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자

노자

이이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10,800원 -10% 2,500원
0원
1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97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9-12-12

목차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해제

001. 제1장 이름지을 수 없는 도
002. 제2장 공이 이루어지면 물러난다
003. 제3장 어진 이를 숭상하지 않으면 백성에게 다툼이 없다
004. 제4장 도는 사람을 다치지 않는 그릇이다
005. 제5장 천지의 인은 치우침이 없다
006. 제6장 곡신谷神은 죽지 않는다
007. 제7장 시공時空은 영원하다
008. 제8장 물과 같은 훌륭한 선
009. 제9장 채우려 들지 말라
010. 제10장 낳고 길러줌에 소유란 없다
011. 제11장 비어 있음에
012. 제12장 아름다움은 사람 눈을 멀게 하나니
013. 제13장 내 몸으로 천하를 삼아
014. 제14장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
015. 제15장 닳아야 새것이 생겨난다
016. 제16장 비어 있음의 극치
017. 제17장 저절로 그렇게 되는 것
018. 제18장 나라가 혼란해야 충신이 있게 된다
019. 제19장 성스러움과 지혜로움을 버려야
020. 제20장 학문을 끊고 나면 근심이 사라진다
021 제21장 만물의 근원
022. 제22장 구부리면 온전해진다
023. 제23장 종일 퍼붓는 소나기 없다
024. 제24장 뽐내는 자는 공을 이루지 못한다
025. 제25장 도는 자연을 법으로 여긴다
026. 제26장 무거움이란 가벼움의 근본
027. 제27장 훌륭한 채움은 자물쇠를 쓰지 않는다
028. 제28장 천하의 골짜기
029. 제29장 천하의 신기神器
030. 제30장 무력으로 천하에 군림하지 않는다
031. 제31장 전쟁의 승리는 상례처럼
032. 제32장 골짜기 물은 바다가 있음으로 흐른다
033. 제33장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 자
034. 제34장 도는 자신이 주인이라 하지 않는다
035. 제35장 써도 다함이 없는 것
036. 제36장 빼앗고자 하면 먼저 주어라
037. 제37장 도는 하는 일이 없다
038. 제38장 꽃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039. 제39장 생육이 이어지지 않으면
040. 제40장 있음은 없음에서 생겨난다
041. 제41장 큰 그릇은 이루어짐이 없다
042. 제42장 도는 하나를 낳고
043. 제43장 형체 없는 것이 틈도 없는 곳을 파고든다
044. 제44장 명예와 몸
045. 제45장 진짜 곧은 것은 굽은 듯이 보인다
046. 제46장 족함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화는 없다
047. 제47장 문밖을 나서보지도 않고 천하를 아는 것은
048. 제48장 무위無爲에 이르는 길
049. 제49장 백성의 마음이 성인의 마음
050. 제50장 태어남과 죽는 것이란
051. 제51장 낳아주고 길러주고
052. 제52장 부드러움을 지켜내는 것이 강함이다
053. 제53장 음식이 싫증이 나도록
054. 제54장 천하로써 천하를 보라
055. 제55장 덕은 갓난아이 같은 것
056. 제56장 아는 자는 말하지 못한다
057. 제57장 법령이 많을수록 도적도 많아진다
058. 제58장 화는 복이 기숙하는 곳이요
059. 제59장 나라는 근본을 가져야 한다
060. 제60장 나라 다스림은 생선 조리하듯이
061. 제61장 큰 것이 아래에 처해야 이치에 맞다
062. 제62장 도란 만물의 깊은 방
063. 제63장 열심히 해야 할 일이란 바로 무위無爲
064. 제64장 천리 먼길도 발 아래서 시작된다
065. 제65장 백성을 어리석게
066. 제66장 강과 바다는 온갖 골짜기 물을 받아들이는 왕
067. 제67장 큰 도는 어리숙해 보인다
068. 제68장 승리를 잘하는 자는 싸움을 하지 않는다
069. 제69장 애달프게 우는 자 승리하리라
070. 제70장 거친 옷에 옥을 품은 듯이
071. 제71장 알면서 알지 못한다는 것
072. 제72장 백성이 위엄을 모르면
073. 제73장 하늘의 도는 다투지 않는다
074. 제74장 나무를 찍는 자 제 손을 다치리라
075. 제75장 백성이 죽음을 가볍게 보는 것은
076. 제76장 죽은 것은 뻣뻣하다
077. 제77장 현명함을 드러내지 않는다
078. 제78장 천하에 물보다 부드러운 것이 없지만
079. 제79장 하늘의 도는 편애가 없다
080. 제80장 자연대로의 백성들
081. 제81장 미더운 말은 아름답지 않다

○ 부록
Ⅰ. 馬王堆 出土 ≪老子≫ 甲本?乙本 影印
Ⅱ. ≪御定道德經註≫ 原本 影印

저자소개

이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 1536년(중종31년) 1세 : 12월 26일 강릉부 북평촌 외가에서 출생함. 부친은 이원수(李元秀), 모친은 신사임당(申師任堂),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숙헌(叔獻), 號는 율곡(栗谷), 시호는 문성(文成) - 1541년(중종36년) 6세 : 강릉에서 한양으로 올라옴. - 1542년(중종37년) 7세 : 「진복창전(陳復昌傳)」 지음. - 1543년(중종38년) 8세 :파주에 있는 화석정에 올라 「화석정(花石亭)」 시 지음. - 1545년(중종40년) 10세 : 「경포대부(鏡浦臺賦)」 지음. - 1548년(명종3년) 13세 : 진사초시에 장원급제함. - 1551년(명종6년) 16세 : 5월 어머니 신사임당 별세, 「선비행장」을 지음. 파주 두문리에 어머니를 장례하고 3년간 시묘함. - 1554년(명종9년) 19세 : 우계 성혼(1535~1598)과 도의의 교분을 맺음. 3월 어머니 시묘 3년을 마치고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함. - 1555년(명종10년) 20세 : 금강산에서 강릉으로 돌아와 「자경문(自警文)」을 짓고 유학에 전념함. - 1556년(명종11년) 21세 : 봄에 한양으로 돌아와 漢城試에 장원급제함. - 1557년(명종12년) 22세 : 9월 성주목사 노경린(盧慶麟)의 딸 곡산 노씨와 혼인함. - 1558년(명종13년) 23세 : 봄에 경북 예안 도산(陶山)을 방문하여 퇴계 이황을 만남. 겨울에 別試에서 「천도책(天道策)」으로 장원급제함. - 1561년(명종16년) 26세 : 5월 아버지 이원수 별세. - 1564년(명종19년) 29세 : 7월 생원 진사시에 장원급제함. 8월 明經試에 급제하여 호조좌랑으로 첫 벼슬길에 나아감.(모두 9번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 불림.) - 1565년(명종20년) 30세 : 봄에 예조좌랑에 전임. 8월 요승(妖僧) 보우(普雨)와 권간(權奸) 윤원형(尹元衡)을 단죄하는 상소를 올림. 11월 사간원 정언에 임명되자 사퇴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불허. - 1566년(명종21년) 31세 : 2월 병조좌랑에, 3월 다시 사간원 정언에 임명됨. 겨울에 이조좌랑에 임명됨. - 1568년(선조원년) 33세 : 2월 사헌부 지평에 임명됨. 가을에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돌아와 홍문관 부교리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주관에 임명되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함. 11월에 다시 이조좌랑에 임명되었다가 강릉 외조모 이씨의 병환으로 사직하고 강릉으로 내려감. - 1569년(선조2년) 34세 : 6월 교리에 임명됨. 9월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올림. - 1570년(선조3년) 35세 : 4월 교리에 임명됨. 10월 병으로 사직하고 해주로 감. - 1571년(선조4년) 36세 : 1월 이조좌랑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여름에 교리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해주로 감. 6월 청주목사에 임명됨. - 1572년(선조5년) 37세 : 여름에 부응교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파주로 돌아감. 8월에 원접사 종사관, 9월에 사간원 사간, 12월에 홍문관 응교, 홍문관 전한을 제수 받았으나 모두 사퇴함. - 1573년(선조6년) 38세 : 7월 홍문관 직제학에 제수되었으나 3차례 상소를 올린 후 사임하고 8월에 파주로 돌아감. 9월 다시 직제학에 임명되어 사퇴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함. 겨울 통정대부 승정원 동부승지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으로 임명됨. - 1574년(선조7년) 39세 : 1월 우부승지에 임명되어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지어 올림. 3월 사간원 대사간에 임명됨. 10월 황해도 관찰사에 임명됨. - 1575년(선조8년) 40세 : 8월 홍문관 부제학으로 임명됨. 9월 『성학집요』를 지어 올림. - 1576년(선조9년) 41세 : 우부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전라감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병으로 나아가지 않음. 10월 해주 석담에 청계당을 지음. - 1577년(선조10년) 42세 : 1월 해주 석담에서 「동거계사」를 지음. 5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12월 『격몽요결』 지음. - 1578년(선조11년) 43세 : 해주 석담에 은병정사를 지음. 3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6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 1579년(선조12년) 44세 : 5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 1580년(선조13년) 45세 : 5월 「기자실기」 지음. 9월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 12월 대사간에 임명. 1581년(선조14년) 46세 6월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으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다시 예문관 제학으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8월 동지중추부사에 제수됨. 9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10월 호조판서에 제수됨. 11월 『경연일기』 완성 - 1582년(선조15년) 47세 : 1월 이조판서에 제수됨. 7월 선조의 명으로 「인심도심설」, 「김시습전」, 「학교모범」, 「사목(事目)」을 지어 올림. 8월 형조판서에 임명됨. 9월 의정부 우참찬에 임명되고 숭정대부로 특진. 10월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원접사가 되어 「극기복례설」을 지음. 12월 병조판서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 1583년(선조16년) 48세 : 2월 「시무육조」 지어 올림. 3월 경연에서 십만양병을 건의함. 6월 동인의 탄핵을 받고 파주로 돌아갔다가 7월에 석담으로 돌아감. 9월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 1584년(선조17년) 49세 : 1월 「육조방략」을 최후로 지음. 1월 16일 한양 대사동에서 별세함. 3월 20일 파주 자운산에 안장됨. - 1624년(인조2년) : 문성(文成)의 시호를 받음. - 1681년(숙종7년) : 문묘의 종사를 허락받음.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