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상고사 / 한국통사

조선상고사 / 한국통사

박은식, 신채호 (지은이), 윤재영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상고사 / 한국통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상고사 / 한국통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49707747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2-05-01

책 소개

'동서문화사 월드북' 187권.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인 단재 신채호가 한민족 역사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정신 독립과 그 정신 기틀을 찾고자 했던 기록 <조선상고사>와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을 지낸 백암 박은식이 근대 역사학적 방법론에 따라 민족주체적 관점에서 한국 근대사를 정리한 근대 민족사학의 기념비적인 저작 <한국통사>를 수록한 책이다.

목차

조선상고사

제1편 총론

제1장 역사의 정의와 조선사의 범위 … 13
제2장 역사의 3대원소와 옛 조선사 결점 … 17
제3장 옛 조선의 종류와 그 득실 약평 … 21
제4장 사료 수집과 선택 … 30
제5장 역사 개조에 대한 우견(愚見) … 43

제2편 ‘수두〔단군신앙〕’ 시대
제1장 고대 총론 … 63
제2장 단군왕검의 건국 … 66
제3장 수두 홍포(弘布)와 문화 발달 … 71

제3편 삼조선(三朝鮮) 분립시대
제1장 삼조선 총론 … 83
제2장 삼조선 분립 그 뒤 신조선 … 89
제3장 삼조선 분립 그 뒤 불조선 … 93
제4장 삼조선 분립 그 뒤 말조선 … 96
제5장 삼조선 붕괴 원인과 결과 … 102

제4편 열국쟁웅시대
제1장 열국 총론 … 107
제2장 열국 분립 … 111
제3장 한무제 침략 … 126
제4장 계립령 이남 두 새 나라 … 137

제5편 고구려 전성시대
제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 147
제2장 태조‧차대 두 대왕 문치 … 155
제3장 태조‧차대 두 대왕의 한족 축출과 옛 땅 회복 … 162
제4장 차대왕의 왕위 빼앗음 … 165
제5장 차대왕의 피살과 명림답부의 전권 … 169
제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 174

제6편 고구려의 쇠퇴 징조와 북부여의 멸망
제1장 고구려와 중국의 싸움, 고구려의 패전 … 179
제2장 고구려와 선비의 싸움 … 187

제7편 고구려‧백제 두 나라의 충돌
제1장 고구려‧백제 두 나라 관계의 유래 … 201
제2장 근구수왕(近仇首王)의 영무(英武)와 고구려의 쭈그러짐(附: 백제의
해외 정벌) … 203
제3장 광개토대왕의 북진정책과 선비 정복 … 208
제4장 장수태왕의 남진정책과 백제 천도 … 214

제8편 남방 여러 나라의 대고구려 공수동맹
제1장 네 나라 연합군과의 싸움과 고구려의 퇴각 … 221
제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 식민지 획득 … 225

제9편 삼국 혈전의 시작
제1장 신라의 발흥 … 231
제2장 조령‧죽령 이북 10고을 쟁탈 … 240
제3장 동서전쟁(同婿戰爭) … 255

제10편 고구려와 수의 전쟁
제1장 임유관(臨渝關) 싸움 … 267
제2장 살수 싸움 … 272
제3장 오열홀‧회원진 두 싸움과 수 멸망 … 281

제11편 고구려와 당의 전쟁
제1장 연개소문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 287
제2장 요수 싸움 … 302
제3장 안시성 싸움 … 303

제12편 백제의 강성(强盛)과 신라의 음모
제1장 부여성충의 위대한 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 329
제2장 김춘추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 337
제3장 부여성충의 자살 … 344
제4장 나‧당 연합군 침입과 백제 의자왕 사로잡힘 … 347
제5장 백제 의병 봉기 … 354
제6장 고구려의 당군 격퇴와 백제 의병의 전성 … 358
제7장 부여복신의 죽음과 고구려 내란 … 363

한국통사

서언(緖言) … 371
제1편… 375
1. 지리의 대강/2. 역사의 대개(大槪)

제2편… 379
1. 대원군(大院君) 섭정(攝政)/2. 경복궁 중건(重建)/3. 서원 철폐/4. 조세 정책 개혁/5. 국방에 대한 관심과 풍속 교정/6. 천주교 금지 및 신도 학살/7. 프랑스군 대파/8. 미국 군함 격퇴/9. 일본과의 교섭/10. 대원군의 환정(還政)/11. 일본과의 첫 번째 조약/12. 청국의 우리나라 자주외교 인정/13. 일본인과의 통상 및 토지 조차(租借)/14. 임오년 군졸의 난/15. 청국병 도래와 일본병 퇴각/16. 일본인의 요구 해결/17. 중국과 일본의 군대 주둔/18. 유럽과 미국 등 열강과의 수호통상/19. 갑신년 개혁당(改革黨)의 난/20. 일본사신의 5개 조항 요구/21. 청국과 일본의 톈진조약/22. 러시아 세력의 확대/23. 대원군의 환국(還國)/24. 황두 배상사건/25. 극에 달한 내정 부패/26. 갑오년 동학란/27. 구원병 요청의 전말/28. 일본군 입성/29. 일본사신의 폐현(陛見)과 상주(上奏) 및 기타 상황/30. 원세개 귀국/31. 일본군의 궁궐 침범/32. 청일 교섭/33. 청일 개전(開戰)/34. 우리나라 개혁의 신정치/35. 잠정합동 및 공수동맹/36. 청국과 일본 평양대전(大戰)/37. 청국과 일본 황해격전(激戰)/38. 일본군 청국 내지(內地) 침입 전황/39. 청‧일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40. 삼국 간섭과 요동 반환/41. 열강의 청국 군항 분할/42. 오토리 이임과 이노우에 공사 부임/43. 박영효의 재차 망명/44. 을미년의 차관조약/45. 일본인의 국모 시해/46. 왕후 폐위 및 복위/47. 지방 의병/48. 러시아 공사관으로의 이필과 김홍집 살해/49. 러시아 세력 확장과 열강 이권 침탈/50. 러시아와 일본의 협약/51. 외국인의 철도부설권 침탈

제3편… 470
1. 대한제국(大韓帝國) 성립/2. 재정 고문의 문제/3. 일본과 러시아의 3차 협약/4. 일본인의 광산 찬탈/5. 일본인의 어업 및 포경권 침탈/6. 일본인의 개성인삼 약탈/7. 울릉도‧장고도‧월미도‧고하도‧온양 온천 등의 각 사건/8. 제일은행권 강제 발행/9. 제2차 영‧일동맹 및 러시아와 프랑스의 협약/10. 한국과 만주 문제에 대한 일본과 러시아 교섭/11. 일본의 러시아 함대 습격/12. 일본과 러시아의 선전포고/13. 일본군 한성 입성과 의정6조(한일의정서) 체결/14. 이토의 대사 부임/15. 일본의 한국 통신기관 강점/16. 일본 선박의 자유 항행/17. 일본인의 황무지 개간 요구/18. 삼림벌채 및 포대건축, 휼금(恤金), 포사(庖肆)사건/19. 일본군‧관리의 북한 지역에서의 횡포/20. 일본 헌병의 경찰 업무 대리/21. 일본 헌병의 한인 집회 금지/22. 일본인의 찬정(贊政) 최익현 구속/23. 각 부 일본인 고문/24. 일본인의 우리 군대 감축/25. 군용지 강점, 군수물자 강요, 군용 일꾼 강제 모집/26. 한국 땅에서의 일본과 러시아의 전투/27. 일본과 러시아의 뤼순전투/28. 일본과 러시아의 요동 각지에서의 전투/29. 일본과 러시아의 해전(海戰)/30. 제2차 영‧일동맹의 개정/31. 일본과 러시아 강화조약/32. 주영 서리공사 이한응 자결/33. 한국 선비들이 일본 왕에게 소(疏)을 올림/34. 특파대사 이토 내한/35. 이토의 보호조약 강제 체결/36. <황성신문> 봉쇄와 사장 구속/37. 매국을 성토한 상소들/38. 시종무관장 민영환, 원임 의정대신 조병세, 참판 홍만식, 경영관 송병선, 학부주사 이상철, 평양징상병 김봉학 등의 자결 순국/39. 중국지사 반종례의 도해 자결/40. 반대 세력 투옥/41. 찬정 최익현의 전국 사민에 고하는 격문 발표/42. 일본인의 한국 황제 감제(監制)/43. 일본의 진해‧영흥만 점령 및 북간도 문제와 일본 차관 등/44. 일본공사의 옥탑 도취(盜取)와 일본군의 석비 절취(竊取)/45. 동양척식회사/46.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 파견/47. 이토의 고종 양위 협박/48. 정미7조약 성립/49. 군대 해산과 참령 박승환(朴勝煥) 순국/50. 원주진위대 정교 민긍호의 거의(擧義)/51. 일본인의 학대 개황(槪況)/52. 한국인 교육 말살/53. 한국인 산업의 억압/54. 장인환, 전명운의 미국인 스티븐스 살해/55. 소네의 통감 취임과 이토의 육군, 사법 양부 폐지/56. 안중근 의사의 이토 저격/57. 이재명의 이완용 살해 미수/58. 일본의 한국 병합/59. 안명근의 데라우치 살해 미수/60. 일본인의 교회 속박/61. 120명 무더기 투옥

결론 … 559
한국통사 후서(後序) … 562
한국통사 발(跋) … 564

《조선상고사》와 《한국통사》에 대하여
신채호와 《조선상고사》 … 569
박은식과 《한국통사》 … 583
신채호 연보 … 595
박은식 연보 … 598

저자소개

박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근대 사상가이다. 대한제국기에 한성사범학교에서 한문을 가르쳤고,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의 주필로 활동했으며, 서우학회와 서북학회를 기반으로 사회운동을 전개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집필해 광복의 역사의식을 고취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펼치기
신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가이자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다.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1880년 충청남도에서 출생했다. 호는 단재丹齋, 가명은 유맹원劉孟源이다. 어려서부터 조부에게 한학을 배웠으며 18세 때 성균관에 입학하여 26세가 되던 1905년 성균관박사가 되었다. 그해 《황성신문》의 기자가 되었고, 이듬해 《대한매일신보》의 주필이 되었다. 1907년 항일비밀결사인 신민회에 참여했고 시론, 논설 등을 쓰며 애국계몽운동과 항일언론운동을 펼쳤다. 또한 〈독사신론〉을 포함한 역사관계 논문과 다수의 영웅전을 써서 민족의식과 독립정신 고취에도 힘썼다. 1910년 신민회 동지들과 중국 칭다오로 망명한 후 민족교육과 항일운동에 전념하는 한편 답사와 저술 등을 통해 상고사 연구에 힘썼다. 1919년 상해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1927년 신간회 발기인으로 활약했다. 1928년 4월 무정부주의동방연맹대회에 참석한 그는 5월, 타이완에서 체포되어 다롄으로 이송되었다. 1930년 10년형을 선고받고 뤼순감옥으로 이감되었으며, 1936년 옥중에서 뇌일혈로 순국했다.
펼치기
윤재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학자로서 정음사 편집인을 지내고 1953년 정양사(正陽社)를 창업하여 발행인으로 활동했다. 동인문학상 운영위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고문, 육당 최남선전집 편집주간 등을 지냈다. 지은책《한국고지명대사전》, 옮긴책《십팔사략》《순자․한비자》《명심보감》《격몽요결》김육《해동명신전》이이《율곡전서》나만갑《병자록》박지원《열하일기》황사영《황사영백서》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왕이라 역적이라 함은 성패의 별명일 뿐이요, 정론(正論)이라 사론(邪論)이라 함은 진실의 많고 적은 차이일 뿐인데, 게다가 보고 들은 데 잘못이 있고, 쓰는 사람의 좋아하고 싫어하는 생각이 섞이지 않았는가?


멀면 1천 년 전후가 다르고, 가까우면 1백 년 전후가 다르니, 지금부터 문명은 더욱 빨리 진보하니 10년 이전이 홍황(鴻荒: 오랜 옛날)이 되고, 1년 이전이 먼 옛날이 될지 모르는 일이니, 이것이 이른바 시대를 따라 성립하는 사회성(社會性)이다.


당시 영랑과 원효 두 파가 다 노후하여 사회 중심이 되는 힘을 잃고, 새 인물에 대한 기대가 마치 굶주린 사람이 밥을 구함과 같았으니, 그래서 대선생 칭호가 한낱 한문 졸업생에게로 돌아가고, 다음에는 천추(千秋) 혈식(血食)까지 그에게 바쳐, 고려에 들어와서는 영랑과 원효 두 파와 자리를 마주 대하게 되었다. ‘때를 만나면 더벅머리도 성공한다’ 함은 이를 두고 한 말이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