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민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78년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부를 졸업했고, 1985년 4월 조선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문학준박사학위를, 1990년 6월 연변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변대학 교수, 조선언어문학 학부장, 교무처장, 사범대학장, 총장을 역임했다. 정년 후 산동대학교 인문사회과학 1급교수, 남경대학교 한국학센터 겸직 수석연구원으로 5년간 초빙되었고, 현재 연변대학교 석좌교수로 초빙되어 학술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주요 학술저서로는 『조선근대소설에 대한 역사적 고찰』(1984),『신채호문학연구』(1988), 『조선중세기 북학파문학연구』(1990), 『조선문학사』(1994), 『조선문학의 발전과 중국문학』(공저, 1994), 『한국이행기 문학연구』(1993), 『한국 근대문학의 전환과 비교문학』(2007), 『조선-한국 당대문학사』(2001), 『한국 실학파 문학과 중국문학 관련 연구』(2007), 『영해문집』(2020) 등이 있으며, 평론, 산문집으로 『민족문학에 대한 통합적 조명』(2003), 『와룡산일지』(2013), 『영해만필』(2021) 등이 있다. 이외 국내외 학술지에 10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고, 중국 간행물에 80여 편의 평론, 수필을 발표했다. 선후로 중국에서 국가교수성과 2등상(2002), 길림성 사회과학연구 1등상(2007), 진달래문학상(2011) 등을 수상했고, 한국에서 용재학술상(2007), 해외동포상(인문사회, 2013)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광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길림성 연길시에서 태어나 연변대학 조선언어문학학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변대학 조선언어문학학과 교수이고 박사연구생 지도교수이다. 저서로 해방 후 조선족소설문학 연구, 조선족문학사 등 다수가 있다. 논문으로 「잠재창작과 김학철의 장편소설 ‘20세기의 신화’」 등 70여 편이 있다. 작품집 주편으로 중국 조선족문학 대계-해방 후 편(전20권), 21세기 중국 조선족문학 작품선집(전10권) 등이 있다. 수상으로 길림성 제7차 사회과학연구 우수상 등이 있다.
펼치기
최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 교수. 2002년 동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한국 근현대문학, 재중 조선인문학, 중한근대문학의 교류 등 방면의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여 「민족상상과 일제식민지 말기 한국문학 중의 ‘만주국’형상」, 「이기영의 만주 상상과 대지의 아들」 등 논문과 위만시기 문학자료 정리와 연구․조선작가작품집, ‘중국현대문학과 한국’자료총서 등 편저와 역저를 완성하였다.
펼치기
조영추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남경대학 한국어문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해방기 문학과 한·중 근대문학의 비교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언어의 미달과 사회주의 친선 감정의 자기 증식: 한설야의 소련 기행문과 소련인물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2021), 「집단 언어와 실어 상태: 중국 문인들의 한국전쟁 참전 일기를 중심으로」(2018) 등이 있으며, 공동 역서로 集體情感的譜系: 東亞的集體情感和文化政治(2018)가 있다.
펼치기
장영미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생. 중국연변대학교 조선어학과 교수, 중국 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부회장 겸 비서장 역임.
2005/2006년 한국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객원 연구원.
2017/2018년 한국 고등교육재단 방문학자-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객원 연구원.
주요 관심분야는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연구와 중한 번역, 한국 근현대문학과 중국 관련 연구이고, 연구저서 『재중조선인 시문학과 디아스포라 성향연구』와 역저 『문학사의 명명과 문학사관에 대한 성찰』 그리고 한국어교육 관련 교재 14권, 논문 30여 편이 있다.
펼치기
배홍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 전임강사. 2017년 동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다년간 중국 조선족 문학연구에 종사하고 있으며 논문으로 「위 만주국시기 재중 조선인 산문에 나타난 ‘만주’ 형상 연구」, 「동북함락구 조선인 작가의 자연서사와 문학치유」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은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하얼빈이공대학교 조선어학과 전임강사.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부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논문으로 「가족 부재에서 오는 자아의 위기 극복과 상처 치유」, 「<국자가에 서있는 그녀를 보았네>에 나타난 도시 주변부의 삶과 도시발견의 의미」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강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 전임강사.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부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다년간 한국 근현대문학 및 한중 비교문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김안서의 격조시형론과 중서시학 관련연구」(2016)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설매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 부교수, 2013년 동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한국 고전문학, 중한근대문학의 교류 등 방면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학술논문으로는 유득공문학의 문화비판(2013), 「해동사가의 중국체험과 타자인식」(2018), 「강위의 중국인식과 미래상상」(2018), 「윤봉길사건의 중국서사」(2020) 등이 있다.
펼치기
박미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흑룡강성 치치하얼시 출생. 연변대학교 중국어학과를 졸업 후 동 대학교 조선언어문학 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한중 근현대문학 비교와 한국 근현대소설, 번역문학, 대중문학 등 영역의 공부를 통해 한중 양국의 문학을 비교적으로 넓게 접근하는 중이다. 최근에 192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한국 아동문학으로 시야를 넓히고 있다.
펼치기
최창륵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난징대 한국어문학과 교수. 연변대 조선언어문학학부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했으며, 한국 근현대문학 및 한중 비교문학을 전공했다. 저서 리얼리즘과 한국 근대문학(2011), 편저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 자료 총서: 비평 1~5(2021), 역서 중국문학 속의 한국(2017), 어신을 찾아서: 장웨이 소설선(2023) 등이 있다. cuichangle@nju.edu.cn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