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와 경찰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와 경찰

마쓰다 토시히코 (지은이), 이종민, 이형식, 김현 (옮긴이)
경인문화사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와 경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와 경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49948812
· 쪽수 : 730쪽
· 출판일 : 2020-05-01

책 소개

<日本の朝鮮植民地支配と警察>의 한국어판. 갑오개혁에서 식민지 종언까지 일본에 의한 조선 침략에서 경찰이 수행한 역할과 조선 사회에 대한 영향을 그리고자 했다.

목차

한국어판 간행에 즈음하여
서 문
1. 문제의식과 시각
2. 구성

프롤로그 갑오개혁과 경무고문

제1부 조선 식민지화와 경찰
제1장 러일전쟁 이후 조선 식민지화의 진전과 경찰 기구
머리말
제1절 러일전쟁기의 한국주차군・한국헌병대
제2절 고문경찰의 창설과 이토 통감의 치안 구상
제3절 의병투쟁에 대한 대응
제4절 헌병경찰제도의 성립과 한국병합
1. 병합 노선을 둘러싼 소네 아라스케 통감기의 동향
2. 헌병경찰제도의 성립
소결

제2장 한국병합 전야의 이집트 경찰제도 조사
머리말
제1절 이집트 경찰제도 조사 과정
제2절 이집트 경찰제도 개혁에 대한 ‘조사’의 평가
1. 영국 점령기의 이집트 경찰제도 개혁
2. 이집트 경찰제도 개혁에 대한 평가와 마쓰이의 구상
제3절 <마쓰이 의견서>의 전말
소결

제2부 ‘무단정치’기의 헌병경찰
제1장 헌병경찰제도와 지역 지배
머리말
제1절 헌병경찰에 대한 제도적 재검토
제2절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치안 인식
제3절 헌병경찰에 의한 지역 지배
소결

제2장 민정조사자료 <주막담총>으로 본 ‘무단정치’기의 조선민중
머리말
제1절 <주막담총>의 사료적 개요
제2절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이미지
1.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이미지의 교착
2. 일상생활 관련된 제 시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3. 종교와 민중
제3절 국가 정세와 시사 문제에 대한 관심
1. 신해혁명에 대하여
2.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하여
소결

제3부 헌병경찰제도에서 보통경찰제도로의 전환
제1장 조선경찰제도의 개편을 둘러싼 정치과정
머리말
제1절 3・1운동 이전의 경찰제도 개혁 구상
제2절 3・1운동과 헌병경찰
제3절 경찰제도 개혁의 과정
제4절 신간부의 선정과 경찰관의 증원
제5절 경찰제도 개혁에 대한 조선 민중의 반응
소결

제2장 ‘헌병경찰제도 유지・존속설’ 재검토
머리말
제1절 경찰제도 개편과 헌병
1. 헌병경찰제도 폐지에 대한 헌병 측의 반응
2. 경찰제도 관련 법령의 검토
제2절 직무 구분을 둘러싼 문관경찰과 헌병 간의 갈등
1. 「헌병과 경찰관 간의 경찰 업무 집행 구분 및 상호 원조에 관한 협정」의 성립
2. 「조선에 있어서 헌병의 행정경찰 및 사법경찰에 관한 복무규정」 성립
소결

제4부 ‘문화정치’기의 경찰
제1장 ‘문화정치’기의 경찰의 치안 인식과 항일운동에 대한 대응
머리말
제1절 해외에서의 항일운동과 국경 인접지역의 치안 문제에 대한 인식
제2절 실력양성운동에의 대응
제3절 사회주의운동과 신간회에 대한 인식
1. 사회주의의 조선 유입에 대한 경계
2. 사회주의계 단체의 결성에 대해서
3. 신간회운동 전개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소결

제2장 조선총독부 경찰관료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의 항일운동 인식
머리말 ・ 367
제1절 조선 부임 이전의 경력과 부임 경위
제2절 3・1운동 이후 항일운동의 전개와 마루야마의 인식
1. 부임 직후의 항일운동 인식
2. 해외 항일운동에 대하여
3. 조선 국내의 청년회운동・실력양성운동에 대하여
4. 사회주의의 조선 유입에 대하여
제3절 친일파 보호육성
1. 국민협회와 민원식에 대하여
2. 박춘금과 상애회(相愛會)에 대하여
3. 동민회(同民會) 결성에 대하여
4. 기타
제4절 경무국장 사임과 그 후 조선과의 관계
소결

제3장 ‘문화정치’기의 ‘경찰의 민중화’와 ‘민중의 경찰화’
머리말
제1절 ‘경찰의 민중화, 민중의 경찰화’ 이념의 도입
제2절 ‘경찰의 민중화’의 전개
제3절 ‘민중의 경찰화’의 전개
소결

제5부 1930년대 전반기의 경찰
제1장 1930년대 전반기 경찰의 치안 인식과 항일운동에 대한 대응
머리말
제1절 1930년대 전반기 치안 인식의 추이
제2절 만주사변의 영향
제3절 사회주의운동에 대한 인식과 전향 정책 ・ 484
1. 사회주의운동에 대한 인식과 고등 경찰의 확충
2. 농촌진흥운동을 통한 사회주의운동에 대한 대책
3. 전향 정책의 전개
제4절 국경경비 문제의 재연 ・ 510
소결 ・ 529

제2장 농촌진흥운동과 경찰
머리말
제1절 1930년대의 경찰관료의 구조
제2절 ‘경찰의 민주화, 민중의 경찰화’의 전개
제3절 농촌진흥운동에서의 경찰관의 활동
소결

제6부 총력전 시기의 경찰
제1장 ‘시국좌담회’로 보는 경찰 행정과 조선 민중
머리말
제1절 조선 경찰의 총력전 준비와 대민중 접근 지향의 추이
제2절 ‘시국좌담회’의 등장
제3절 질문사항의 분석
제4절 총력전하의 여러 정책과 시국좌담회
소결

제2장 경제경찰과 전시(戰時)경제통제
머리말
제1절 경제경찰제도의 창설
제2절 경제경찰의 확장
1. 기구의 확장
2. 법령 측면에서 본 경제경찰 사무의 증가
제3절 운영 방침의 변화
1. 초창기의 ‘방범제일주의’
2. ‘엄벌주의’로의 전환
제4절 경제경찰과 전쟁 말기의 조선사회
1. 경제통제에 대한 조선인의 반응
2. ‘지하’경제의 확대와 경제경찰
3. ‘강제연행’과 경제경찰
소결

에필로그 식민지경찰의 종언

맺음말
후기
참고자료와 문헌
역자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마쓰다 토시히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3년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현대사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교토대학 문학 박사(2008), 현재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교수, 총합연구대학원대학 교수. 주요 저서에 [日本の朝鮮植民地支配と警察-1905~1945](校倉書房, 2009)
펼치기
이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 를 졸업하고 도쿄대학 일본사학과연구실에서 박사학위 를 받았다. 주로 식민지 관료, 재조일본인, 조선주둔군 등을 통한 식 민지정치사를 연구해 왔다. 대표논저로 『朝鮮総督府官僚の統治構想』(吉川弘文館, 2013)、『제국과 식민지의 주변인 : 재조일본인의 역사적 전개』(공편저, 보고사, 2013), 사료집 『斎藤実・阿部充家 왕복서한집』(아연출판부, 2018)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종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식민지시기 범죄와 감옥 연구자,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현재는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이다. 대표 논저로는 『일본의 조선식민지 지배와 경찰』(공역), 『행형제도 감옥(1), (2)』(공저), 「輕犯罪の取締に見る民衆統制」, 『植民地帝國日本の法的構造』(공저), 「항일여성운동가와 수감생활」, 『여성사로 읽는 항일독립운동』(공저)과 「식민지시기 형사처벌의 근대화에 관한 연구–근대감옥의 이식 확장을 중심으로」(『사회와 역사』 55), 「가벼운 범죄 무거운 처벌–1910년대의 즉결처분대상을 중심으로」(『사회와 역사』 107),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부산형무소의 수형자 동원」(『한일민족문제연구』 42)이 있다.
펼치기
이종민의 다른 책 >
김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베대학 문학박사. 교토산업대학교 비상근강사. 식민지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일본 정치인의 역할 연구. 주요저작 : 「戦前日本における中央朝鮮協会の基 礎研究」(『神戸大学史学年報』 25) 「植民地朝鮮と多木久米次郎-朝鮮における事業基盤と参政権問題」(『海港都市研究』 4)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