영역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미디어 관련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미디어산업정책과 콘텐츠 영역이다.
펼치기
박주연의 다른 책 >
최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텍사스(오스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트러스트위원회 위원, 한국정보화진흥원 데이터경제포럼 위원, 한국언론학보 편집이사 등을 역임했다. 관계적 시각에서 비정형 데이터를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검증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저널리즘, 사회 네트워크 분석이다. 한국갤럽(2015년), 한국방송학회(2014년),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3년) 등에서 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단독 저·역서로 『사회 네트워크 통계 모형(ERGM): 이론, 방법론, 활용』(2020년)과『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분석』(2016년)이 있으며,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New Media & Society 등에 다수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펼치기
최수진의 다른 책 >
신정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세계문화예술경영전공 특임교수다. 덕성여자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대에서 들뢰즈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지털 다큐멘터리 분석으로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방송작가로 활동하면서 400여 편의 TV 교양다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집필했으며, 한신대학교 초빙교수, OBS 시청자평가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기획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뉴미디어와 디지털콘텐츠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반교: 디텐션(返校, Detention)’의 미디어소통과 진정한 타자-되기: 게임과 영화를 중심으로」, 「1인 미디어의 콘텐츠 액티비즘 실현과 소통: 유튜브 <생각많은 둘째언니> 채널을 중심으로」, 「로컬콘텐츠 기획 및 제작방안 연구: 이문동 문화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족 여성 재현과 돌봄의 윤리」 등이 있다. 저술로는 『뉴미디어와 스토리두잉』,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로컬콘텐츠와 컬처매핑』(공저),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정아의 다른 책 >
진보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인간의 마음과 관계 그리고 사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펼치기
강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이 신설된 2019년부터 ‘문화콘텐츠기획’, ‘콘텐츠스타트업’, ‘문화예술콘텐츠산업PBL’ 등의 강의를 해왔다. 문화연구자로서 미디어융복합이 야기한 새로운 현상들을 이론적으로 해석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왔고, 그 연장선에서 이 책의 집필에 참여했다. 현재 성균관 대학교 기업가정신과 혁신센터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2022 한국문화축제 전문가 자문, 이데일리 문화대상 심사위원, 한국언론학회와 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등을 겸하고 있다.
펼치기
홍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 교수로, 디지털 미디어, 저널리즘, 젠더 연구를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상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거버넌스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을 썼다. 책으로는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홍남희의 다른 책 >
강보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나만 잘되게 해주세요 - 자존과 관종의 감정 사회학』(2019),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공저, 2018),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공저,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정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미디어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MBC라디오의 <조PD의 새벽다방>, <비틀즈 라디오> 등의 구성작가로 활동했다. 영상 콘텐츠와 게임 등 새로운 미디어 이용 행위에 대한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고, “사회적 이벤트의 짧은 동영상 반복 시청: 몰입, 동일시, 대리 만족이 루프워칭(loop watching)에 미치는 영향(2017)”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연구위원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언론홍보영상학과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포츠한국》엔터테인먼트부 부장,《텐아시아》 편집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AI와 더불어살기』(공저, 2020), 주요 논문으로는 “포털 사이트의 인공지능 뉴스 큐레이션 도입과 뉴스 생산 관행 변화에 관한 연구”(2020), “소셜 미디어의 토픽 활성화에 관한 연구”(2019),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윤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남대학교 글로벌문화학부 한영문화콘텐츠전공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서 HK연구교수로 근무했고 문화콘텐츠, 디지털 스토리텔링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2020), 주요 논문으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2016),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관한 시론”(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엔 산하 연구기관인 유엔대학교 마카오캠퍼스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며 인공지능 국제 윤리 및 시민 사회 실천 강령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은 “Automation of Nostalgia: The Cultures of Algorithmic Memory Practices”로 인공지능 기반 소셜 미디어에 대한 문화연구적 비평을 시도했다.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 기억, 인공지능 기반 매체에 대한 문화연구적 비평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비평에 기반한 인공지능 윤리 실천 방안에도 관심이 많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공)에이전트건 사람이건 감지한 상대 마음의 수준에 따라 편애할지 차별할지 결정될 것이다. 또 에이전트가 나의 친구가 될 수 있는지는 나에게 타인의 마음이 얼마나 필요한지에 달려 있기도 하다.
_“01 인공지능은 우리의 친구가 될 수 있을까? ” 중에서


음성 AI는 사생활, 자율성, 친밀함의 경계를, 인간관계와 디지털 관계, 사실과 허구, 삶과 죽음의 장벽 등 우리 삶의 여러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_“02 대화형 AI와 인간의 상호작용” 중에서


한 사회를 구성하는 개념이나 행위는 최근에는 기계보다는 기계가 생성한 운영 시스템, 즉 알고리즘과 관계망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AI가 시청 행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사회적 시청의 경우에도 AI와 결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_“03 AI와 함께 시청하기: 행위자 연결망 이론 관점에서 본 관계적 시청”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