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8004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공공외교 이해하기
1장 | 공공외교는 무엇인가: 공공외교의 개념적 이해
2장 | 공공외교의 진화: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3장 | 공공외교의 수단: 소프트파워의 중요성
2부. 공공외교의 영역과 사례
4장 | 문화공공외교
5장 | 지식공공외교
6장 | 정책공공외교
7장 | 미디어/디지털 공공외교
8장 | 기여공공외교
3부. 국가전략으로서의 공공외교
9장 | 강대국 공공외교로서의 미국 공공외교
10장 | 중견국과 공공외교
4부. 한국의 공공외교
11장 | 한국 공공외교의 역사: 법적·제도적 차원을 중심으로
12장 | 한국 공공외교의 행위자들과 주요 사업
부록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선 여러분의 궁금증을 빨리 해소하기 위해 우리나라 ‘공공외교법’에 담겨 있는 공공외교의 정의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공공외교란 국가가 직접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문화, 지식, 정책 등을 통하여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외교활동을 말한다(‘공공외교법’ 제2조).” 이 정의에는 공공외교의 주체, 수단(혹은 영역), 목표 그리고 공공외교의 대상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공공외교의 요소들 중에 가장 핵심적인 것은 외교의 대상입니다. 이 정의에서 보면 외교의 대상은 ‘외국 국민들’입니다. _ 1장 공공외교는 무엇인가_공공외교의 개념적 이해
한국에 대한 터무니없는 오해도 많습니다. 스페인 교과서에는 남한은 영양부족으로 시달리고 있지만 북한은 매우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되어 있고, 아이슬란드 교과서에는 한국이 “애완동물을 먹어야 할 만큼 빈곤한 상황이다”라고 소개되고 있습니다. 예멘의 교과서에는 “한국이 영국의 식민지였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렇듯 외국 교과서의 한국에 대한 오류는 꽤 심각합니다. 한국학중앙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7년 전 세계 46개국의 교과서에서 한국에 관한 오류나 사실 누락이 1507건이나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 이러한 오해나 잘못된 정보들을 바로잡아야만, 한국에 대해 호감이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여지가 생길 것입니다. _ 5장 지식공공외교
자유아시아방송(Radio Free Asia)은 1997년에 시작된 라디오 채널로서 한국어로 방송됩니다. 이 채널은 북한에 대한 자유로운 정보와 논평, 탈북자들의 경험담을 북한에 송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에서 발생한 긴급 소식들을 북한 소식통과 북한 탈북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전달합니다. 약 20명의 북한 탈북민들이 한국어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북한에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북한의 거짓 선전에 대응하기 위해 고화질 비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탈북민들의 한국에서의 생활과 외부 세계의 소식 등이 이 비디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입니다. _ 9장 강대국의 공공외교로서의 미국 공공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