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49948607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0-01-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서 론
1. 연구목적과 필요성
2. 연구방법과 내용
1부 ‘자조론’ 수용과 ‘청년’
1장 한말 ‘자조론’ 수용과 학생 ‘청년’
(1) 일본에서 西國立志編 번역과 ‘자조론’ 유통
(2) 한말 ‘자조론’ 유통과 사회적 의미
2장 1910년대 崔南善의 자조론 번역과 ‘청년’의 ‘자조’
(1) 자조론 번역과 출판
(2) 자조론의 독자 ‘청년’의 ‘자조’
3장 洪蘭坡가문의 기독교 수용과 ‘청년’ 홍난파
(1) 홍준의 기독교 수용
(2) 새문안교회와 ‘청년’ 홍난파
2부 ‘자조론’과 성공주의
1장 崔演澤의 ‘자조론’ 수용과 성공주의
(1) 최연택의 근대교육과 사회활동
(2) 기독교 ‘청년’ 최연택과 성공주의
2장 崔演澤의 야담집 기획 출간과 성공주의
(1) 1920년대 초 文昌社창건과 야담집 출판
(2) 1930년대 후반 문창사의 경영 분리와 야담잡지 창간
3장 소년계사의 소년잡지 출판과 성공주의
(1) 소년계 소녀계 잡지의 창간과 운영진
(2) 소년운동 방향전환 제시와 소년계사의 휴간
(3) 우파와 좌파의 연대로서 소년계사와 성공주의
3부 ‘자조론’의 토착화와 자기계발서
1장 崔永澤의 입신모험담 번역
(1) 최영택의 3.1운동 전후 기자활동과 잡지사 경영
(2) '입신모험담' 번역과 성공주의 유포
2장 崔瓚植의 동서위인소년시대 출판
(1) 최찬식의 ‘자조론’ 수용과 성공주의 전파
(2) 偉人の少年時代 위인 재배치와 ‘자조론’의 토착화
3장 白大鎭의 (현대상인)입지성공미담 출판
(1) 백대진과 ‘자조론’ 수용의 지적여정
(2) (현대상인)입지성공미담의 출간과 그 과정
(3) (현대상인)입지성공미담 편제와 ‘자조론’의 토착화
4부 ‘자조론’과 국가주의
1장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촌진흥운동과 ‘자조론’
(1) 식민지 국가의 관제운동과 ‘자력갱생’
(2) ‘성공’ 내러티브로서 ‘자력갱생’론
2장 1960 70년대 남북한의 근대화 운동과 ‘자조론’
(1) 1930년대 관제 이데올로기로서 ‘자조’
(2) 남북한의 관제운동과 ‘자조’
결 론
논문발표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