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528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4-07-30
책 소개
목차
서론: 왜 도덕감정인가?
1. 시대의 전환╻2. ‘열정’의 시대에서 ‘증환’의 시대로╻3. 민주주의 퇴행: 패도와 혐오의 정치╻4. ‘사회란 없다’ vs. ‘사회를 살려야 한다’╻5. 법과 도덕 사이의 ‘사태들’, 도덕감정을 초대해야 할 다양한 이유
1부 도덕감정의 감정들: 공감, 양심, 정의
1장 도덕감정: 지각, 사유, 판단
1. 감정과 지각╻2. 도덕감정: 타자성찰과 공적감정╻3. 부채의식과 감사의 순환
2장 공감과 비판적 상상력
1. 공감╻2. 사변으로서의 상상력
3장 양심과 책임
1. 양심╻2. 책임╻3. 사유와 판단
4장 정의: 복수의 정념과 어려운 용서
1. 정의의 감정╻2. 복수의 정념╻3. 분노의 분노를 넘어, 어려운 용서에 대하여
2부 도덕감정과 적(敵)의 장벽: 혐오, 생명통치, 이데올로기
5장 혐오의 정치와 반지성주의
1. 혐오사회의 정치╻2. 반지성주의 사회
6장 법, 생명통치, 이데올로기
1. 생명이란 무엇인가?╻2. 법, 정의, 폭력╻3. 법과 생명통치╻4. 왜곡된 신념 혹은 이데올로기╻5. 환상과 균열
3부 개인화 시대의 도덕감정: 자기배려와 신뢰
7장 개인화, 고립화 그리고 외로움
1. ‘개인’의 탄생과 개인주의╻2. 오래된 논쟁, 개인과 공동체
8장 자기배려와 이타주의
1.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논쟁╻2. 순수 이타주의와 자애심╻3. 자기배려: 또 하나의 이타주의
9장 신뢰와 연대, 존중과 품위사회
1. 신뢰와 사회자본╻2. 연대의 사회╻3. 존중과 품위사회
나가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감정은 세상을 바라보고, 세상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세상에 관여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사회정의에 대한 분노의 감정은 ‘개인의 생리적 요소가 아니라 도덕적으로 세상에 관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고립된 개개인의 감정을 통해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들과 함께 교류하고, 습득하고 배운 감정을 통해 관여한다. …… 감정은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에 대해 인식과 판단을 내리게 하고,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 생각하게 하고 실천에 옮기도록 한다. _1장 도덕감
인간은 무한의 관계망 속에 존재하고, 자기가 속한 다양한 공동체와 유대를 맺는 사회적 존재이다. 관계망은 다양한 이해관계와 태도, 정보 그리고 감정이 교류되는 전선줄과도 같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타자는 타자, 나는 나이다. 나 아닌 타자와 ‘동일한’ 감정을 공유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감과 상상력은 이들을 연결시키는 가교(架橋) 역할을 한다. _2장 공감과 비판적 상상력
아렌트는 모든 정신적 활동은 활동 자체에 대해 회고적으로 반추하는 속성이 있다고 말한다. 판단은 사유나 의지와 달리 그에 조응하는 감각, 즉 취향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판단은 우리의 감각 중 가장 주관적인 성격의 취향을 세계의 사람들에게 필요한 ‘공통 감각’으로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국 판단은 일종의 균형을 잡는 활동, 즉 세계의 안정성을 가늠하는 정의의 저울 한 눈금에 현상을 고정시키는 활동이다(아렌트, 2022: 48). _3장 양심과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