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49948584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19-12-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출병전 정황
제1절 간도지방 불령선인 개황
제2절 간도지방 불령선인 취체(取締)에 관한 중.일 교섭 경과
제3절 간도지방 불령선인 초토계획
제4절 길림독군고문일행의 간도입성과 중국측의 불령선인 취체 상황
제5절 간도지방에서의 중국 군대
제6절 두 번에 걸친 마적의 혼춘 습격
제7절 혼춘 및 간도로 긴급 출병
제8절 군사령관의 초토에 관한 의견 상신
제9절 군참모의 상경
제2장 작전행동
제1절 초토준비
제2절 초토실시결정당시의 혼춘 및 간도방면 적의 정세
제3절 작전명령 수령과 군 명령 하달
제4절 중일협동토벌에 관한 협정
제5절 제19사단의 초토행동(附圖 제12 참조)
제6절 보병 제28여단의 행동
제7절 제20사단장의 조치
제8절 제19사단에 책응할 블라디보스토크파견군 일부의 행동 개요
제9절 간도사건에 관련되는 경찰관 행동 개요
제10절 서간도 방면 관동군의 시위 행동
제11절 중국 군대의 행동 / 附 안도방면 초토의견과 중지 관련 경위
제3장 선전활동 및 교섭사항
제1절 외국인의 비난과 중상
제2절 간도 선전반
제3절 기타 선전 및 연락
제4절 귀순자의 취급
제5절 교섭 사항 개요
제4장 출병의 효과
제1절 직접 효과
제2절 간접 효과
제5장 주력 철퇴 후의 정황
제1절 일반 정황
제2절 간도파견대
제3절 군사령관과 장(張) 순열사와의 회견 협정 사항 / 附 중일국경순찰잠정변법안
제4절 중국 군대
제5절 포태산(胞胎山) 부근의 마적 토벌
제6절 영사경찰관의 분치(分置)
제7절 구휼
제8절 남겨진 부대의 철수
제9절 간도연락반의 설치
제6장 장래에 대한 소견 및 참고사항
제1절 편성.장비
제2절 전술(戰術)
제3절 첩보
제4절 통신
제5절 병참
제6절 교육
제7절 병기(兵器)
제8절 보급 및 급양
제9절 人위생, 馬위생
제10절 선전
제11절 귀순(歸順)
제12절 헌병 및 경찰관
제13절 보유(補遺)
부록
[부록 제1] 간도지방 불령선인 초토계획
[부록 제2-1] 간도사건에 관해 조선군 참모에게 지시한 사항
[부록 제2-2] 참모본부 제1부장이 조선군 참모에게 지시하는 사항
[부록 제3] 참모본부 작명(作命) 제57호
[부록 제3-2] 참모본부 명(命) 제497호-1
[부록 제3-3] 육군성 송달 육밀(陸密) 제218호
[부록 제4] 간도출병과 국제연맹규약과의 관계
[부록 제5] 혼춘.간도사건에 관한 국제법 연구
[부록 제5-2] 혼춘.간도.조선 내 각 방면 비행실시에 관해 각대(各隊) 및 지방관헌에게 내리는 지시사항
[부록 제6-1] 참모본부 작명(作命) 제61호
[부록 제6-3] 참모본부 명(命) 제520호-1
[부록 제7] 훈시
[부록 제8] 참모본부 작명(作命) 제60호, 참모본부 명(命) 제512호-1호
[부록 제9] 훈시
[부록 제10] 병졸의 명심사항[心得]
[부록 제11] 고시(告示)
[부록 제12] [성서(聖書) 행상인 이근식 및 同村 조선인 4명 참살 현황 보고, 장암동 도살 사건에 대한 선교사의 보고, 이의 제기 등]
[부록 제13] [부록12에 대한] 변박(辨駁) 자료
[부록 제14] 장암동(獐巖洞) 부근의 토벌 정황
[부록 제15] 길림독군공서(吉林督軍公署) 내한(來翰) 초록에 대한 조사표
[부록 제16] 사이토 대좌에게 보내는 길림독군공서(吉林督軍公署) 공함(公函) 제288호
[부록 제17] 미즈마치(水町) 대좌가 용정촌 외국인 선교사에게 보내는 각서
[부록 제18] 귀순자 취급에 관한 규정 개정 건 하달
[부록 제19] [간도파견대] 경비 규정 건 하달
[부록 제20] 중일국경순찰잠정변법(辨法) (案)
[부록 제21-1] 참모본부 작명(作命) 제62호
[부록 제21-2] 참모본부 명(命) 제534호-1
[부록 제21-3] 육밀(陸密) 제95호 간도에 남겨진 부대 철퇴에 관한 건 하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