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와 권력

영화와 권력

(광기와 매혹, 멀고도 가까운…)

김경, 김경욱, 김희경, 서곡숙, 김경수, 김채희, 김현승, 이현재, 송영애, 윤필립, 정문영 (지은이)
르몽드코리아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화와 권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와 권력 (광기와 매혹, 멀고도 가까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92618425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3-11-25

책 소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의 「르몽드 시네마크리티크」에 영화평을 쓰고 있는 필자들은 영화와 관련한 주제를 선택해 2018년부터 매년 영화평론집을 출판해왔다. 2023년에 선정된 주제는 ‘권력’이다.

목차

서문 권력, 멀고도 가까운··· - 김경욱

제1부 권력의 광기와 매혹

<아임 낫 스케어드(I’m not scared·나는 두렵지 않다) :전복적 매혹, 소프트 파워 - 김 경
히틀러 추종자들의 초상: <의지의 승리>, <한나 아렌트>, <메피스토> - 김경욱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 침투한 따뜻하고 서늘한 권력의 광기: <기예르모 델 토로의 피노키오> - 김희경
다큐멘터리영화 <김군>: 국가 폭력의 광기 - 서곡숙

제2부 권력에 대한 네 가지 시선

기후 영화Cli-ci를 생각하기 - 김경수
이상적인 정치 영화를 꿈꾸며 - 김채희
<더 메뉴>: 평론가, 예술가, 관객의 위치 - 김현승
반-정치의 이미지를 향하여: 세르히 로즈니차와 이미지 윤리의 정치 - 이현재

제3부 권력의 가장자리에서

<정이>와 <더 문>에서 작동하는 미래 권력의 폭력성 - 송영애
<정말 먼 곳>: 권력으로 강요된 정상성과 강제된 젠더성에 대한 도전 - 윤필립
<레벤느망>: 여성의 재생산권과 국가와 문화 권력 - 정문영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경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동국대와 중앙대에서 영화이론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사에서 기획과 시나리오 컨설팅을 했고,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소위원회 위원, 객원 책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영화평론가로 글을 쓰면서, 대학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영화는 무엇을 보는가』(2016), 『나쁜 세상의 영화 사회학』(2013),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2002) 등이 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김경욱의 시네마크리티크」와 「김경욱의 문화톡톡」 을 연재 중이다.
펼치기
김경욱의 다른 책 >
송영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서일대학교 영화방송공연예술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다. 단편영화 4편을 만들었지만, 실험영화에 관심이 생기면서 대학원에서 영화이론 공부를 시작했다. 현재 대중문화, 영화역사, 영화교육, 대안영화 등을 연구하며, 《세계일보》,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기고 중이다. 공저로 『영화예술의 이해』(2000), 『은막의 사회문화사: 1950~70년대 극장의 지형도』(2017), 『한국영화감독1』(2020), 『영화와 배우』(2021), 『영화와 가족』(2022), 『영화와 권력』(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인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영상학 박사이며 한국경제신문 기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예술경영 겸임교수,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사무총장, 한국영화학회 대외협력이사를 지냈다. 영상물등급위원회 자체등급분류 사후관리위원, 은평문화재단 이사, 국제문화&예술학회 이사, 만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주최 <2020 만화·웹툰 평론 공모전> 대상을 수상했다. 《한경비즈니스》에 칼럼과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평론을 연재하고 있으며, 《CJ뉴스룸》에도 글을 실었다. 저서로는 『AI와 영상 콘텐츠』, 『브람스의 밤과 고흐의 별』, 『호퍼의 빛과 바흐의 사막』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동국대 영화학 박사 수료. South Baylo University에서 한의학으로 석사, American Liberty University에서 한방정신분석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화사와 방송 프로듀서(PD)로 기획과 연출, 시나리오 작업을 했으며, 영화제 프로그래머 및 부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이만희』(2005)는 영화 「만추」 복원작업의 결실이었으며,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1999)에서 김기영 감독의 <하녀> 연작을 썼다. <신성일론>, <이미숙:두 개의 입술-양성적 카리스마> 등 배우론을 통해 섹슈얼리티를 탐구했고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와 <족보>를 통해 한국성을 모색했다. 정신과 몸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 영화와 한의학을 접목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김경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 중이다.
펼치기
윤필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강의하며 한국 언어/문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한국어교육)을 전공했으며, 에모리대(미국) 대학원 펠로우십 후 국립정치대(대만) 한국어문학과와 난양공대(싱가포르) 인문대학 교수로 지냈다. 2019년 귀국 후 현재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초빙교수이자 한국어교육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연세대학교 강사 및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총무간사 등을 역임 중이다. 『영화와 가족』, 『한 국게이영화사』, 『전우치전』(이상 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이현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K컬쳐·스토리콘텐츠연구소, 리서치앤컨설팅그룹 STRABASE 뉴미디어·콘텐츠 섹터 연구원. 「한류 스토리콘텐츠의 캐릭터 유형 및 동기화 이론 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한국콘텐츠진흥원) 「저작권 기술 산업 동향 조사 분석」(한국저작권위원회) 등에 참여했다. 2020 동아일보 신춘문예 영화평론부문, 2021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평론부문 신인평론상, 2023 게임제네레이션 비평상에 당선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평론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중문화 비평가. 연세대 비교문학협동과정에서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FM청년영화평론가상에서 등단해 활동을 시작했다. 인터넷 밈과 미디어아트 등을 장르를 가리지 않고 비평을 쓰고 있다. 영화전문매체 《코아르Coar》,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서 영화비평을, 《여성동아》에서는 <밈사이드 memeside>라는 제목의 인터넷 밈 비평을 연재하는 중이다. 프리랜서로 여러 잡지에 평론을 게재하고 있으며, 콘텐츠 에디터로도 활동한다. 석사 논문을 기반으로 한 단행본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을 집필하는 중이기도 하다.
펼치기
김현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고려대에서 역사교육과 철학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전문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2022년에 제4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으로 등단하였다. 지금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서 「김현승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 중이다. 영화 매체와 관객성을 다루는 메타-필름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이>와 <더 문>에서 가장 강력하게 발휘되고 있는 권력은 특정 기업체의 권력, 즉 경제 권력이라 할 수 있다. 두 영화 모두 영화 초반에 정확한 연도를 제시하지는 않지만, 환경 오염 상황과 인간의 대응 상황을 자막이나 뉴스 편집 영상을 통해 설명한다. 디스토피아를 그린 다른 SF영화와 유사한 모습이다. 지구 위기 상황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거대 기업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두 영화의 주인공은 영화 내내 자신이 속한 조직의 권력에 순응하며, 연구 기술 인력으로서 자신의 업무를 수행한다.
- <정이>와 <더 문>에서 작동하는 미래 권력의 폭력성 中


흥행을 위해 관객의 기호에 맞는 장면을 삽입하는 것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한국 상업 영화에서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는 장면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미학적 완성도를 낮추는 ‘인공첨가물’은 역설적으로 많은 관객을 불러 모은다. 이 같은 현상은 슬로윅이 작품에 간섭하는 제작자를 익사시킨 이유와 일맥상통한다. 제작자는 셰프에게 더 값싼 재료로 만들 수 있는 대체 메뉴를 강요했다. 현실은 물론 스크린 속 세계까지 철저하게 자본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다.
- <더 메뉴>: 평론가, 예술가, 관객의 위치 中


정치 영화가 언제나 평등과 진보를 말하지는 않는다. 반혁명과 퇴행적인 보수주의를 옹호하는 정치 영화도 허다하다. 우리와 대만 그리고 1950년대 미국에서 만들어진 반공영화가 그랬고, 1980년대 레이건 시절 만들어진 하드 바디(hard body)류의 영화들은 액션 장르를 앞세워 정치성을 획득했다. 이 영화들은 소련을 비롯한 외국 테러리스트를 안타고니스트로 설정하고 코만도나 람보와 같은 ‘하드 바디’ 주인공들이 미국을 수호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우리가 지난 시절 즐겨 보았던 ‘팔도강산 시리즈’, 1970년대 중후반에 제작된 ‘얄개 시리즈’는 미국의 그것보다 오히려 고도화된 프로파간다였다.
- 이상적인 정치 영화를 꿈꾸며 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