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4607290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9
한국어판을 위한 저자 서문11
글을 옮기면서14
제1부: 신명기 역사
1. 들어가는 말: 통치권을 정당화하는 역사
2. 정치적 반대를 물리치다
3. 역사의 기초와 히스기야의 역할
4. 신명기 역사는 정치 이야기이다
5. 신명기 역사서의 자료
6. 요시야의 개혁
7. 요시야 개혁의 역사
8. 여호수아서의 역사적 상황으로서 히스기야의 개혁과 신명기 역사서의 구조
제2부: 관련 주제
1. 이스라엘의 등장, 다시보기
2. 이스라엘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
3. 땅/토지
4. 엘리야
5. 엘리사
6. 이스라엘의 역대왕조 (도표)
책속에서
여기에 소개하는 신명기 역사서에 관한 필자의 견해는 히브리 성서의 학자들이 만장일치로 동의하는 내용이 아니다. 이 글이 전개하는 내용 상당 부분은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들이 대체로 인정하는 내용이지만 어떤 학자들은 거의 모든 내용을 반박하기도 한다. 성서학은 어느 부분이나 늘 그렇다.
신명기 역사서의 목적이 다윗 가문의 통치권을 정당화하는 것이라면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처럼 다윗 이전 시기를 다루는 긴 이야기의 요점은 무엇인가? 다윗 가문의 통치권이라는 주제는 사무엘서와 열왕기서에 명료하게 드러난다. 이 주제는 다윗이 사울 가문의 통치권을 찬탈하는 사건으로부터 시작해서 히스기야, 요시야(Dtr1)와 여호야긴(Dtr2)으로 끝난다. 그렇다면 사울과 다윗의 통치 이전의 이야기는 무엇을 말하는가? 신명기는 통치권 이야기의 틀과 잘 조화된다. 신명기는 모세 시대를 배경으로 삼고 있지만 그 내용은 군주 시대의 개혁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제는 분명해진 것처럼 신명기 역사는 길고도 다채로운 내용이 들어 있는 작품이다. 거의 사백 년에 걸쳐 일련의 편집과정을 거쳤으며 중복되는 자료들도 여러 번 등장한다. 하지만 기본적인 이야기는 간단명료하다. 그것은 성서의 대다수 기본적인 이야기들처럼 제의를 통해 관할권을 주장하는 통치권에 관한 이야기이다. 성서 세계에서 통치, 정치 그리고 종교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