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행복론
· ISBN : 978894608145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왜 다시 행복인가?
1. 행복 연구의 필요성
2. 진정한 행복의 조건
3. 진정한 행복
4. 전통적 행복론의 검토
5. 행복의 쟁취
6. 행복과 스트레스가 교차하는 삶
7. 한국인의 행복과 불행의 현주소
8. 행복 측정을 위한 시도들
제2장 자본주의와 행복
1. 자본주의가 초래한 번영과 그늘
2. 행복을 가로막는 자본주의적 요소
3. 결국 자본주의가 문제인가?
4. 이스털린의 역설
5. 행복의 측정
제3장 욕망과 행복
1. 캔트릴의 욕망 연구
2. 한국인의 일상과 행복
3. 일상의 행복과 진정한 행복
제4장 한국인의 욕망과 행복
1. U 자형 행복곡선의 의미
2. 한국인의 행복과 불행
3.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행복
4. 한국인의 세대별 욕망과 행복
5. 한국인의 쾌락: 일상의 행복
제5장 행복을 연구하는 경제학
1. 행복경제학의 계보
2. 행복경제학의 재등장
3. 행복경제학자들의 행복 결정 요인 연구
4. 인간의 본성과 행복
5. 행복경제학의 한계
제6장 모두가 행복한 사회
1. 시장경제 체제와 행복의 운명
2. 행복의 쟁취
3. 생애주기별 행복의 경로
4. 케인스의 행복사회 전망
제7장 진정한 행복
1. 모두가 달성 가능한 행복
2. 자기실현의 길
3. 행복 쟁취의 길
제8장 행복한 국가, 행복한 국민
1. 좋은 정부의 의미
2. 물질적 조건과 삶의 질
3. 북유럽의 행복국가 덴마크
4. 남태평양의 진주 뉴질랜드
5. 행복정책과 수단의 선택
저자소개
책속에서
진정한 행복은 자기답게 사는 것이다. 자기답게 산다는 것은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 삶을 산다는 의미이다. 한 인간으로서 타고난 능력을 잘 개발하고, 사회 속에서 그 능력을 발휘하면서 사는 것이다. 필자는 자기답게 사는 것, 즉,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 일을 ‘자기실현(self-realization)’이라고 규정하며, 이를 인간의 진정한 행복이라고 부르고자 한다._ “제1장, 왜 다시 행복인가?”
지구촌의 다른 사람들처럼 한국인들 역시 행복하게 사는 것이 삶의 목표라면, 진지하게 우리의 삶과 행복에 대해 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과거에 상상도 할 수 없었던 풍요를 누리는 지금, 한국인들의 행복은 왜 다른 나라 국민에 비해 낮을까? 소득수준이 낮은 국가들에 비해서도 낮은 이유가 무엇일까? 더구나 연령-행복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는 또 무엇일까? 오늘날 우리가 설정한 삶의 목표들은 진정 우리를 행복으로 인도하는 것일까? 우리가 살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실제 삶에서 과연 얼마나 중요한 것일까? 허망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인생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것들을 버리고 있지는 않은가?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대책을 찾는 일이야말로 한국 경제학이 당면한 과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_ “제1장, 왜 다시 행복인가?”
중요한 것은 삶에 대한 만족감이 소득의 객관적 크기에 비례하지 않고 타인과의 비교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이다. 소득수준이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낮으면 누구도 가난을 의식하지 않지만, 부자 동네에서 가난하다는 것은 삶의 만족도를 크게 낮추는 요인이 된다. 소득격차가 큰 사회일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게 마련이다._ “제2장 자본주의와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