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607404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목차
책의 구성
제1부 이야기
1.1 눈에 띄지 않는 농민 _샌디 바드슬리
1.2 중세 유럽 예술의 숨은 이야기 _캐서린 A. 윌슨
1.3 현대의 무관용과 중세의 십자군 전쟁 _니컬러스 L. 폴
1.4 피의 비방, 거짓말 그리고 그 유산 _마그다 테터
1.5 누가 샤리아 법을 두려워하는가? _프레드 M. 도너
1.6 중세 말기 잉글랜드의 이주자들 _W. 마크 옴로드
1.7 할렘 르네상스와 중세 _코드 J. 휘터커
제2부 기원
2.1 토머스 제퍼슨의 쿠란에 대한 세 가지 오독 _리언 슈피에흐
2.2 나치의 중세 _윌리엄 J. 디볼드
2.3 베네딕트라면 무엇을 할까? _로런 맨시아
2.4 태고 이래로 중동 사람들은 싸우지 않았다 _스테퍼니 멀더
2.5 상아로 연결된 두 대륙 _세라 M. 게랭
2.6 중세 유럽의 예술에서 흑, 백과 인종에 대한 인식_패멀라 A. 패튼
2.7 ‘브루난버 전투’에서 제국과 국가 사이에 있던 잉글랜드 _엘리자베스 M. 타일러
2.8 누구의 스페인이란 말인가? _데이비드 A. 왝스
제3부 #해시태그
3.1 현대의 기사, 중세의 달팽이 그리고 외설적인 수녀 _메리언 블리크
3.2 성생활과 죄악의 중단 _앤드루 리브
3.3 ‘켈트’ 십자가와 백인 신화 _매기 M. 윌리엄스
3.4 대중 매체에 ‘실재하는’ 중세의 눈가림 _헬렌 영
3.5 바이킹 시대의 진정한 남자들 _윌 체르보네
3.6 #신이원하는바이다 _애덤 M. 비숍
3.7 이단이라고 인정하세요 _J. 패트릭 혼벡 2세
후기 중세주의자들과 욕망의 교육 _제럴딘 헹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주로 농민의 노동에 의존하여 귀족의 삶을 유지한 제도가 장원제였다. 말하자면 농민은 장원이라고 부르는 소규모 공동체에서 생활했다. (중략) 르네상스기 축제 때에 (혹은 중세의 필사본에 등장하는) 화려한 옷과 보석으로 치장을 한 군주의 행렬에 감탄하면서, 우리가 정말로 보게 되는 것은 인구의 90퍼센트를 차지한 농민의 노동이다. _ 1.1_ 눈에 띄지 않는 농민
십자군 전쟁을 ‘문명 간의 충돌’, 즉 유럽의 백인들이 비백인들, 비기독교인들 그리고 특히 무슬림들에 저항하거나 심지어 이들을 복속시킨 운동으로 보는 광범위하게 확산된 인식은 인종주의적 이데올로기에 경도된 사람들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있다. 실재하는 갈등이라는 측면에서 과거의 십자군 운동에 대한 이와 유사한 발언의 강화는 극단적이고 호전적인 이슬람주의 세력의 미디어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십자군 전쟁’과 ‘십자군’이 오랫동안 무슬림 세계에서 적으로 인식된 자들에 대한 친숙한 욕설이었던 반면에, 국제적인 테러가 자행되는 시대에 이들 용어는 ‘십자군’이자 적으로서 인지되는 미국, 유럽 및 이스라엘 등을 향했다. _ 1.3_ 현대의 무관용과 중세의 십자군 전쟁
이주민을 대할 때 잉글랜드인의 태도는 종종 언어에 따라 달라졌다.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과 이에 대한 의지는 신뢰성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중략) 만약 이주자가 자국어인 영어로 말할 수 없거나 매우 불완전하게 말할 경우, 그는 의심을 받게 되었다. 1381년의 농민 반란으로 알려진 대중 봉기가 일어나는 동안, 런던의 반란자들이 사람들에게 ‘치즈와 빵’이라는 단어를 말하라고 요구했으며, 이를 통해 런던에 거주하던 외국인을 식별하고자 했다고 알려져 있다. _ 1.6_ 중세 말기 잉글랜드의 이주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