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열녀전 2

열녀전 2

유향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5,2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열녀전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녀전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6047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한나라 때 유향劉向이 역대 여인들의 이야기를 전기체로 쓴 것으로, 세상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을 독립적 단위로 인정한 최초의 작품으로, 여성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명시한다.

목차

058 열녀전2/2

卷五 절의전節義傳
060(5- 1) 노효의보(魯孝義保)
노나라 효공의 의로운 보모
061(5- 2) 초성정무(楚成鄭?)
초나라 성왕의 부인 정무
062(5- 3) 진어회영(晉?懷?)
진나라 태자비 회영
063(5- 4) 초소월희(楚昭越姬)
초나라 소왕의 부인 월희
064(5- 5) 갑장지처(蓋將之妻)
갑나라 장수 구자의 아내
065(5- 6) 노의고자(魯義姑?)
노나라 의로운 시골 부인
066(5- 7) 대조부인(代趙夫人)
대나라 대왕의 부인
067(5- 8) 제의계모(齊義繼母)
제나라의 의로운 계모
068(5- 9) 노추결부(魯秋潔婦)
노나라 추호자의 정결한 부인
069(5-10) 주주충첩(周主忠妾)
주나라 대부의 충직한 시녀
070(5-11) 위절유모(魏節乳母)
위나라의 절개 있는 유모
071(5-12) 양절고자(梁節姑?)
양나라의 절개 있는 고모
072(5-13) 주애이의(珠崖二義)
주애 고을의 후처와 전처 소생의 딸
073(5-14) 합양우제(?陽友?)
합양의 우애 깊은 여동생
074(5-15) 경사절녀(京師節女)
경사의 절개 있는 부인

卷六 변통전辯通傳
075(6- 1) 제관첩정(齊管妾?)
제나라 관중의 첩 정
076(6- 2) 초강을모(楚江乙母)
초나라 대부 강을의 어머니
077(6- 3) 진궁공처(晉弓工妻)
진나라 활 만드는 공인의 아내
078(6- 4) 제상괴녀(齊傷槐女)
제나라 홰나무를 다치게 한 자의 딸
079(6- 5) 초야변녀(楚野辨女)
초나라 시골의 변별력 있는 여인
080(6- 6) 아곡처녀(阿谷處女)
아곡 땅의 처녀
081(6- 7) 조진녀연(趙津女娟)
조나라 나루터 사공의 딸
082(6- 8) 조필힐모(趙佛?母)
조나라 필힐의 어머니
083(6- 9) 제위우희(齊威虞姬)
제나라 위왕의 후궁 우희
084(6-10) 제종리춘(齊鍾離春)
제나라 무염읍에 사는 종리춘
085(6-11) 제숙류녀(齊宿瘤女)
목에 혹이 난 제나라 여인
086(6-12) 제고축녀(齊孤逐女)
고아가 되어 쫓겨난 제나라 여인
087(6-13) 초처장질(楚處莊姪)
초나라 경양왕의 부인 장질
088(6-14) 제녀서오(齊女徐吾)
제나라 부인 서오
089(6-15) 제태창녀(齊太倉女)
제나라 태창공의 딸

卷七 얼폐전?嬖傳
090(7- 1) 하걸말희(夏桀末姬)
하나라 걸의 애첩 말희
091(7- 2) 은주달기(殷紂?己)
은나라 주왕의 애첩 달기
092(7- 3) 주유포사(周幽褒?)
주나라 유왕의 애첩 포사
093(7- 4) 위선공강(衛宣公姜)
위나라 선공의 부인 선강
094(7- 5) 노환문강(魯桓文姜)
노나라 환공의 부인 문강
095(7- 6) 노장애강(魯莊哀姜)
노나라 장공의 부인 애강
096(7- 7) 진헌려희(晉獻驪姬)
진나라 헌공의 부인 여희
097(7- 8) 노선목강(魯宣繆姜)
노나라 선공의 부인 목강
098(7- 9) 진녀하희(陳女夏姬)
진나라 여인 하희
099(7-10) 제령성희(齊靈聲姬)
제나라 영공의 부인 성희
100(7-11) 제동곽강(齊東郭姜)
제나라 당공의 처 동곽강
101(7-12) 위이란녀(衛二亂女)
위나라의 음란한 두 여인
102(7-13) 조령오녀(趙靈吳女)
조나라 무령왕의 오녀
103(7-14) 초고리후(楚考李后)
초나라 고열왕의 이후
104(7-15) 조도창후(趙悼倡后)
조나라 도양왕의 창후

卷八 속열녀전續列女傳
105(8- 1) 주교부인(周郊婦人 → 仁智)
주나라 교외의 부인
106(8- 2) 진국변녀(陳國辯女 → 辯通)
진나라의 말솜씨 뛰어난 여인
107(8- 3) 섭정지자(?政之? → 節義)
섭정의 누나
108(8- 4) 왕손씨모(王孫氏母 → 節義)
왕손가의 어머니
109(8- 5) 진영지모(陳?之母 → 賢明)
진영의 어머니
110(8- 6) 왕릉지모(王陵之母 → 節義)
왕릉의 어머니
111(8- 7) 장탕지모(張湯之母 → 仁智)
장탕의 어머니
112(8- 8) 준불의모(雋不疑母 → 母儀)
준불의의 어머니
113(8- 9) 한양부인(漢楊夫人 → 賢明)
한나라 양창의 아내
114(8-10) 한곽부인(漢?夫人 → ?嬖)
한나라 곽광의 부인
115(8-11) 엄연년모(嚴延年母 → 仁智)
엄연년의 어머니
116(8-12) 한풍소의(漢馮昭儀 → 節義)
한나라 풍소의
117(8-13) 왕장처녀(王章妻女 → 仁智)
왕장의 아내와 딸
118(8-14) 반녀첩여(班女?? → 辯通)
반황의 딸 반첩여
119(8-15) 조비연자제(趙飛燕?? → ?嬖)
조비연 자매
120(8-16) 효평왕후(孝平王后 → 貞順)
한나라 효평황후
121(8-17) 경시부인(更始夫人 → ?嬖)
한나라 경시제의 부인
122(8-18) 양홍지처(梁鴻之妻 → 賢明)
양홍의 아내
123(8-19) 명덕마후(明德馬后 → 母儀)
마원의 딸 명덕황후 마씨
124(8-20) 양부인예(梁夫人? → 辯通)
양송의 딸 양예

○ 부록
≪列女傳≫ 관련 序文 및 題跋 등
1. 御製≪古列女傳≫序 ……… 乾隆皇帝
2. ≪古列女傳≫提要 …… 四庫全書 文淵閣本 史部(七), 傳記類(三), 總錄之屬
3. 四庫全書總目解題 ≪古列女傳≫三卷 兩江總督採進本.
4. 四部備要本 前記 ……… 汪遠孫
5. 列女傳序 ……… 梁德繩
6. 古列女傳序 ……… 曾鞏
7. 古列女傳目錄序 ……… 王回
8. 四部刊要本 <小序> 按言
9. <續列女傳> 解義 ……… 淸 潘介繁(四部刊要本)
10. ≪顔氏家訓≫ 書證篇 ………北齊 顔之推

저자소개

유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향(劉向, BC 77∼BC 6)은 본명이 갱생(更生), 자(字)는 자정(子政)으로 패[沛, 지금의 장쑤 성(江蘇省) 페이 현(沛縣)] 사람이다. 서한(西漢) 말엽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이자 도서목록분류학자이며 문학가다. 그는 한(漢) 고조 유방(劉邦)의 아우인 초(楚) 원왕(元王) 유교(劉交)의 4대 손이고 유흠(劉歆)의 부친으로, 선제(宣帝) 때 산기간대부(散騎諫大夫)에 발탁되었다. 원제(元帝) 때 종정(宗正)이 되었는데, 음양오행술로 정치의 득실을 따지고 환관과 외척들을 탄핵함으로써 두 번이나 하옥되었다. 성제(成帝) 때에는 이름을 향(向)으로 바꾸고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역임했으며 관직을 중루교위(中壘校尉)로 마쳤기 때문에, 후세에는 그를 ‘유광록(劉光祿)’ 또는 ‘유중루(劉中壘)’라고 칭했다. 유향은 전적들을 교감하여 《별록(別錄)》 20권을 찬(撰)했으며, 그 밖의 저작물로는 《상서홍범오행전론(尙書洪範五行傳論)》·《신서(新序)》·《설원(說苑)》·《열녀전(列女傳)》 등이 남아 있고, 이 외에도 분실된 《오경통의(五經通義)》와, 대부분이 분실된 《구탄(九歎)》 등 사부(辭賦) 33편이 있다. 현재 보이는 《유중루집(劉中壘集)》은 명대(明代) 사람이 집록한 것이며, 그가 편찬했다고 하는 문언소설인 《열선전(列仙傳)》은 한위(漢魏) 시대의 방사(方士)가 유향의 이름을 가탁한 것이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