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5093878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2-08-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스마트 교육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1부 2015년, 교육을 혁명하라!
01 교실 이데아
지금 우리 교육은 스마트한가
디지털 세대가 원하는 교육
디지털 세대는 교과서를 뛰어넘는다
1등 없는 교육이 시작된다
국·영·수가 중요하던 시대는 갔다
02 우리 교육, 이것이 문제다
우리 교육은 재미가 없다?
우리 교육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우리 교육은 결과만 중요하다?
우리 교육은 학벌을 중요시한다?
03 교육 혁명의 물꼬를 터라
학교가 사라진다?
사회와 학교의 경계가 무너지다
학교를 재정의하다
학습이 된 놀이, 놀이가 된 학습
부모의 마인드 변화가 먼저다
교사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도와주는 사람
본연의 교육으로 돌아가자
04 세계는 이렇게 변하고 있다
미국의 NETP 2010
핀란드의 이노스쿨
일본의 FSP 프로젝트
싱가포르의 퓨처스쿨
호주의 스마트 교실
[쉬어 가기] 디지털 기술은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2부 21세기형 인재를 기르는 스마트 교육
05 미래는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성공의 기준이 변하고 있다
세상과 자유롭게 소통하라
실전형 기술을 보유하라
21세기형 인재가 가져야 할 5C
06 아이가 행복한 교실 혁명, 스마트 교육
스마트 교육은 개인별 맞춤형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스스로 선택하는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지식과 소통하는 교육이다
07 스마트 교육, 무엇이 핵심인가
‘SMART’ 교육이란
스마트 교육의 핵심은 기술이 아닌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의 세 가지 기본 관점
스마트 교육의 5대 과제
스마트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쉬어 가기] 우리 아이들은 어떤 교실에서 학습해야 하는가
3부 디지털 시대, 스마트 교육으로 완성하라!
08 스마트 교육을 통한 다섯 가지 변화
모든 지식이 담긴 디지털 교과서의 시대
누구나 듣고, 제대로 평가하는 교육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교육
자유로운 교육을 위한 법과 제도
스마트한 교사의 탄생
09 스마트 교육 시대를 여는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 교과서란 무엇인가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상상했던 것이 현실이 되다
기존 교육이 갖고 있던 한계를 뛰어넘다
제대로 된 콘텐츠 오픈 마켓이 필요하다
10 즐겁게 배우는 스마트 교실
세상과 교실의 경계를 허물다 - 통합 교실 수업
소통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다 - 창의 체험 활동 수업
스마트한 소통이 학습의 질을 높인다 - 일반/특별 교실 수업
11 모두에게 열려 있는 온라인 수업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게 하다 - 미개설 과목 온라인 수업
학교를 옮겨도 문제 없이 - 집중 이수 수업으로 인한 미이수 과목의 온라인 수업
학교에 가지 못해도 - 원격 화상 온라인 수업
학원보다 더 다양한 수업 기회를 - 방과후 보충 심화 수업
[쉬어 가기] 열린 공간, 자유로운 선택 - 사이버가정학습
에필로그 스마트 교육이 만드는 미래
책속에서
우리는 획일화된 교육에 너무 길들여져 있어 섣불리 거기서 빠져나올 생각을 하지 못한다. 가르치는 사람이 가르치기 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형태를 갖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어색함과 거부감은 여기에서 비롯된다. 많은 선진국들은 우리나라만큼 교육 방식이 틀에 박혀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비교적 쉽게 받아들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IT 기술이 최첨단으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교과서라는 개념을 여전히 낯설어하고, 불편해하고, 심지어 반대하기까지 한다.
최근 교권 붕괴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교사는 교권을 지키기 위한 방식을 새로운 관점에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지금의 교사들과는 다른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며 자란 학생들은 교사의 엄숙하고 강압적인 권위를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퍼실리테이터의 소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따뜻한 교권이 필요하며 이것이야말로 새로운 시대, 새로운 세대에 걸맞은 모습일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 교육은 가장 선진화된 교육 정책으로, 앞서 언급한 나라들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가 2015년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는 스마트 교육 정책은 상당 부분 이러한 외국 사례의 장단점을 분석한 뒤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정부가 정책을 주도하지만 집행 과정에서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유관 기관과 전문가들에게 열려 있는 자세를 취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협조를 구하면서 새로운 사례를 만들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