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

김인걸 (지은이)
경인문화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16,200원 -10% 3,000원
0원
19,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49943091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7-12-12

목차

책을 내며
글 쓰며 산다는 것-<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에 부쳐∥김인걸(金仁杰)
01 고려인의 눈과 조선인의 눈-<고려사> 식화지의 두 가지 시선∥이민우(李民友)
02 뻔한 사료의 새로운 읽기-정도전의 경복궁 전각명 기문∥장지연(張志連)
03 조선 전기 왕실의 토지 경영과 <조선왕조실록>∥양택관(梁擇寬)
04 정치사 자료의 이면 읽기-안로(安璐)의 기묘사림 저술과 그 다층적 함의∥송웅섭(宋雄燮)
05 「학교모범(學校模範)」 다시 읽기∥김영인(金映印)
06 율곡 이이가 <경연일기(經筵日記)>를 남긴 까닭은?∥김경래(金慶來)
07 「인조교서(仁祖敎書)」와 척화(斥和)의 시대∥허태구(許泰玖)
08 왜정자문(倭情咨文)을 통해 본 외교문서의 액면과 진의∥김태훈(金泰勳)
09 역사 속의 논쟁 읽기-조선 현종대 국가(國家)-가(家) 관계에 대한 인식∥이민정(李敏貞)
10족보 서발문(序跋文)으로 시대 읽기∥권기석(權奇奭)
11 <탐라십경도>로 보는 조선후기 제주사회∥최 숙(崔 淑)
12 차마 말할 수 없는-실록(實錄)이 말해주지 않는 것들∥최형보(崔亨輔)
13 <비변사등록>과 나의 환곡연구 이야기∥양진석(梁晋碩)
14 조선후기 당론서와 당쟁사 연구∥최성환(崔誠桓)
15 <동문휘고(同文彙考)>와 조선시대 대외관계사 읽기∥김경록(金暻綠)
16 정조와 어제(御題) 모음집 <임헌제총>∥박현순(朴賢淳)
17 조선후기의 재판 기록과 사건사 가능성의 모색∥심재우(沈載祐)
18 군문자료로 본 조선후기 군영의 성격변화-금위영을 중심으로∥유현재(兪眩在)
19 <화영일록(華營日錄)>을 통해 살펴본 수원유수부의 재정운영∥조낙영(趙樂玲)
20 <동궐도>로 읽는 19세기 정치사∥이민아(李珉妸)
21 안동군 <토지조사부>를 통해 본 19세기의 사회와 경제∥정성학(鄭晟鶴)
22 <하나부사 요시모토 관계문서>로 보는 ‘개화당’∥김흥수(金興秀)
23 내장원 자료로 살펴본 대한제국 광산 관리∥양상현(楊尙弦)
24 불구(不具)의 세속(世俗), ‘자유(自由)’와 ‘필연’ 사이에서한용운이 누락시킨 것∥장용경(張龍經)
25 비동시성의 동시성, 근현대 동계(洞契) 자료∥이용기(李庸起)
26 여론 조사 또는 여론 왜곡?-점령기 미군정의 토지개혁 관련 여론 조사와 그 성격∥정용욱(鄭容郁)
27 대학을 통해 한국 현대사를 읽다-각 대학 ‘학교신문(학보)’∥오제연(吳瑅淵)

저자소개

김인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5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향촌사회 변동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2년부터 1986년까지 한신대학에 근무하였고, 1986년 9월 이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법>(공저, 1993),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공저, 2000), <정조와 정조시대>(공저, 2011), <조선후기 공론정치의 새로운 전개>(2017) 등이 있다. 주로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관련 글들을 써 왔고, 근자에는 전통문화와 한국인의 정체성에 관한 주제에 관심 갖고 글을 발표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