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5094363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2-11-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인간화 시대’의 도래와 인간 존중의 호스피탤리티 사회
제1부 새로운 시대가 다가온다
제1장 정보화 시대는 끝나는가?
기술을 지배하는 휴머니즘 | 대학생은 스마트폰의 노예? | 기술도 인간 중심으로 나아가야 | 사람이 중심인 웹2.0 시대
제2장 경제 분야의 새 물결
‘소프트 파워’의 도래 | 따뜻한 자본주의로 선회한 ‘자본주의 4.0’ | 영성을 파는 시장, ‘마켓 3.0’ | 고객을 최우선으로 배려하는 경영 | 새로운 경쟁 규칙의 등장
제3장 과학기술 분야의 새 물결
아인슈타인의 지성 VS 스티브 잡스의 감성 | 아이리버 마니아들의 선회, “아이팟 있어요?” | 교외에서 시내 중심부로 옮긴 모토로라 디자인팀
제4장 사회 분야의 새 물결
군대에서는 기합이, 학교에서는 체벌이 사라지고 있다 | 의사가 되려면 말하는 법부터 배워라 | 셰익스피어 문제가 출제된 GE 승진 시험 | 거꾸로 선 조직도
제5장 ‘내’가 가장 중요한 신세대들
“사전 약속 안 된 회식 자리는 안 가요” | 대기업을 거부하는 젊은이들 | 디지털 기기로 세계와 소통하다 | 소비자이자 생산자인 ‘프로슈머’의 등장
제2부 ‘인간 존중’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1장 경제 분야_나눔과 상생의 ‘따뜻한’ 자본주의
승자 독식의 ‘샤일록 경제’의 죽음 | 코틀러의 ‘마켓 3.0’이 향하는 방향, 영혼 | No more GDP, 이제는 국가행복지수 GNH다 |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귀인 시대
제2장 과학기술 분야_기술과 감성의 만남
잡스의 ‘감성’과 현대차의 ‘실직자 보장 프로그램’ | 기술이 인간을 섬긴다 | “심리학자들은 어디 있죠?” | 스마트폰 혁명이 가져다준 인간적인 사회
제3장 사회 분야_사람의 가치를 존중하는 세상
개인의 권리신장 | 능력보다 태도가 우선 | 집단보다 개인이 우선
제4장 자신의 권리와 욕망에 충실한 신세대
“나야, 나!”를 부르짖는 개인적 성향
제3부 인간을 섬기는 인간화 시대
제1장 소모품 인간을 넘어
『어느 세일즈맨의 죽음』_소외된 현대인의 자화상 | 『변신』_벌레로 살 것인가, 인간으로 살 것인가
제2장 사람이 감동이다
일본의 욘사마교 | 일본 쓰나미에 발 벗고 나선 한국과 타이완
제3장 인간화 시대의 얼굴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 | 인간 중심 경영 | 그린 산업 도약과 탄소권 부상 | 가치의 시대 | 인간의 온기를 입힌 따뜻한 기술
제4장 우리는 왜 인문학에 열광하는가
인문학 열기를 불러온 인간의 가치 상승 | 노숙자에게 베푼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강좌’
제4부 인간화 시대의 태동
제1장 호스피탤리티의 근원과 역사
라틴어 호스페스와 호스피탈리타스 | 중세에 다시 나타난 호스피탈리타스 | 오늘날의 호스피탤리티
제2장 인간화 시대가 펼치는 세상
인간을 위한 헌신 | 호스피탤리티 사회의 3대 구성 요소
제5부 인간의 영혼이 만들어내는 영성
제1장 인간의 영원성과 만나는 길
지성보다 영성을 자극하라
제2장 영성 경영으로 기업을 혁신하라
SK그룹의 심기신 수련원 | LG디스플레이의 임원코칭 제도
제3장 지고한 영성의 인물
느낀 것을 그린다, 빈센트 반 고흐 | 불쌍한 자의 영혼을 보듬은 밀림의 성자, 슈바이처
제6부 인간화 시대를 사는 법
제1장 사람에게 투자하라
세계 최대 비상장 소프트웨어 업체 SAS | 2012년 다보스가 주목한 ‘인재주의’ | 사람 투자의 방향, 영성 배양
제2장 배려와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라
배려의 한마디로 마음을 얻는 법 | 따뜻함으로 세계를 감싼 프리 허그 운동 | 위기에 더 강한 여성의 소통·공감 리더십 | 성장을 넘어 국민 행복에 기여하는 과학기술 4.0 시대
제3장 진정성으로 신뢰를 얻어라
조용히 문 닫은 일본 야키니쿠 식당 | 임명 8일 만에 옷 벗은 일본 부흥상 | 작은 분필공장의 행복
제4장 헌신에 가치를 두어라
기업의 가치 변화, 사회적 책임 | 착한 기업과 돌봄 경제 | ‘지고 밑지는 자녀로 키워라’, 명문가의 위대한 유산
제5장 건강한 사회와 행복한 삶을 위한 사회 계약
공생공영의 가치관 확립
주석
저자소개
책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인간 존중의 시대는 지금까지 진리라고 믿어 왔던 많은 기존 질서들을 차례로 무너뜨리고 있다. 그동안 주주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했던 기업은 고객 이익 극대화로 방향을 바꾸었다. 유권자 위에 군림해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던 정치인은 이제 인기와 상관없이 표를 얻지 못한다. 고객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채 거드름을 피우는 상인은 물건을 팔 수가 없고, 손님을 정중하게 대하지 않는 레스토랑은 어느 날인가 조용히 퇴출되고 만다.
환자와 원만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의사라면 의술이 제아무리 좋아도 환자들은 그 의사에게 진료받지 않을 것이다. 그런 환자들의 합일된 힘 앞에 의사들이 발붙일 곳이 없게 된 것이 현실이다. ‘의사가 되려면 말하는 법부터 배워라’는 바로 그러한 현실을 들여다보라는 뜻이 아닐까? 이와 유사한 또 다른 의문이 있다. 이제는 회사마다 실력보다 인간성에 중점을 두고 직원을 뽑는다.
자본주의 4.0, 마케팅 3.0, 그리고 웹 2.0 시대 역시 인간 존중의 마음을 바탕에 깔고 내놓은 새로운 해법이다. 상품보다는 가치에 주목하고, 음식보다는 배려를 팔며, 실력보다는 태도를 중요시 여기는 이 모든 새로운 패러다임도 한결같이 ‘인간 중심’의 새로운 인간화 시대를 앞서 대변하는 말이다. 이제 인간을 빼놓고는 어떤 것도 말할 수 없는 시대, 인간 중심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인문학 연구 붐이 일고, 인문학이 실의에 빠진 인간을 구원하는 구세주로 등장하고 있다. 과학, 의료계도 인문학의 통섭적 사고를 빌려와 자기 분야를 혁신하고 있으며, 산업 분야 역시 새 경쟁력을 인문학에서 차용하고 있다. 이런 일들은 인간에 주목하기 이전 시대에는 결코 볼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비로소 인간이 ‘주변’에서 ‘중심’으로 회귀하고 있는 것이다.




















