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3227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09-06
책 소개
목차
제1부 설명 모델들
제1장 인과 분석
제2장 합리적 행위자들
제3장 해석 이론
제2부 변형과 정교화
제4장 기능적·구조적 설명
제5장 유물론
제6장 경제 인류학
제7장 통계 분석
제3부 현재 논쟁들
제8장 방법론적 개인주의
제9장 상대주의
제10장 방법론적 다원주의를 향하여
책속에서
사회과학 철학의 중요성은 두 가지 점에서 비롯된다. 첫째는 21세기의 사회에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잘 이해되지 않는 사회 과정들에 대한 빈약한 이해로 인해 야기되는 도전들의 긴급성과 복잡성이고, 둘째는 사회과학 지식과 설명의 논리에 대한 우리의 현재 이해의 불안정한 상태이다. … 우리는 사회과학으로부터 무엇을 원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이 인지적·실천적 목적을 어떻게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가? 그 이해에 도달하는 데 기초가 되는 사회과학 지식과 이론의 논리에서는 거대하고 해결되지 않은 철학적 질문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철학은 이 질문들에 대한 더 나은 해답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철학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다음 세대가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논의로부터 등장하는 발견적(heuristic) 조사 방법이 있다. 이것은 사회 현상의 형태를 갖추게 하는 구체적인 사회-인과 메커니즘 탐색의 중요성이다. 우리가 만약 단순히 1000개의 사례를 수집하고 결과 변수들과 대조해 측정한 특징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만을 수행한다면, 우리는 파업을 이해하는 작업을 형편없이 수행한 셈이다. 우리가 만약 파업을 발생시키고 개인들로 하여금 파업에 참여하도록 결정하게 하는 구조와 행위성(agency)의 특성에 대한 일련의 이론을 종합한다면, 우리는 파업을 이해하는 작업을 훨씬 더 잘 수행한 셈이 된다. 동원과 관련된 공통의 ‘행위 주체/구조’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개별적인 동원 사례를 이해하게 하고, 우리가 발견하는 약한 규칙성을 설명하며, 그리고 부정적인 사례들도 해명해 줄 것이다.
합리적 선택 접근법은 뒤에서 더 자세하게 고려될 여러 중요한 사회과학 조사 프로그램의 기초가 된다. 공공 선택 패러다임은 개인 합리성에 대한 상당히 좁은 가정들에 기초해 비서구 사회 사람들의 사회적·경제적 행동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이 패러다임은 경제 인류학에서 작업의 토대를 형성한다. 그리고 합리적 선택 패러다임은 유물론적 설명 및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가까운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유물론자들과 마르크스 사회과학자들은 집합적 사회구조들을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는 합리적 개인들의 결과로 설명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