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물과 GIS (공학교수 김계현 칼럼집)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4642206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2-03-18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4642206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2-03-18
책 소개
저자는 물 분야에 GIS를 활용한 선구자적 연구로 한국의 수자원 분야 기술 향상에 기여를 하였다. 이전까지만 해도 체계적 으로 위치정보를 갖춘 공간데이터베이스가 물환경 분야에 존재하지 않았다. 다양한 물 분야에 GIS 활용사례를 담은 저자의 논문은 많은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선행연구로 활용되었다.
목차
추천사 004
서언 012
Ⅰ수자원/물관리 019
Ⅱ 물산업 077
Ⅲ 물환경/녹색에너지 097
Ⅳ 4대강 살리기 137
Ⅴ GIS/IT 189
Ⅵ 재난방재 249
Ⅶ 대학행정 299
추언 317
약력 322
저자소개
책속에서
○ 정확한 지리정보 구축하자
GIS봉사단이 만들어진 계기는 뉴욕의 9.11 테러였다. 테러 발생 초기 인근 허름한 빌딩의 지하실에서 시청 GIS 장비를 가져다 민간전문가들이 자원봉사를 시작했다. 이런 봉사가 가능한 것은 정확도 높은 지리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_조선일보
○ 물 공급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
댐관리 일원화로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국가적 역량을 더욱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우리가 갖고 있는 물 공급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그 첫째가 댐 건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기존 사고에서 탈피하는 것이다. _중앙일보
○ 공공-민간 협업으로 해외 물시장 개척 필요
우리는 기술과 인력이 우수한 민간 업체가 많다. 또한 시설 운영의 노하우가 많고 높은 신용도로 자본 확보가 용이한 수자원공사 같은 공기업이 있어 공공과 민간의 파트 너십(PPP) 방식이 우리 장점을 살리고 투자손실 위험도 줄일 수 있다. _동아일보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