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4754798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4-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파격은 나의 힘 - 일탈과 혁신 사이를 오가다
에두아르 마네: 지팡이를 피해 그림을 걸어야 했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키스에 담긴 예술의 자유
아스토르 피아졸라: 탱고와 클래식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니콜로 파가니니: ‘악마’의 브랜드를 입자
2 딱 보면 알지, 얘기되는 거 - 직관과 감각의 예술가
파블로 피카소: 아프리카 조각이 연 현대미술의 신세계
앙리 마티스: 얼굴이 초록색이면 어때서?
프란츠 리스트: 19세기 클래식계 아이돌은 나야 나!
3 더 다르게, 더 새롭게 - 변신 끝판왕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시대를 앞선 감각으로 마에스트로의 상징이 되다
클로드 모네: 회화 혁명, 빛을 찾아간 야외에서 시작되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제게서 등을 돌리신다면, 더 새롭고 더 훌륭한 것으로
안토니오 비발디: 계절마다 찾아오는 변신의 귀재
4 왠지 무서운 건 기분 탓? - 집념과 끈기로는 세계 최강자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안 자고 700명 그려봤나?
안토닌 드보르자크: 될 듯 안 되는 희망 고문, 버티기만이 살길
앙리 루소: 강철 멘탈로 조롱 퇴치!
폴 고갱: 사표는 과감하게, 예술은 뜨겁게
5 힘들었죠? 토닥토닥 - 역경을 뛰어넘은 영원의 예술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 내 나이도 몰랐던 슬픔, 내 음악도 못 듣는 고통
빈센트 반 고흐: “미치거나, 시대를 앞서거나”…그런데 둘 다 했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백조의 호수>에도 쏟아진 혹평, 그래도 계속 만든다
에곤 실레: 관능 속에 숨어 있는 탈출구
6 넘사벽 ‘천재 오브 천재’ - 재능을 홀로 내려받은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하늘은 왜, 돼지 허파는 왜’…훔치고 싶은 호기심과 통찰력
디에고 벨라스케스: 20세기 화가들이 뽑은 최고의 화가
폴 세잔: 사과 하나로 현대미술의 아버지가 되다
7 경계는 없어, 섞으면 돼 - 융합과 재창조의 달인
자코모 푸치니: 스토리는 노래가 되고, 동·서양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알폰스 무하: 여주가 사랑한 포스터, 예술이 되다
라파엘로 산치오: 천재들의 기법을 결합해 또 다른 천재가 되다
8 사랑 없인 예술도 없다 - 최고의 로맨티시스트
마르크 샤갈: 설렘에 취해 두둥실 떠오르다
요하네스 브람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낭만의 대명사가 되다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 나의 뮤즈를 위한 사랑의 노래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당신의 눈동자에 영혼과 사랑을 담아
9 아, 나 이거 아는데 - 친근한 작품의 주인공
주세페 베르디: 가장 많이 공연되는 오페라는 나의 것!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클래식’에 뜻밖의 이름이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는 다 아는데, 베일에 쌓인 작가의 삶
10 고통은 잊어요, 행복만 줄게요 - 아름다움과 행복 덕후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직 경쾌한 선율만 있을 뿐, 하지만 그의 삶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사는 것도 힘든데, 그림은 행복해야죠
펠릭스 멘델스존: 품격 있는 행운아, 그 음악 세계로의 초대
11 난 오늘도 시를 읊지 - 감성 장인들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겨울 나그네가 되다
클로드 아실 드뷔시: 규칙을 깨고 빚어낸 달빛의 아름다움
리하르트 바그너: 오페라의 새 역사를 쓴 문학소년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 건반 위에 모든 감정의 꽃을 피우다
에필로그
명화 일러두기
클래식 일러두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클림트의 새로운 예술 정신은 거대한 흐름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를 중심으로 ‘빈 분리파(Wien Secession)’가 조직된 것이죠. ‘분리파’는 말 그대로 ‘기존의 것으로부터 나뉘어 떨어져 나온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빈미술가협회가 주도하는 미술 시장의 흐름에서 탈피하겠다는 뜻입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오스트리아에선 고전주의 화풍이 오래 지속되고 변화가 더디게 나타났습니다. 분리파는 여기서 과감히 벗어나 자유롭게 느끼고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했죠. 그는 1897년 분리파의 초대 회장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잘 아는 에곤 실레를 비롯해 오토 바그너, 칼 몰 등 회화부터 건축, 디자인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그와 뜻을 함께했습니다. 빈 분리파가 당시 내세운 슬로건은 오늘날에도 자주 인용됩니다. “시대에는 그 시대의 예
술을, 예술에는 자유를.”
-‘키스에 담긴 예술의 자유’에서
“나는 결코 어린아이처럼 데생하지 않았다. 이미 12살 때 라파엘로만큼 그림을 그렸다.”
실력은 유년 시절 이미 어른 예술가들을 뛰어넘었지만, 그는 평생 어린아이의 시선을 간직하려 노력했습니다. 어린아이는 모든 사물과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있으며, 그 본질에 직관적으로 다가갑니다. 하지만 어른이 되면 그 방법을 잊고 자꾸만 복잡한 셈법을 하게 되죠. 피카소는 이를 극도로 경계했습니다. “모든 아이들은 예술가다. 다만 문제는 그들이 성장하면서도 여전히 예술가로 남아 있는가 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아프리카 조각이 연 현대미술의 신세계’에서
이 작품이 위대한 것은 단지 규모 때문만이 아닙니다. 1악장에서부터 차례로 불안과 투쟁, 유희, 숭고한 사랑과 아름다움 등 다양한 감정이 펼쳐집니다. 그리고 마침내 4악장에 도달하면 극한의 전율과 함께 폭발적인 환희를 느낄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이르러선 “백만인이여, 서로 포옹하라. 환희여, 아름다운 신의 광채여!”라는 노래가 가슴 가득 울려 퍼지죠. 너무도 훌륭한 이 작품 때문에 훗날 후배 음악가들이 괴로워하기도 했습니다. 완벽주의자였던 브람스는 이 곡을 뛰어넘는 교향곡을 만들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렸는데요. 이 때문에 첫 번째 교향곡을 만드는 데 무려 20년을 보냈습니다. 유명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였던 한스 폰 뷜로는 고심 끝에 탄생한 브람스의 〈교향곡 1번〉을 듣고 이렇게 호평하기도 했습니다. “드디어 우리는 베토벤의 교향곡 10번을 만났다.”
-‘내 나이도 몰랐던 슬픔, 내 음악도 못 듣는 고통’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