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고대사
· ISBN : 9788946069114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0-10-28
책 소개
목차
1부 인트로
1장 오프닝과 강연자 소개
2장 그리스 신전과 유럽의 18~19세기
3장 18세기까지 금단의 땅이었던 그리스
4장 혁명의 세기, 18세기의 모델이 된 그리스 신전
2부 18세기 폐허낭만주의 운동
5장 픽처레스크 미학과 숭고미
6장 폴리, 일상으로 들어온 신전
7장 빙켈만의 그리스주의와 원형의 미학
8장 폐허의 미학에서 파괴의 미학으로
3부 18세기 구조합리주의
9장 데카르트 키즈의 교황청 대성당 건물 공격
10장 이신론 성직자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주장
11장 그레코-고딕 아이디얼과 파리 판테온
12장 화해와 합리성: 기술의 발전은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다
4부 19세기 메트로폴리스 운동
13장 19세기 대도시의 등장과 중심 공간의 문제
14장 정신적인 공간이 여전히 도시의 중심 공간이어야 한다
15장 파리, 베를린, 런던의 중심 공간
5부 서울의 도시 상황과 마무리
16장 그렇다면 서울의 중심 공간은?
17장 짧은 마무리, 슬기로운 도시 생활을 위하여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학혁명은 17세기 후반에 데카르트의 후예들이 그의 과학 연구와 합리주의 철학을 이어받아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며 시작했어요. 이게 18세기에 오면서 지성혁명으로 무르익게 되죠. (……) 그다음이 영국에서 1760년대 시작된 산업혁명인데 이게 지금의 과학기술 문명의 기초가 되었고요. 1789~1799년의 프랑스대혁명은 우리가 사는 현대의 정치사회 체제인 시민민주주의의 기초가 되죠. 그래서 18세기는 신석기혁명이나 철기혁명에 맞먹을 정도의 어마어마한 문명 변혁기예요. 이 세 가지 혁명이 다 몰려 있는 시대니까요.
유럽의 많은 건축가들은 물론이고 지성인과 예술가들도 그리스 신전을 보며 새로운 변혁기의 이상 모델이라고 느꼈던 것 같아요. 자신들이 머릿속으로 생각만 하고 있던 새로운 시대 가치의 내용이 그리스 신전에 녹아 응축되어 있는 모습을 보게 된 것이겠죠. 그러면서 그리스 신전을 여러 각도에서 해석하게 되고 그 해석하는 시각 자체가 바로 지금 우리가 사는 20세기 문명의 근간을 이루게 됩니다.
근대성이라고 하면 보통 기술하고 자본만 생각하는데 낭만성도 근대성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건축도 마찬가지예요. 17세기까지 유럽 건축은 왕궁과 교회 같은 건물에 웅장함이나 기념비성 같은 특징만 표현했는데, 낭만주의를 거치면서 ‘아, 우리가 건물에서도 뭔가 자연적인 아름다움이나 낭만적인 걸 찾을 수 있구나’ 하게 된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