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99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목차
053장자 2권
<雜篇>
23. 경상초庚桑楚
149(23-1) 네 자신을 내세우려 하였기 때문
150(23-2) 어린아이가 종일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 이유
151(23-3) 천민天民과 천자天子
152(23-4) 학자의 병폐
153(23-5) 천지를 벗어날 수 없으니
154(23-6) 죽어서도 숨을 곳이 없는 곳으로
155(23-7) 생사란 기氣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
156(23-8) 남의 발을 밟았다면
157(23-9) 도를 손상시키는 것들
158(23-10) 벌레들은 오직 벌레 노릇에 능하기 때문에
159(23-11) 천하를 새장으로 삼는다면
160(23-12) 부득이 할 수밖에 없는 행동
24. 서무귀徐无鬼
161(24-1) 산림에 은거하는 것이 고통스러워
162(24-2) 술과 고기 맛을 보고 싶소?
163(24-3) 어찌 무엇인가 해야 한다고 여깁니까!
164(24-4) 농부는 농사일이 없으면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165(24-5) 타야 할 배의 뱃사공과 싸움을 하면
166(24-6) 혜시惠施의 무덤 앞에서
167(24-7) 관중管仲이 병이 들자
168(24-8) 원숭이는 자신의 재주 때문에
169(24-9) 내가 내 자신을 팔려고
170(24-10) 불언지언不言之言
171(24-11) 자기(子?)의 여덟 아들
172(24-12) 어짊을 뛰어넘어야
173(24-13) 돼지 몸에 붙어사는 이
174(24-14) 올빼미의 눈은 낮에는 보지 못하지만
175(24-15) 본성의 위대한 불혹의 경지
25. 칙양則陽
176(25-1) 외물과의 동화
177(25-2) 성인은 만물의 속박을 달관하고 있다
178(25-3) 시작도 끝도, 시간도 없다
179(25-4) 와각지쟁蝸角之爭
180(25-5) 말 많고 재주를 피우는 공자
181(25-6) 농사를 함부로 지었더니
182(25-7) 천하라고 해도 모두 똑같을 뿐
183(25-8) 거백옥?伯玉
184(25-9) 위衛나라 영공靈公의 무덤
185(25-10) 무위無爲와 무불위無不爲
186(25-11) 만물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26. 외물外物
187(26-1) 필연의 기준이란 없다
188(26-2) 학철붕어?轍?魚
189(26-3) 임공자任公子가 낚은 대어
190(26-4) 무덤을 도굴하는 유자儒者의 대화
191(26-5) 끝까지 오만한 행동을
192(26-6) 어부에게 잡힌 신령한 거북
193(26-7) 쓸모 있음과 쓸모 없음
194(26-8) 유유자적
195(26-9) 노닐 수 있는 빈 곳이 있어야
196(26-10) 거꾸로 내팽개쳐진 잡초
197(26-11) 물어볼 것이란 아무 것도 없다
198(26-12) 슬픔을 너무 잘 표현하여
199(26-13) 득어망전得魚忘?
27. 우언寓言
200(27-1) 내 글은 거의가 우언이다
201(27-2) 공자는 나이 육십이 되도록 생각이 60번이나 바뀌었다오
202(27-3) 증자의 벼슬살이
203(27-4) 죽음도 삶도 잊고
204(27-5) 태어난 자는 죽게 마련이다
205(27-6) 본체를 따를 수밖에 없는 그림자
206(27-7) 온갖 시중을 다 받는 오만함
28. 양왕讓王
207(28-1) 천하를 허유許由에게 물려주려 하였지만
208(28-2) 태왕단보와 적인狄人
209(28-3) 임금이 되면 받을 환난
210(28-4) 내 몸보다 중한 것이 나라입니까?
211(28-5) 수후隨侯의 구슬로 겨우 참새를 잡다니
212(28-6) 가난한 열자列子
213(28-7) 양 잡는 본업
214(28-8) 원헌原憲과 자공子貢
215(28-9) 가난에 찌들린 증자曾子
216(28-10) 벼슬을 원하지 않은 안회顔回
217(28-11) 마음가는 대로 따르시오
218(28-12) 곤액이 도리어 행운이란다
219(28-13) 천한 농사꾼의 신분
220(28-14) 물에 빠져 죽은 변수卞隨와 무광務光
221(28-15)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29. 도척盜?
222(29-1) 유하계柳下季의 아우 도척盜?
223(29-2) 인의를 행해야 벼슬을 얻는다니
224(29-3) 병든 채 오래 살기만 하면
30. 설검說劍
225(30-1) 뛰어난 검객은 다 모여라
226(30-2) 세 가지 검술
31. 어부漁父
227(31-1) 어부漁父와의 대화
228(31-2) 깨우침이 그렇게 늦어서야
32. 열어구列禦寇
229(32-1) 남이 그대를 따르도록 한 죄
230(32-2) 묵언?言이 어렵다
231(32-3) 용을 잡는 법
232(32-4) 고름을 빨아내어 주는 자
233(32-5) 공자에게 나라의 큰 일을 맡길 수 없습니다
234(32-6) 베풀고 나서는 잊어야 한다
235(32-7) 안팎의 형벌
236(32-8) 아홉 가지 시험
237(32-9) 다섯 가지 흉덕凶德
238(32-10) 천금의 구슬
239(32-11) 제물로 쓰일 소
240(32-12) 내 몸은 까마귀와 솔개의 먹이
33. 천하天下
241(33-1) 천하 학술이 찢겨지기 시작한 이유
242(33-2) 묵가의 학문
243(33-3) 송견宋?과 윤문尹文
244(33-4) 팽몽彭蒙, 전병田騈, 신도愼到
245(33-5) 관윤關尹과 노담老聃
246(33-6) 나 자신 장자의 생각
247(33-7) 혜시惠施의 학문
248(33-8) 혜시, 환단桓團, 공손룡公孫龍
○ 부록 : ≪莊子≫ 관련 자료
1. 莊子序 …………… 晉, 郭象
2. 莊子序 …………… 唐, 成玄英(西華法師)
3. 莊子集釋序 …………… 淸, 王先謙
4. 經典釋文序錄 …………… 唐, 陸德明
5. 莊子列傳 …………… 漢, 司馬遷 ≪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