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49968605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5-04-12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머리말
제1장 1845~1871: 조선에 대한 미국과 청의 교섭
1. 제너럴셔먼호 사건과 조미 통상 외교의 시작
1) 주베이징 미국 대표의 진상 조사와 청과의 교섭
2) 주상하이 총영사의 개입과 오페르트 도굴 사건
3) 주청 외교관들의 재건의
2. 신미양요와 조미 간의 첫 대결
1) 미국 정부의 통상조약 체결 지시
2) 로우 공사의 무력행사
3. 미국 정부와 주청 외교관 간의 이견
1) 청의 주선의 중요성 여부
2) 조약 체결과 문책의 선후 순서
3) 무력시위와 무력행사
제2장 1871~1882: 조미 조약의 체결과 조청 종번 관계
1. 조미 조약의 체결과 청의 역할
1) 다시 불붙은 통상의 가능성
2) 청의 통상 권유
3) 조선 내 개화파와 보수파의 충돌
4) 리훙장의 주선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
2. ‘속국 조관’을 둘러싼 논쟁
1) 청의 제안 동기와 조선의 찬성 이유
2) 슈펠트와 체스터 홀콤브의 상반된 의견
3) 슈펠트의 자가당착
3. 조미 조약 협상에 대한 미국 정부의 냉담과 슈펠트의 열의
1) 미국 정부의 신중성
2) 슈펠트의 실의와 좌절
3) 서신 사건과 도루묵이 된 슈펠트의 공로
제3장 1882~1885: 조미 수교 직후 미국의 행보
1. 청의 종번 관계 고수와 미국의 대응
1) 임오군란과 주청 미국 공사의 반응
2) 조중상민수륙무역장정에 대한 미 국무부의 태도
2.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실행
1) 미 의회의 조미수호통상조약 비준
2) 조선 주재 전권공사의 파견
3) 조선 주재 공사관의 독자적 운영
3. 조청 종번 관계에 대한 미국의 태도
1) 주권국으로서 조선이 져야 할 책무
2) 종번 관계 승인의 전제 조건
제4장 1885~1894: 종번 관계로 인한 청·조·미 삼국의 충돌
1. 위안스카이와 포크 소환 사건
1) 위안스카이의 조선 파견
2) 데니 임명을 둘러싼 위안스카이와 포크의 엇갈린 해명
3) 조지 포크의 소환
4) 위안스카이의 직위에 대한 논란
2. 박정양의 미국 파견과 청·조·미 삼국 관계
1) 조선의 ‘선파견 후보고’와 청의 ‘선보고 후파견’
2) 미국 외교관들의 개입
3) 조선의 외교관 파견과 ‘영약 삼단(?約三端)’
4) 미국에서의 알렌과 박정양의 활동
5) 미국 정부의 현실 정치
6) 박정양의 이임과 청의 태도
3. 데니와 청·조·미 삼국 관계
1) 데니와 위안스카이의 충돌
2) 데니의 후임 문제에 대한 미국 정부의 우려
3) 데니의 『청한론』과 조선 경제 진흥책
4. 미국 외교관들의 이상주의와 미국 정부의 실용주의
1) 조선 주재 미국 외교관들의 이상주의와 ‘조선 시야’
2) 미국 정부의 실용주의와 ‘동아시아 시야’
제5장 1895~1900: 종번 관계의 종료와 미국의 현실 정치
1. 종번 관계의 여운
1) 조선의 외교관 파견 및 상주 요청에 대한 청의 거절
2) 황제 등극과 고종의 망설임
2. 종번 관계의 종료와 미국 정부의 거리 두기
1) 고종의 황제 등극에 대한 미국 정부의 신중한 태도
2) 존 실에 대한 미국 정부의 경고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